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rc="https://cdn.subscribers.com/assets/subscribers.js"> '근접발달 영역의 법칙' 태그의 글 목록
728x90

'근접발달 영역의 법칙'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9.08.05 규칙 2를 지키지 않을 때 어떤 현상이? (7)
  2. 2019.08.04 3과. "우리, 함께 해 볼까?" (6) 2
728x90

 

*    *    *

부모의 이른바 (잘못된) '교육적인 고려' 때문에

아이가 힘들어하는 영역에 아이를 혼자 놔두는 것이 왜 큰 실수인지 이제 분명히 이해됐으리라.

이건 아이의 발달에서 중요한 심리적 법칙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아이들은 지금 자기한테 필요한 것을 잘 느끼며 잘 안다고 말할 수 있다. 

아이들이 이런 말을 꺼내면서 얼마나 자주 부모에게 요청하는가. 

“같이 놀아요”, 

“놀러 나가요”, 

“함께 만들어요”, 

“나도 데리고 가”, 

“나도 있어도 돼요?” 등등. 

 

만약 당신에게 정말 거부하거나 미뤄야 할 심각한 이유가 있지 않다면,

대답은 언제나 “그래, 그러자꾸나!”가 되어야 한다

 

아이의 그런 요청을 부모가 잘 들어주지 않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나?

한 심리 상담에서 오간 대화를 예로 들자. 

 

엄마가 집안일로 분주한데 아이가 놀아 달라고 청한다.

엄마: 우리 애는 좀 이상해요, 정상이 아닌가 봐요. 얼마 전 남편과 식탁에 앉아서 얘기하고 있는데, 막대기를 들고 나한테 다가오더니 대뜸 찌르지 뭐에요

상담사: 당신은 아이와 시간을 주로 어떻게 보내나요?

엄마: 아이하고 시간을 어떻게 보내냐구요? 같이 보낼 시간이 어디 있어요?! 집에서 난 집안일로 늘 바쁜걸요. 한데 아이가 꽁무니를 졸졸 따라다니면서 “나랑 놀아 줘” 하고 조르지요. 그러면 난 “그만해라, 혼자 놀아, 장난감이 다 있잖아?” 하고 응답하구요.

 

상담사: 그럼, 남편은 아이하고 놀아주나요?

엄마: 무슨 말씀을! 퇴근해서 돌아오면 소파에 누워 티브이에 목을 빼는데…

상담사: 아이가 아빠한테 잘 다가가나요?

엄마: 물론, 다가가지요, 하지만 남편이 아이를 내밀어요. "봐라, 난 피곤하다, 엄마한테 가 보렴!”  

 

아빠가 퇴근해서 티브이 앞에 앉아 있고 아이가 놀아 달라고 청했지만 거부당한다.

이런 상황에서 애정 욕구가 충족되기는커녕 마음 상한 아이가 ‘물리적인 행동 방법’으로 돌아선 것이 과연 놀라운 일일까?

아이의 공격성은 아이에 대한 부모의 비정상적 소통 스타일에 대한 반응, 정확히 말해 불통에 대한 반응이다.

그런 소통 스타일은 아이의 발달을 가로막을 뿐 아니라 때로는 정서상의 문제를 심각하게 야기하기도 한다.

 

*     *     *

이제 <규칙 2>를 어떻게 적용할지, 구체적인 사례에서 살펴보자.

 

알려지다시피 책 읽기를 좋아하지 않는 아이들이 있다. 부모들은 당연히 속이 상해서 아이가 책과 친해지게 하려고 갖가지 수단을 동원하지만, 그래도 여의치 않다.

 

내가 아는 어떤 부모 역시 아들이 책을 전혀 읽지 않는다고 하소연한다. 부모는 아이가 교양 있고 책을 많이 읽으면서 크기를 원했다. 부모는 무척 바쁘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일이라야 ‘가장 흥미로운’ 책들을 사다가 아들 책상에 올려놓는 것이었다. 물론 아이한테 책을 열심히 읽어야 한다고 당부도 하고 요구하기도 했어. 하지만 사내애는 흥미진진한 모험이나 판타지 소설들은 무심하게 잔뜩 쌓아둔 채, 아이들과 공놀이나 하려고 밖으로 나가곤 했다.

 

부모가 재미난 책들을 사다가 책상에 놓아두지만 아이는 밖으로 나돌기만 한다.

이런 상황의 타개책으로 부모들이 예전부터 알아냈고 또 늘 새로이 알아차리는 더 미더운 방법이 있다.

