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rc="https://cdn.subscribers.com/assets/subscribers.js"> '성 토마스' 태그의 글 목록
728x90

'성 토마스'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9.07.15 루덩의 악마들 5편 2
728x90

 

  루덩의 악마들  

The Devils of Loudun 

 

 

 

올더스 헉슬리 저

(번역, 주석, 해설 – 김성호)

 

올더스 헉슬리

 


 

  재판에서는 악마와 마법사에 대한 성서 기록뿐 아니라 널리 퍼진 미신도 다 채택하는 것이 관행이며 이 맹신을 판관들은 성서만큼이나 존중했다. 예를 들어, 17세기 말까지만 해도 모든 종교재판관과 대다수 치안판사들은 이른바 마법의 물리적 테스트라는 것을 의심도 않고 받아들였다. 

 

  피고 몸에 뭔가 이상한 표식들은 없었는가? 

  혹시 바늘로 찔러도 통증을 못 느끼는 부위를 발견할 수 있었나? 

  (무엇보다도) 두꺼비나 검은 고양이를 먹여 키울 수 있는 ‘악마의 젖꼭지’가, 그러니까 여분의 미발달된 유두들이 마녀한테 있었나?   

  만약 그렇다면 당신이 의심하는 자는 마녀임이 틀림없다. 왜냐하면 그런 것들이야말로 악마가 제 종복을 표시하는 브랜드요 낙인이니까. 

  (모든 남성의 9퍼센트와 모든 여성의 5퍼센트쯤이 미발달된 젖꼭지를 가지고 태어나는 만큼 재판 희생자들은 부족할 턱이 없었다. 자연이 작은 실수를 했는데, 그것을 재판관들은 그저 저희 관점에서 해석하고 말았다). 

 

  공리로 굳어진 다른 통속적 미신들 가운데 적어도 세 가지는 간략하게나마 언급할 만하다. 그것들이 무수한 불행을 야기했기 때문에. 우리네 선조들은 마녀가 악마의 도움으로 폭풍우를 일으키고, 질병을 야기하고, 성교 불능을 유도할 수 있다고 믿었다. 

 

  <마녀들의 해머>에서 크래머와 슈프렝거는 이 엉뚱한 생각에 관해 인류의 경험뿐 아니라 학덕 높은 성직자들의 권위로도 확증되고 널리 알려진 사실처럼 쓰고 있다. 

  「성 토마스[각주:1]는 <욥기>를 해설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악마들이 하나님 허락 하에 대기를 뒤흔들고 바람을 일으키고 하늘에서 불덩어리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다양한 물체들이 어떤 천사가 아니라 오로지 창조주 하나님의 명령만 따라 제 형태를 바꾼다 할지라도 국부적인 움직임에서는 물질들이 영적 본질에 순종해야 하니까… 예를 들어, 바람과 비와 대기 이동은 땅이나 물에서 발산된 증기가 뒤섞임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그러니까 악마의 권세는 그런 것을 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성 토마스는 그렇게 확언한다.」 

 

  질병으로 말하자면… 「나병이나 간질은 물론이고 마녀들이 하나님 허락을 얻어 일으키지 못할 질환이란 없다. 이는 권위 있는 의사들의 견해로도 입증된다.」 

  그리고 의사들의 그런 견해를 저자들은 개인적인 관찰로도 응원한다. 「왜냐하면 죽은 사람과 함께 묻었던 달걀로 어떤 사람에게 간질이나 발작을 일으킬 수 있음을 우리가 종종 발견했으니까. 죽은 마녀와 함께 묻었던 달걀이라면 더 말할 나위가 없고… 병들게 하고 싶은 사람의 음식에 흔히 그런 달걀을 넣는다.」 

 

  성교 불능에 대해서는 이 저자들이 자연적인 것과 초자연적인 것을 확실히 구분한다. 자연적인 성교 불능은 사람이 그 어떤 이성과도 성적 관계를 맺을 수 없는 상태. 이에 비해 주술과 악마의 힘으로 야기된 초자연적 성교 불능은 한 사람하고는 (특히 아내나 남편하고는) 성관계를 갖지 못하면서도 다른 이성들과는 기능을 충분히 지속적으로 발휘하는 상태. 

  저자들은 이런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즉, 하나님은 인간 생활 여러 분야에서 특히 생식력에 마법사가 위해를 가하도록 자주 허락하시는데, 그 이유는 아담과 이브의 원죄 이래 ‘인류의 무도한 행위들 중 가장 큰 타락이’ 바로 섹스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파괴적인 폭풍은 종종 발생하고, 많은 사람들이 언제라도 성교 불능 상태를 겪을 수 있으며, 질병이 없었던 적은 결코 없었다. 

