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거짓말쟁이의 제스처>를 살펴봤는데, 그 원칙은 거의 다 폴 에크만의 이론에서 나온 것이다.
제스처며 신체언어에 관한 이론과 해석이 참으로 구구하고 중요하지만, 요긴한 것을 몇 가지 정리한다.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고 교섭하고 담판 지을 때,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1. 코끝을 문지르기. 위선이나 기만의 제스처. 거짓을 말하면서 자기도 모르게 손으로 입을 가리려 드는 듯하다가, 그 행동을 금방 멈추면서 나오는 것. 만약 청자가 이런 제스처를 취한다면, 그건 자기가 듣고 있는 것을 썩 믿지 못하겠다는 뜻.
2. 입 주변에서 취하는 움직임. 입술 만지는 동작은 어린애들이 손으로 입을 가리는 것과 비슷하게, 하려는 말을 내면에서 막으려는 시도. 입에 갖다 댄 여느 물건도 다 그런 표시이겠다. 단, 아랫입술을 만지는 동작은 어떤 결정을 내리기 전에 생각을 정리한다는 표시.
3. 눈꺼풀 비비기. 역시 기만의 표시. 거짓말하는 사람은 상대방 눈을 직시하기 힘들다. 그래서 시선을 차단하는 동작을 자기도 모르게 취하는 것.
4. 목을 긁적거리거나 칼라 잡아당기기. 거짓말을 하거나, 최소한 불편한 상태에 있다는 표시. 그 이유는 <거짓말쟁이의 제스처> 편에서 소개.
5. 주머니에 찔러 넣은 손. 뭔가를 감추려는 시도이면서 동시에 자신감의 표시. 직장에서 상사와 얘기할 때 이런 제스처를 금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
6. 주변 사람들에게 손바닥 펴 보이기. 솔직함과 개방성의 표시. 그러나 이런 해석 때문에 의도적으로 이런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도 있음에 주의해야.
7. (헛)기침. 거짓말한다는 또 다른 신호. 기침으로 한숨 돌리면서 거짓말에 자신을 맞추기 위함.
8. 담배나 물 잔을 가지고 하는 행위. 기만의 표시, 휴지를 취하는 방법
9. 두 손 잡기, 모아서 앞에 두기. 차분해지려고 애쓴다는 표시. 이는 부모가 손을 잡아주어 안정감을 느끼던 유년기로 돌아가려는 심리에서 나온다. 선 자세에서 모은 두 손을 앞에 늘어뜨린다면, 방어막을 치려 한다는 뜻.
10. 뒷짐질 대담함과 배짱의 표시. 왜냐면, 복부와 심장, 목 같이 상처받기 쉬운 부위를 과감히 드러내니까. 뒷짐 진 한 손이 (다른 쪽 손에서 손목, 팔꿈치, 상박 등으로) 더 높이 올라갈수록 더 혼란스럽고 화나 있다는 뜻. 반대로, 더 낮은 위치에 있을수록 더 차분하고 이완돼 있다는 뜻.
11. 머리 뒤로 올린 손. 우월감이나 초연함의 표시
12. 아래턱을 문지르거나 입술 만지기. 머릿속에서 어떤 결정을 내리려 한다는 표시
13. 두 손을 마주대 뾰족하게 첨탑 세우기. 우월감의 표시
14. 팔짱 낀 채 엄지 세우기. 두 가지 시그널을 동시에 담고 있다. 1) 우월감 (엄지) 2) 방어 자세 (팔짱)
15. 불끈 쥔 주먹. 공격적인 제스처
16. 안경 너머로 눈길 던지기. 오만함, 우월감, 비판적 태도 등의 신호
17. 손가락을 입에 물기. 초조하고 긴장돼 있다는 표시. 상대방의 지지와 동의를 구하는 신호. 손가락 대신 담배나 파이프, 볼펜, 안경다리 등도 가능.
* 하지만 제스처 해석에서 가장 주의할 점은…
어떤 제스처 각각에 눈길 돌릴 것이 아니라, 여러 제스처간의 결합과 그 종합적인 판단이 중요하다는 것. <제스처 사슬>, <시그널 다발>, <코드 클러스터> 등.
예를 들어, 미소란 본래 '위협하는 제스처였으나 ('이빨' 드러내니까), 다른 여러 우호적인 제스처와 결합하면서 오늘날의 의미를 띠게 됐다.
* 우리 사회에서 정치인이나 방송 진행자, 강사 등이 자신을 광고하는 사진을 내면서, 팔짱 낀 모습을 많이 쓰고 있는데, 이건 작지 않은 실수일 것.
왜냐면, 팔짱 끼는 제스처는 '방어적, 폐쇄적, 배타적, 울타리 치는 느낌을 연상시키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