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성대주름17

어린애 목소리 형성의 기반 표현력 좋고 듣는 이들에게 잘 인식되는 말은 (말소리는), 목소리 기구의 주요 구성요소가 적절하게 서로 작용할 때 형성된다. 이 요소에는 이런 것이 있다. - 소리 발생기 (후두, 성대주름) - 공명 부위 (흉강, 구강, 비강, 부비강) - 호흡 부위 (기관/숨통, 폐, 횡격막) - 조음 기구 (혀, 입술, 턱). 목소리 형성의 원천은 언어 호흡. 이는 말하면서 이용하는 호흡. 음파의 형성과 전달을 촉진하는 음향 수단은 바로 날숨 (내쉬는 공기). 최적의 언어 호흡 형태는 하부 늑골 호흡으로서, 이는 늑간근과 횡격막, (내외)복사근을 수축하여 수행한다. ☞ 언어 호흡 폐와 기관지에서 밀려난 공기는 나가는 경로에서 저항을 받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닫히고 긴장된 성대주름. 성대가 진동하면서 소리가 생기게 .. 2021. 2. 13.
목소리, 알파에서 오메가 (4) - 오디오 들으며 알고 실행하기 (4) 19. Voice Production (정신물리학적 측면. 소통의 시작은? 임펄스 고찰. 사회화) 20. 목소리가 잘 울리지 않는 까닭은? (목소리 생산에 부정적 요소 - 호흡에서, 후두에서, 성대에서, 공명기관에서, 조음기관에서, 자세에서, 심리 상태에서) 21. 이완 (Relaxation). 긴장, 경직, 스트레스, 유유화화 (얼굴, 목, 턱 근육 이완) 22. 호흡-발성-조음 기관의 이완. 이완과 감정 발산 (척추 이완과 정렬, 혀 근육) 23. 소리 건드리기 (프리마 톤, 진동 만들고 느끼기) (알림) Voice Training에 관심 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해 주세요. 관련 포스트: 목소리: 호흡과 이완 내추럴 보이스 복원 방법 (4-2) 좋은 목소리 만들.. 2020. 12. 14.
목소리, 알파에서 오메가 (3) - 오디오 들으며 알고 실행하기 (3) 13. 날숨의 경제적 이용. 늑간근-횡격막 호흡 14. 심상을 활용한 호흡 연습. 자연스러운 임펄스 15. 심상 활용 호흡 실습, 연꽃 (Lotus) 16. 언어 호흡 (날숨) 실습 계속 (이완, 자세) 17. 호흡에 관한 이해, 호흡과 목소리 18. 목소리 작동 메커니즘 (알림) Voice Training에 관심 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해 주세요. 관련 포스트: 날숨 키우기 아이들 공명 노래 기법 (2) 목소리: 호흡과 이완 하품하는 호모 사피엔스 (?) 건강을 망가뜨리는 과호흡, 심호흡 횡격막 경련 제거 (2-2) 바이러스성 질환 예방 호흡 호흡 체계와 호흡 조절 목소리의 원천은 기관지 시스템 새의 호흡 시스템 (이중 호흡) 내추럴 보이스 되찾는 방법 (4-1).. 2020. 12. 9.
목소리: 호흡과 이완 목소리: 호흡과 이완 - 가장 기본적인 목소리 훈련 과제: 올바르게 호흡하고 긴장된 근육 풀어주는 법을 익히며 다른 이들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좋게 만들기. 왜 중요한가: 듣기에 상쾌한 목소리는 긴장을 덜어주며 귀를 모으게 한다. 불쾌한 목소리는 소통을 방해하며 청자들은 물론이고 말하는 당사자한테서도 부정적 감정을 일으킬 수 있다. 누군가에게 하는 말은 그 내용뿐 아니라 말하는 방식도 듣는 사람한테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거칠고 차가운 목소리보다 부드럽고 유쾌하고 친절하고 호감 가는 목소리로 말하는 사람의 얘기에 더 귀 기울이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목소리는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점을 먼저 인식해야 한다. 즉, 다른 누군가가 말하는 것처럼 말하려 해서는 안 될 일이다. 자기 본연의 목소.. 2020. 11. 13.
변성기 “엄마, 내 목소리가 이상해요.” - 변성기의 단계와 성별 특징 자연은 사람이 소통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아이들은 거의 모두 청아한 목소리를 가지고 태어나는데, 이것이 청소년기에 이르러 어떤 변화를 맞게 된다. 이 과정은 사실 남자와 여자의 성대에 다 해당하는데, 소녀들 경우에 크게 눈에 띄지 않을 뿐이다. 변성은 어떻게 진행되나? 소리 생성에는 후두와 성대주름, 폐, 흉곽, 비인두 등이 관여한다. 공기가 폐에서 나와 성대에 이르러 성대를 떨게 한다. 흉곽과 비인두는 공명기 역할을 한다. 소리 높이는 성대주름 두께에 달려 있다. 소녀들 경우처럼 성대가 더 얇을수록 목소리가 더 높고, 소년들 경우에 그렇듯이 성대가 더 두툼할수록 목소리는 더 낮게 나온다. 사람은 태어날 때 작고 얇은 성대주름을 지닌.. 2020. 10. 9.
호흡 체계와 호흡 조절 호흡 정리 4 4. 호흡 메커니즘 들숨과 날숨 이산화탄소가 혈액으로부터 폐포의 공기로 계속 들어가고 산소가 혈액에 흡수되어 소비되는 만큼, 폐포의 가스 구성을 위해서는 폐포의 공기가 순환되어야 한다.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호흡 덕분에 폐포에서 환기가 이뤄진다. 폐 자체에는 근조직이 없어서 공기를 압축하거나 폐포에서 내보낼 수 없다. 폐는 흉강의 크기 변화를 수동적으로 따를 뿐이다. 폐와 흉강 벽 사이의 틈새 같은 공간인 흉막강의 압력이 폐의 공기압보다 더 작은 만큼, 폐는 항상 흉강 벽에 붙어서 흉강 모양의 변화를 고대로 따른다.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 흉막은 벽쪽흉막의 형태를 반복하면서 그걸 따라 미끄러지듯 움직인다. 들숨은, 횡격막이 내려가면서 복강의 장기를 밀어 내리고 늑간근이 흉곽을 위로 앞으로 .. 2020. 9.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