  이런 일상적인 불행의 책임을 마녀들에게 덮어씌워야 한다고 법령과 신학과 민간 여론이 입을 모은 세상에서는 염탐과 밀고와 무고를 동원한 개인 사찰 따위가 극성을 부렸다. 16세기 마녀 사냥이 절정일 때 게르마니아 몇몇 지역의 사회생활은 그 나라에서 4백 년 뒤 나치 치하의 사회생활이나 새롭게 코뮤니스트 지배에 종속된 나라의 사회생활과 아주 흡사했다. 고문을 받아서, 혹은 잘못 이해한 의무감이나 어떤 광적인 충동으로, 남자가 제 아내를 마녀라 고발했을 터이고, 여자가 제 친구들을, 아이가 제 부모를, 하인들이 저희 주인을 허위 비방했을 것이다. 

 

  악마가 횡행하고 마녀 사냥에 열 올리는 사회에서 볼 수 있는 폐해는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 마력에 대한 끊임없는 경계와 악마에 대한 일상적인 경고 따위가 많은 사람 심리에 아주 파멸적으로 작용했다. 소심한 사람들 중 일부는 정신이 나가고, 어떤 사람들은 상존하는 공포심 때문에 실제로 죽음을 맞았다. 

 

  그러나 초자연적인 위험에 대한 이런 중언부언을, 맹신과 선입견을, 야심만만하고 복수에 불타는 사람들은 저희 이익을 위해 이용했다. 그들은 목적을 달성하려고 광분했으며, 제임스 보스웰 같은 남자들과 몽테스팡 후작부인 같은 여인들은 흑마법을 범죄적이다 싶을 정도로 써먹을 준비가 돼 있었다.[각주:2]     

 

   만약 혹자가 억눌리고 좌절됐다고 느낀다면, 사회와 이웃에 원한을 품는다면, 성 토마스 등의 말대로, 그런 엄청난 재앙을 가할 수 있는 자들한테 호소하는 것보다 더 자연스러운 일이 있을까? 

  신학자들과 종교재판관들은 끊임없이 악마를 거론하고 마법을 극악무도한 범죄로 대함으로써 저희가 억누르려고 그렇게나 애썼던 관습을 외려 조장하고 그 믿음을 실제로 전파한 꼴이 됐다. 

 

마녀 사냥, 흑마법을 쓴다고 비난하고 처형

 

  18세기 초부터 마법은 더 이상 심각한 사회 문제가 아니었다. 그건 사멸하고 말았는데, 여러 이유들 중 하나는 그것을 억누르려고 힘쓴 사람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박해를 덜 받으니 선전이 덜 됐다. 사람들 눈길은 초자연적인 것에서 자연적인 것으로 옮겨갔다

  대략 1700년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서구에서 자행된 박해는, 마녀 사냥은, 전부 아주 세속적인 것이었다. 우리한테 근본악은 더 이상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적 악이나 경제적 악이 되었다. 그리고 (우리는 실증주의자로서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을 ‘악’이라 부르기 좋아하니까) 그 근본악이 오늘날에는 마법사나 주술사가 아니라 어떤 증오에 빠진 계급이나 민족한테서 추종자들을 찾는다. 사회적 증오의 인과 구조가 바뀌었지만, 그렇다 하여 증오와 불공정이 더 줄어들지는 않았다

 

  우리가 살펴본 대로 교회는 마법을 완전히 현실적인 범죄라고 가르쳤고, 그 도그마에 걸맞게 국법도 무자비하게 작동했다. 그렇다면 민간 여론은 이 문제에 대한 공식 관점과 얼마나 일치했을까? 배우지 못하고 표현도 제대로 못하는 대다수의 심정을 우리는 기록된 행동과 학자들의 코멘트에서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마녀들의 해머>는 가축한테 마법 걸기를 다룬 장에서 중세 시골 생활에 관해 흥미로운 자료를 담고 있다. 지금 시대 생활이 못마땅하기 때문에 그 시대의 상당한 공포를 못 보는 감상주의자들이 아직도 아련한 노스탤지어를 품는 그 당시 생활은 이렇다. 