바로, 아이와 함께 책 읽기

많은 가정에서 아직 글자를 모르는, 취학 전 아이에게 소리 내어 책을 읽어 준다.

그러나 어떤 부모들은 아들이나 딸이 이미 학교에 들어간 뒤에도 계속 그렇게 한다.

“이미 글자를 깨친 아이하고 얼마나 오랫동안 함께 책을 읽어야 하나요?”

하는 질문에는 일관되게 대답하기가 불가함을 먼저 밝힌다. 

독서의 자율화 속도가 아이들마다 다르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건 아이들 대뇌의 개별적 특성과 관련된다). 그렇기 때문에 책 읽기 습관이 굳어지지 않은 시기에는 아이가 책 내용에 흠뻑 빠지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들이 참석하는 한 세미나에서 어떤 엄마가 아홉 살 된 아들에게 책 읽기에 어떻게 흥미를 일으킬 수 있었는지 자신의 경험을 소개했다. 

 

철수는 책을 썩 좋아하지 않고 읽어도 게으름 피우면서 느릿느릿 뜨문뜨문 읽었어요. 읽어 내는 분량이 적기 때문에 빨리 읽기도 배울 수 없었구요. 악순환 같은 것이 생길 수밖에 없었습니다.
어떡하나, 고민하다가 아이가 책에 흥미를 갖게 하자고 마음먹었어요.
재미난 책들을 골라서 밤에 아이에게 읽어 주기 시작한 겁니다.
그러다 보니, 잠잘 시간쯤 되면 아이가 침대에 들어가서 내가 집안일을 마저 끝낼 때까지 기다렸어요. 

우린 책을 읽으면서 줄거리에 흠뻑 빠졌습니다. 다음엔 무슨 이야기가 나올까?
이미 불을 끌 시간이 됐는데도 아이는 “엄마, 한 쪽 더 읽어 주세요!” 하고 청합니다.
그리고 나한테도 궁금한 건 마찬가지이고…
그러면 “5분만 더 읽자”고 확실하게 약속한 뒤에 마무리를 짓습니다. 

엄마가 저녁마다 아이가 잠자리에 들 때 책을 읽어주기 시작한다.

얼마 지나자 아이는 다음 날 저녁이 되기를 초조하게 기다리곤 했어요.
때론 기다리지 못하고 스스로 이야기를 끝까지 다 읽더군요. 특히 남은 대목이 얼마 안 될 때 말이지요.
지금은 외려 아이가 나한테
“오늘 저녁에도 책을 꼭 읽어 주세요!”
하고 먼저 당부를 합니다. 나 역시 새로운 이야기를 소개하기 위해 책을 다 읽으려고 애쓰곤 했지요. 그렇게 아이가 점차 책을 손에 쥐더니, 이제는 책을 손에서 뗄 수가 없게 됐어요.

 

이 스토리는 엄마가 아이에게 근접 발달 영역을 어떻게 만들고 습득하도록 도왔는지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이다.

엄마의 도움과 가이드 덕분에 아이가 이미 그 나이에 일일불독서 구중생형극 (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의 수준에 오르게 됐음을 알 수 있다. 그뿐 아니라, 기술한 규칙에 맞게 부모가 행동할 때 아이와 좋은 관계를 얼마나 쉽게 맺고 유지할 수 있는지를 이 사연은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이제 <규칙 2>를 더 구체적으로 적어 보자. 

만일 아이가 힘들어하고 당신 도움받을 준비가 돼 있다면, 반드시 도우라.
이때...
►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없는 것만 당신이 하고, 나머지는 아이 스스로 하도록 맡긴다. 
► 아이가 새로운 행동을 습득함에 따라 그것을 점차 아이한테 넘긴다. 

 

보다시피, <규칙 2>는 아이가 어렵게 여기는 일을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 설명한다.

다음 사례는 이 규칙의 보충 사항들이 뜻하는 바를 더 세세하게 알려준다. 

<계속> 

(알림)  Voice Training에 관심 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해 주세요.

