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호흡13

목소리: 호흡과 이완 목소리: 호흡과 이완 - 가장 기본적인 목소리 훈련 과제: 올바르게 호흡하고 긴장된 근육 풀어주는 법을 익히며 다른 이들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좋게 만들기. 왜 중요한가: 듣기에 상쾌한 목소리는 긴장을 덜어주며 귀를 모으게 한다. 불쾌한 목소리는 소통을 방해하며 청자들은 물론이고 말하는 당사자한테서도 부정적 감정을 일으킬 수 있다. 누군가에게 하는 말은 그 내용뿐 아니라 말하는 방식도 듣는 사람한테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거칠고 차가운 목소리보다 부드럽고 유쾌하고 친절하고 호감 가는 목소리로 말하는 사람의 얘기에 더 귀 기울이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목소리는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점을 먼저 인식해야 한다. 즉, 다른 누군가가 말하는 것처럼 말하려 해서는 안 될 일이다. 자기 본연의 목소.. 2020. 11. 13.
폐. 폐와 조직의 가스 교환 호흡 정리 3 3. 폐, 폐와 다른 조직에서 일어나는 가스 교환 폐는 흉강의 빈 공간을 다 차지한다. 폐가 팽창하면 그 부위가 횡격막에 인접한다. 주기관지와 폐동맥, 폐정맥이 심장과 접하는 안쪽에서 폐로 들어간다. 이렇게 기관지나 혈관, 림프관 등이 (즉, 폐 뿌리가) 연결되는 폐의 입구 부위를 폐문이라 부른다. 좌우 폐는 각각 흉막으로 덮여 있다. 흉강을 안쪽에서 둘러싸는 흉막이 벽쪽흉막이다. 내장쪽흉막과 벽쪽흉막 사이에 좁은 틈이 있다. 이건 흉막강이라 불리며, 호흡 때 폐 벽이 매끈하게 움직이도록 돕는 체액이 소량 채워져 있다. 흉막액은 흉막 모세혈관에서 분리되어 림프계를 거쳐 배출되면서 끊임없이 바뀐다. 흉막강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고, 그래서 폐가 항상 곧게 서 있다. 폐에서 일어나는 가스 교환.. 2020. 9. 7.
당신의 진짜 목소리 되찾기 (4-4) 당신의 진짜 목소리를, 내추럴 보이스를 되찾는 실습 (4) (왜냐하면, 내추럴 보이스의 아름다움을 속박하는 근육 갑옷이 점차 녹으면서 목소리의 힘과 맑음이 커질 테니까. -----> 계속) ※ 각종 심리적 요인으로 인해 근육이 억눌리고 뭉치면, 그 부위에서 생체 에너지 (중국 식으로는 기, 인도의 용어로는 프라나) 흐름이 막히게 된다. 빌헬름 라이히는 인체를 7개 구역으로 나눠 에너지 흐름이 막히는 원인과 증상 등을 설명한다. 자세한 내용은 곧 소개한다. 호흡 전문가들은 호흡을 의도적으로 관리하면 안 된다고 말한다. 호흡을 다듬으면서 우리는 그걸 이미지를 통해 간접적으로 다룰 것이다. 실습 첫 대목은 의자에 앉아서 수행한다. 의자에 반듯이 앉아서, 궁둥뼈 위에 앉아 있음을 느끼라. 만약 무게중심을 좌측과.. 2020. 6. 7.
내추럴 보이스 되찾는 방법 (4-1) 당신의 진짜 목소리를, 내추럴 보이스를 되찾게 해주는 이론과 실습 (1) ‘억눌림이 없고 강한 호흡이 떠받치며 선명한 감정으로 채색된, 나의 진짜 목소리는 어떻게 울릴까?’ 이런 궁금증을 풀기 위해 첫걸음을 떼고 싶다면, 이 포스트는 당신을 위한 것.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연습 몇 가지를 습득하면 된다. 제시한 실습의 효과를 보려면, 진지하게 의식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목소리 작동 ‘메커니즘’ 탐구에 시간을 약간 들일 필요가 있다. 흠, 목소리는 우리 내면에서 어떻게 생기는 거지? 뭔가를 말하려 하되, 실제로 소리 내고 입을 떼지는 말라. (말하려는 의도만 일으키라.) 맨 처음에 임펄스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당신이 대화 상대의 말에 응답하려 할 때, 이 의도가, 이 임펄스가, 온몸에 전.. 2020. 6. 3.
natural tone 소리 내기 내추럴 톤 소리 내기 (14군 실습) 목적 – 가슴 울림 강화, 성대 접촉, 후두 이완 102. 온몸 근육을 이완 상태로 한다. (진동 감지 위해) 오른손을 가슴에 대고 (따스한 날숨 감지 위해) 왼쪽 손등을 입 앞에 둔 채, 을 이용하여, 나직하고 고르게 신음소리를 낸다. 여러 모음으로 소리를 내되, 신음소리에 가장 적당한 , 로 시작해서 로 이동. 이런 식: 따스한 날숨 – 신음 - 따스한 날숨. 즉, 숨 내쉬는 과정에 신음소리를 집어넣기. 이때 들숨을 크지 않게 할 필요. 들숨이 크면, 이 실습이 잘 안 되어 긴장된 소리가 나올 수 있다. 실습이 제대로 되면 하품하는 느낌이 있으며, 목구멍 부위에 그 어떤 압박감도 들지 않는다. 103. 기음 어택으로 (가벼운 [흐] 소리 실린 따스한 날숨으로) 시.. 2019. 5. 29.
말의 비언어적 요소 말의 비언어적 요소   말(스피치)의 어떤 비언어적 특징이 내용 파악에 영향을 끼치나?   이건 무엇보다도, 억양 - 음색 - 템포와 리듬 - 호흡 - 조음 - 강약. 이런 특징들이 합쳐져서 사람의 ‘목소리 초상화’를, 그의 내면 상태를, 외적 행동을, 심지어 그의 개인 스토리를 드러낸다.   전화 협의나 상담처럼 상대를 안 보고서 많은 일을 결정하게 되는 오늘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청각적 숙련은 특히 필요하고 중요하다. 우리가 통화하는 상대는, 우리가 말하는 투 하나로 우리에게 호감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도 오직 목소리에만 의존하여 상대의 성격과 분위기 따위를 파악하게 된다.  더 잘 들으려고 상대방 말에 집중할 필요가 있을 때, 우리는 눈을 감기도 한다. 그때 상대방 목소리에 따라.. 2019. 5. 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