  「아주 작은 마을에서도 아낙네들이 서로 (주문을 걸어) 다른 집 젖소들의 젖을 마르게 하고, 나아가 죽게 하는 일이 아주 흔하다.」 

  네 세대가 지나 잉글랜드 성직자인 조지 기포드와 새뮤얼 하스넷은 맹신적 히스테리에 사로잡힌 당시 사회의 시골 생활을 이렇게 묘사한다. 

 

  「어떤 아낙이 이웃 여자와 척지고 지내던 중 그 여자가 심하게 다치게 되면… 동네 사람들이 뭔가 의심을 품는다. 그 뒤 두어 해 지나서 그 아낙이 다른 여자와 다투었는데, 그 사람도 병에 걸린다. 사람들이 이걸 보며 예전 일을 떠올린다. 다들 수군대기 시작한다. 아무개는 마녀야… 이제 다들 그녀를 꺼리고 겁내게 된다. 이웃들이 감히 아무 말도 못하지만 속으로는 그 아낙이 교수형 당하기를 몹시 바란다. 불과 얼마 뒤 다른 이웃 남자가 병에 걸려 수척해진다. 이웃들이 그에게 와서 묻는다. 

 

  “이봐요, 아저씨, 흉악한 저주의 눈길이 의심되지는 않아? 혹시 아무개 아낙을 화나게 한 적은 없어요?” 

  그가 대답한다. “아, 맞아요, 맞아! 난 오래 전부터 그 아낙이 마음에 안 들었지. 내가 그 여자를 화나게 했는지는 모르겠어. 혹여 내 아내가… 아내가 그 아낙한테 닭들을 우리 채마밭에 풀지 말라고 했거든, 나도 그랬고… 그것 때문에 그 여자가 나한테 마법을 건 게 분명해.” 

  이제 다들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그래, 그 여자는 정말 마녀야… 그건 틀림없어, 왜냐면 그 여자 집에서 나온 족제비가 옆집 마당으로 들어가는 걸 내가 봤거든, 근데 그 직후 그 집 사람이 병에 걸렸잖아! 

  병자는 죽어 가면서 자기가 마법에 걸렸다고 말한다. 마을사람들이 아무개 아낙을 붙잡아 감옥에 보낸다. 재판정에서 혹독한 심문에 이어 유죄를 선고 받는다. 그리고 이미 올가미 아래 서서 자기는 아무런 죄가 없다고 항변한다.」 

 

  이건 조지 기포드의 기록이고, 새뮤얼 하스넷은 소론 <로마가톨릭 사칭을 폭로함>에서 이렇게 전한다. 

  「그렇다면, 오호, 경계하고 주변을 살펴보시오, 이웃들이여! 만약 여러분 중 누군가의 암양이 어지럼증에 시달리거나, 돼지가 항아리손님에 걸리거나, 말이 휘청거리거나, 사내애 손이 부러지거나, 계집애가 빈둥거리거나, 젊은 처녀가 퉁퉁거린다면, 또 만약 당신 오트밀에 버터가 없거나 당신 가족이 궁핍하게 산다면… 이건 분명해, 늙은 할망구 놉스가 다 잘못한 거요. 그 여자가 당신 딸을 ‘빈둥거리는 게으름뱅이’라고 부르지 않았소? 혹은 악마로 하여금 딸에게 생채기를 내라고 주문하지 않았소? 그렇다면 놉스는 틀림없이 마녀인 게요.」 

 

  미신과 두려움과 편견과 상호 악의에 단단히 기초한, 중세 시골 마을들의 이런 장면이 현대의 우리한테도 묘하게 섬뜩해 보인다. 왜냐하면 오늘날에 와서도 그런 것들이 본질적으로는 그리 달라지지 않았으니 말이다

  그런 것들이 우리한테 <25시>와 <1984>의 어떤 페이지들을 아주 강하게 연상시킨다. 루마니아 사람이 현재와 바로 얼마 전의 악몽 같은 사건들을 묘사하고, 영국 사람이 사탄의 미래를 예견하는 페이지들.[각주:3] 

 

   당시 세간의 여론이 어떠했는지 중세 식자들이 상당히 소상하게 기록했다. 그러나 단어들보다 기록에 보전된 행위를 보면 우리는 당시 민간의 분위기를 훨씬 더 잘 알게 된다. 즉, 사회는 마법을 철두철미 믿고 악마를 겁내면서 이른바 마녀들에게 주기적으로 린치를 가했다. 우리 책에 기술된 사건들과 거의 비슷한 시기 프랑스 역사에서 한 가지 사례를 든다. 