관련 포스트:

자녀와 소통, 어떻게? (1)

1과. 조건 없는 수용이란? (2)

질책과 비난 섞지 않고 자기감정 드러내기 51

사람과 물건

자신과 타인을 판단과 평가 없이 대하기 49

에고가 아니라 '참된 나'로 관계를 맺기 48

1부. 지붕 위에 사는 카를손 1. 카를손과 만나다

도움을 청하지 않는 한 아이 일에 끼어들지 않는다 (5)

루덩의 악마들 11편 3

자장가 (a lullaby)

목소리와 여성 에너지

여성의 속삭임

변성기 아이들

어린 아들 딸과의 대화

달과 아빠

수다쟁이 어린 딸

신체언어 달인 아역 배우 13인

 

728x90
728x90

 

만약 어떤 작업을 아이가 힘들어한다면... 

규칙 2. <근접 발달 영역> 법칙. 
이 법칙을 고려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 
책 읽기의 사례
설명이 있는 규칙 2. 
자전거 타기 학습
가정에서 수행할 과제 
부모들의 질문

 

엄마와 아이가 모자이크를 함께 한다.

앞선 레슨에서 우리는,

아이가 뭔가를 스스로 하기 원하고 즐거이 그렇게 한다면 아이를 가만 놔두는 것이 중요함을 이야기했다. (규칙 1).

그런데 아이가 스스로 해낼 수 없을 만큼 큰 어려움에 부닥쳤다면, 이건 다른 문제이다. 이때는 불간섭 원칙이 바람직하지 않으며, 그렇게 한다면 해만 초래할 수 있다.

 

한 사례로서 11세 소년의 아빠가 전하는 얘기를 들어본다. 

아들 생일에 우리부부는 조립 블록을 선물했어요.
아이가 아주 좋아하면서 그걸 가지고 놀기 시작했지요. 
일요일이라서 난 어린 딸과 거실 카펫 위에서 놀고 있었는데, 5분쯤 지나
“아빠, 여기가 조립이 잘 안 되는데 도와줘요”
하는 소리가 들려 왔습니다. 나는
“네가 어린애니? 스스로 해보렴” 하고 대꾸했어요. 

아이가 블록 조립을 힘들어하여 아빠에게 도움을 청했는데, 거절당하다.

근데 그 말에 아이가 금방 풀이 죽더니 블록을 걷어 치우고 말더군요.
그리고 그 뒤로는 그걸 아예 쳐다보지도 않았습니다.

도와주기를 거부당한 아이가 토라지다.

많은 부모들이 왜 툭하면 이 소년의 아빠처럼 대응하나?

속마음으로는 가장 좋은 의도에서 그럴 것이다. 즉, 아이가 어려움에 부닥쳤을 때 겁내지 않고 스스로 극복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유도하려는 마음에서 말이다. 물론 다른 이유나 동기도 있겠다. 시간이 없다거나 아이한테 무관심해서, 혹은 부모가 그 작업을 할 줄 몰라서... 

이런 식으로, 좋은 의도에서 부모 나름대로 생각하는 ‘교육적 고려 사항’과 피치 못할 이유들이 전부 우리의 <규칙 2>를 실행하는 데 주된 장애가 된다.

이 규칙을 먼저 일반적인 형식으로 적고, 다음에 더 자세히 설명을 달아 보자. 

 

규칙 2: "만일 아이가 힘들어하고 도움받을 준비가 돼 있다면, 반드시 도우라."

 

“우리, 함께 해 볼까?”

하는 말로 시작하는 것이 아주 좋다.

이 놀라운 말이 아이한테 새로운 기량과 지식, 몰입의 분야로 나아가는 문을 열어 준다. 

 

언뜻 보기에 규칙 1과 2는 모순되는 듯싶다.

하지만 겉으로만 그렇게 보일 뿐, 실제로는 상황이 다르다.

규칙 1이 적용된 상황에서는 아이가 도움을 청하지 않고 심지어 도와주려는 것을 거부하기도 한다.

이와 달리, 아이가 직접 도움을 청할 때는 당연히 규칙 2가 적용된다. 또 “뭔가 잘 안 돼요”,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어요” 하고 하소연하거나 시작한 일을 몇 번 실패한 끝에 아예 포기하는 경우에도 규칙 2가 적용된다.

그런 현상 자체가 도움이 아주 필요하다는 신호니까.

아이가 혼자 손을 씻으려 하는데 좀 어려워 보인다.

                

아이 손 씻는 것을 엄마가 도와준다.

우리의 <규칙 2>는 그냥 쓸만한 조언이 아니다.

 

이건 저명한 심리학자 레프 비고츠키(Vygotsky)가 발견한 심리 법칙에 근거를 둔다. 이것을 그는 <아동 근접 발달 영역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법칙이라 불렀다.

