본문 바로가기
728x90

Mind Stalking/영성 강화6

줄리아 로버츠가 여성들에게 촉구하기를... "이제 마스크를 벗어 던질 때가 됐어요!" 줄리아 로버츠. 그 재능뿐 아니라 소박함과 매력 때문에도 많은 이들이 좋아한다. 줄리아는 화려하고 떠들썩한 것을 즐기지 않는다. 2002년 대니얼 모더와 혼례 때 초대받은 사람들 가운데 유명 인사는 브루스 윌리스 하나였다. 3년여 전 줄리아는 SNS에 주목할 만한 글을 하나 실었다. 모든 여성에게 더 이상 외모에만 얽매이지 말고 그보다 더 중요한 것들에 집중하자고 촉구하는 것이다. 이 글을 뒤늦게 발견했지만, 자신을 존중하고 아낄 줄 아는 여자라면 누구나 읽어 볼 가치가 있다고 여겨 소개한다. 완벽한 아름다움의 추구는 많은 나라에서 번지고 있는 질환이에요. 우리는 얼굴을 화장품으로 뒤덮습니다. 우리는 주기적으로 보톡스를 삽입하고 ‘이상적인 사이즈’를 만들.. 2019. 6. 14.
현대 정신의학의 허구 (3) 현대 정신 의학의 충격적 허구 (3) 개인적 정신 장애의 후과 4.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많은 사람들은 회복될 가능성이 없다? 이런 비관주의는 놀랍지 않은 현상이다. 왜냐면, 많은 정신과 의사들이 정신 질환은 뇌 결함 때문에 생기는 것이며, 따라서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 등과 마찬가지로 평생 가는 상태라고 여기고 있으니까. 정신의학의 언어는 완치 가능성이 없다고 외칠 뿐이며, ‘만성 정신분열증’이나 ‘중증 정신 장애’ 같은 용어를 자주 쓴다. 하지만 실제에서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 정신분열증은 회복 증상이 아주 희미한 질환으로 간주됨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그 환자들 80%의 경우 시간이 흐르면서 상당한 호전이 관찰된다. 정신 질환 회복은 반드시 모든 증상이 사라져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 많은 환자들에게.. 2019. 3. 22.
현대 정신의학의 허구 (2) 현대 정신 의학의 충격적 허구 (2) 신경병과 정신병: 허구 7. 정신적으로 아픈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정신과 의사들이 늘 하는 얘기. “세상에는 ‘정신적으로 아픈’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은데, 그들 대다수는 전문적 도움을 받지 못하며 많은 이들은 자신에게 그런 문제가 있다는 것도 모른다.” 최근의 한 연구에서는, 미국인 절반 가량이 살면서 어느 시기에 정신 질환을 겪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정신 장애가 계속 늘어나는’ 주원인은 여러 모로 보건대 정신의학계가 새로 발견한 질환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데 있다. 일상적인 도전과 시련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까지 새로운 질환의 증상에 포함시키면서 말이다. 계속 확장되는 정신의학계 촉수에 걸려들지 않을 사람이 우리 가운데 과연 누가 있을지, 그저 놀랍기만 .. 2019. 3. 22.
현대 정신의학의 허구 (1) 현대 정신 의학의 충격적인 허구 (1) 서양에서는 19세기 말부터 정신병학을 의료 전문 분야라고 주장해 왔다. 정신의학자들은 정신 질환이 다른 여느 질환과 같은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심장학이나 종양학 등의 전공 분야 의사들과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려고 애쓴다. 그들은 정신질환을 이를테면 심부전이나 백혈병 같은 질병과 달리 취급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런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가 충분치 않다. 제약업계의 노련한 선동에 자극된 정신의학계가 정신 건강에 관한 관념을 만들었는데, 이건 실제와 조금은 같을 수도 있다. 현대 정신 의학의 가장 굵직한 허구 10가지를 살펴본다. 순서는 상관없다. 인간의 정신 장애와 그에 관련된 허구 10. 정신병은 뇌 손상의 결과이다? 정신과 의사들 대다수는 정신질환의.. 2019. 3. 21.
'나'를 찾기 - 분리, 동일시 "내 구두가 나는 아니야!" - 멋진 자동차를 한 대 뽑았어요. 신나지요. 괜히 '폼'도 잡고 싶고... 그런데 어느 날 옆구리에 흠집이 난 걸 발견했어요. 속상해요, 안 해요? 화가 나요, 안 나요? 그래서 며칠 동안 우울하고 밥도 잘 안 넘어갔다구요? ㅠ.ㅠ - 능력을 인정받고 싶은 마음에 자기 시간이나 생활도 팽개치고 직장에 '올인'해요. 몰지각한 상사가 가끔 눈꼴시게 굴어도 꾹 참아요. '에이, 요즘 일자리 구하기도 힘든데, 여기서 떨려나면 어떡해? 이게 내 밥줄이니까 견뎌야지 별 수 있겠어?' ㅠ.ㅠ - 자기 일이나 취미 활동도 포기하고 아이들 키우는 데 헌신했어요. 가끔 속 썩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예쁘게 잘 크는 걸 보니까 흐뭇했어요. 자신이 대견스럽게 보이기도 했어요. 그런데 다 크고 나니.. 2019. 3. 21.
깨달음 추구하는 사람들 깨달음 추구하는 이들의 오해 5가지 깨어 있는 의식과 자아 각성을 추구하고, 나아가서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이들이 흔히 범하기 쉬운 오해가 (혹은 착각이) 몇 가지 있다. 1. 자각과 깨달음을… 자신의 바깥에서, 산속이나 광야에 머물거나 기도원 등지에 틀어박혀서 어떤 경전 등 외부 요인들을 이용하여, 찾으려는 열성 (X) 깨달음의 원천은 항상 우리네 안에 있다. 우리의 존재가 (실재, 현존이) 바로 깨달음의 근원이다. 외부 조건은 죄다 한낱 조건일 뿐이지 원천이 못 된다. 외부의 어떤 환경이나 상황을 통해 자아각성과 깨달음의 토대를 든든히 준비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런 필요에서 더 나아가… 일정한 의식과 상황과 사람들이 끊임없이 필요하다고 당신에게 지시하는 숭배를 만들어 내는 것은 금물이.. 2019. 3.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