  1644년 여름 맹렬한 폭풍이 우박을 동반하여 지나간 뒤 본(Beaune) 인근 몇몇 마을 주민들이 자기네 농작물을 죄다 망가뜨린 악마의 화신에게 보복하기 위해 한데 뭉쳤다. 마녀 냄새를 기막히게 맡는다고 자신한 17세 젊은이의 지휘 아래 농민들은 많은 여인을 붙잡아 초죽음이 되도록 뭇매를 가했다. 또 다른 용의자 여인들을 불에 달군 삽으로 지지거나 벽돌 가마에 집어넣고 지붕에서 내던졌다. 이 테러의 광란을 끝내기 위해 디종 시 고등법원이 무장 경찰대와 함께 특임관리 둘을 파견했다. 

 

  우리가 보다시피 세간의 여론은 신학자들이며 법률가들의 뜻과 완전히 일치했다. 하지만 식견 있는 이들은 거기에 휩쓸리지 않았다. 크래머와 슈프렝거는 마법의 실체를 의심하는 사람들에 대해 분개하여 적는데, 이미 15세기 말엽에 그런 회의론자들이 상당히 많았던 것이 분명하다

 

  유명한 책의 공저자는 모든 신학자들과 교회법 학자들이 아래와 같이 말하는 불신자들을 준엄하게 질타한다고 지적한다. 즉... 

  「세상에 마법이란 없고, 그건 어떤 숨겨진 원인 때문에 발생하는 자연적 현상을 악마가 마녀들과 결탁하여 일으킨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상상일 뿐이며, 그건 또 그들이 아직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는 원인들에 대해 무지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말하는 사람들 말이다. 

  이 파멸적인 망상을 모든 교회박사들은 한 목소리로 질타하며, 성 토마스는 이 오류가 그리스도를 믿지 않음에서 비롯된다면서 의심하는 자들을 더 격렬하게 공격하며 진짜 이단이라고 낙인찍는다.」 

(5편 계속) 

(알림)  Voice Training에 관심 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해 주세요.

관련 포스트:

루덩의 악마들 5편 1

루덩의 악마들 4편 5

루덩의 악마들 4편 1

루덩의 악마들 3-3편 3

루덩의 악마들 3-3편 1

루덩의 악마들 3-1편

루덩의 악마들 2편 7

루덩의 악마들 2편 5

루덩의 악마들 2편 3

루덩의 악마들 2편 1

루덩의 악마들 1편 8

루덩의 악마들 1편 6

루덩의 악마들 1편 4

루덩의 악마들 (1편 1)

역사의 메아리 (올더스 헉슬리 소개와 작품 해설 4. 끝)

역사의 메아리 (올더스 헉슬리 소개와 작품 해설 3)

역사의 메아리 (올더스 헉슬리 소개와 작품 해설 2)

역사의 메아리 (올더스 헉슬리 소개와 작품 해설 1)

 

 

 

  1. Saint Thomas Aquinas (1225–1274) - 이탈리아의 가톨릭 신학자, 스콜라학파 전통의 철학자. 자연신학의 선구자. [본문으로]
  2. James Hepburn, 4th Earl of Bothwell (1535-1578) - 스코틀랜드 여왕 마리 스튜어트의 세 번째 남편. 동시대인들한테서 마법과 요술을 쓴다고 비난 받았다. Marquise de Montespan (1641-1707) - 루이 14세의 총애를 받았고, 그 사이에서 일곱 자식을 보았다. 뛰어난 미모, 끝없는 허영심, 정치적 영향력. 나중에 총애를 잃은 가운데 ‘독약 사건’에 연루돼 마법과 사탄 숭배라는 죄명으로 기소됐다. [본문으로]
  3. *<25시> - 루마니아 망명 작가 콘스탄틴 게오르규(1916-1992)가 1949년 발표한 소설. *<1984> - 영국 소설가 조지 오웰(1903-1950)이 1948년 발표한 소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1932) 및 자먀찐의 <우리들>(1921)과 더불어 3대 디스토피아 소설로 꼽힌다. [본문으로]</우리들></멋진></1984></25시>
728x90

'루덩의 악마들 (헉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덩의 악마들 5편 4  (0) 2019.07.15
루덩의 악마들 5편 3  (0) 2019.07.15
루덩의 악마들 4편 5  (0) 2019.07.14
루덩의 악마들 4편 4  (0) 2019.07.14
루덩의 악마들 4편 1  (2) 2019.07.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