부모라면 누구나 이 법칙을 당장 알아야 한다. 간략히 알아보자. 

근접발달 영역, 아이 혼자 할 수 있는 영역, 아이가 할 수 없는 영역

알려지다시피, 아이들에겐 각 연령대에서 스스로 처리할 수 있는 일들의 한계가 있다.

이 한계를 넘어선 일들은 어른이 개입해야 할 수 있거나 (어른의 도움과 안내가 있어도) 아예 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취학 전 아이는

이미 스스로 단추를 채우고 손을 씻고 널려 있는 장난감을 치우고 정돈할 수 있지만,

하루 동안 해야 할 여러 일을 잘 조직할 수는 없다.

바로 이 때문에 취학 전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 부모들이 이런 말을 자주 입에 올리는 것이다. 

“자, 이젠 우리 철수가 ...을 할 때야”, 

“이제 우린 ...을 할 거란다”, 

“먼저 식사하고 그다음에는...”

 

간단한 도식을 그려 보자. 원 안에 또 다른 원이 들어 있다.

작은 원은 아이가 스스로 처리하는 일들을 표시하고, 작은 원과 큰 원 사이의 영역은 아이가 어른과 함께 해낼 수 있는 일들을 표시한다. 큰 원 바깥에는 아이 혼자서는, 또 어른과 함께라도, 지금은 할 수 없는 과제들이 있다. (그림 3.1).

 

부모와 함께, 스스로. 부모와 함게 하는 영역이 클수록 (근접발달 영역이 클수록) 나중에 아이 혼자 할 수 있는 일의 범주가 커진다.

그림 3.1

 

이제 비고츠키가 발견한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그의 설명에 따르면, 아이가 성장하고 발달하면서 스스로 수행하기 시작하는 일의 범위가 확장되는데, 이건 다 그 이전에 어른들과 함께 수행한 것들 덕분에 그렇다. 달리 말해, 아이가 오늘 엄마와 함께 수행한 것을 내일은 아이 스스로 할 것이다.

바로 ‘엄마와 함께’ 한 덕분에! 

 

함께 하는 영역은 아이의 가까운 앞날에 드러나고 발휘될, 아이의 잠재력이다.

이 때문에 이걸 근접 발달 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이라 부른 것이다

앞의 그림 3-1을 잘 살펴보면,

A의 경우 근접발달 영역이 넓다. 즉, 부모가 아이와 함께 많은 것을 한다. 그러면 조만간 아이는 더 많은 일을 (부모와 함께 해 봤던 일을) 스스로 해낼 수 있게 된다.

B의 경우 근접발달 영역이 좁다. 아이가 힘들어하는 일을 부모가 함께 하기보다는 아이한테 떠맡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면 나중에 아이 스스로 해낼 수 있는 일의 범주도 A의 경우보다 더 좁다. 

 

결론: 

앞의 아이가 더 빨리 발달하고,

자신감이 더 크고,

성공을 거두는 경우가 더 많고,

삶과 하는 일에서 더 행복하게 느낄 것이다. 

식탁 차리는 것을 아이가 거들어주도록 엄마가 도와준다.

   

아이가 쿨컵을 갖고 오는 걸 엄마가 알려주고 돕는다.

 

부모의 좋은 의도 때문에, 이른바 <교육적인 고려> 때문에

아이가 힘들어하는 곳에 아이 혼자 놔두는 것이 왜 큰 실수인지 이제 분명히 이해됐으리라. 

<계속>

(알림)  Voice Training에 관심 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해 주세요.

관련 포스트: 

자녀와 소통, 어떻게? (1)

1과. 조건 없는 수용이란? (2)

1부. 지붕 위에 사는 카를손 1. 카를손과 만나다

사람과 물건

자신과 타인을 판단과 평가 없이 대하기 49

질책과 비난 섞지 않고 자기감정 드러내기 51

'무조건 수용'을 가로막는 원인 (3)

부모의... 도움인가, 간섭인가 (4)

2. 카를손이 탑을 세우다

자장가 (a lullaby)

(70) 시 낭송

6. 카를손이 유령 놀이를 하다 (2-1)

아이들의 스피치 준비

10과. 자녀와 소통 방법 정리 (1부 끝. 37)

아이들의 행동 영역 4가지 (31)

자녀와 갈등, 건설적 해결 방법 5단계 (28)

소중한 일은 절대 미루지 말아요. 야쉰

7과. 부모의 감정은 어떻게 하나? (23)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