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Body Language/개념, 개관6

신체언어 상식 테스트 신체언어 상식 핵심 테스트   1. 개인 소통 때 정보의 몇 % 정도가 단어들로 전달되나?1) 20 %     2) 10 %     3) 40 %     4) 90 % 2. 라는 개념에 들어가는 것은?1) 포즈, 표정, 제스처2) 비언어적 소통 전부3) 무언의 컨트롤4) 소리 없는 시그널들  3. 신체언어 시그널이 없는 대화는 무엇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나?1) 명료한 메시지2) 무덤덤한 소통3) 구두점 없는 글4) 시각적 수단 없는 PT 4. 란 무엇인가?1) 상대방 포즈 복사2) 상반된 포즈 취하기3) 상대방의 말과 제스처 복사4) 자신에게 눈길 끌기.  5. 정신과의사들이 왜 환자의 신체언어에 주목하나?1) 환자가 무엇에 시달리는지 알기 위해2) 풍부한 제스처 이면에 숨기는 것은 없는지 알기 위해3.. 2019. 3. 26.
신체언어에서 공간 (Proxemics) 개인 영역 (공간) '개인 공간'이라는 개념이 근자에 우리 사회에서도 서서히 자리 잡는 듯합니다. 사람마다 워낙 다르다 보니까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남의 집 숟가락이 몇 개인지 알고 이웃집이라 해서 아무 때나 불쑥 문 열고 들어서던' 시절에 비하면 그렇지 않은가, 싶은 것이지요. 그 시절 우리 한국인들에겐 '개인 공간'에 대한 생각이 별로 없었겠는데, 달리 보자면 그만큼 서로 친밀하고 무간하게 지냈다는 뜻이기도 하겠습니다. 일단, 예의범절은 별개로 치고. '개인 공간'은 타인의 침범을 허용하지 않고 편안하게 느끼는 '나만의 영역'이겠지요? 문화마다 차이가 크긴 합니다. 남유럽과 중동에서는 개인 공간이 크지 않은 편이에요. 미국에서는 반경 2피트 (60센티미터) 정도로 봅니다. 친할수록 서로의 '개인 공.. 2019. 3. 19.
신체언어 연구의 세부 영역 신체언어 세부 영역 1부 신체언어 읽기의 원칙과 소개 신체언어 읽을 때 벌거벗은 상태로 연상할 필요 신체언어의 주요 법칙 5가지: 4의 법칙 (일치, 맥락, 베이스라인, 직관) 2부 일반적인 신체언어 읽기 발은 정직해 – 미심쩍다면 발을 보라신체언어와 에너지 이동비언어 소통에서 몸치장이 의미하는 것신체언어에서 어댑터란?비언어적 미세시그널과 미세한 표현/표정 신체언어에서 공간과 영역, proxemics 3부 비언어적 눈 시그널의 의미 눈의 비구두 언어: 눈길 - 우호적인 응시, 친밀한 눈길, 업무적 눈길동공 크기와 거기 숨은 뜻눈의 신체언어: 눈 깜빡임, 눈길 차단, 곁눈질, 눈 번뜩임, 화등잔, 미심쩍은 눈빛, 눈알 부라리기, 훔쳐보는 눈길, 눈썹 꿈틀거림 4부 무언의 입술 언어 미소.. 2019. 3. 19.
신체언어의 기초 신체언어의 기초와 소개 신체언어는 강력한 소통 수단이며,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이 중요성을 잘 알고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누구든 그렇게 할 수 있다. 사람들이 몸짓과 표정을 통해 ‘말한다는’ 점을 심리학자들이 이해할 수 있게 되고 바닥에 깔린 감정과 태도를 드러내는 신체 시그널들을 해석하면서, 신체언어의 연구와 이론이 근래에 와서 (50여 년 어간에) 널리 퍼지게 됐다. 신체언어는 이라 불리며, 때론 으로도 통한다. ‘비언어적 소통’이란 용어는 광의로 쓰이는 경향이 있으며, 용어들 전부에 모호한 측면이 조금씩 있다. 우리는 ‘신체언어’와 ‘비언어적 소통’을 넓은 의미에서 같은 것으로 쓰기로 한다. 또한 신체언어를 사람들이 (입말은 젖혀두고) 얼굴 맞대고 소통하는 방법의 연구로도 본다. 진지한 분석.. 2019. 3. 19.
비언어적 소통 왜 신체언어인가? (비언어 소통의 기능) 비언어 소통이란… 표정과 제스처, 포즈, 눈길, 억양 등을 이용하여 대화자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것. 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언어적 코드(시그널, 징표)들은 1) (구두) 정보를 보충하며 2) 대화자들의 감정을 표현하고 3) 입말을 대체한다. 소통을 더 효율적인 것으로 만들려면 비언어적 시그널들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기술을 갖춰야 한다. 우리는 자신의 제스처며 눈길, 표정 따위로 상대에게 얼마나 강한 감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하지 못할 때도 더러 있다. 비언어 소통의 기능 1) 비언어 시그널들이 우리네 입말에 겹치면서 감성적으로 입말을 보강한다. 2) 표정과 제스처, 포즈는 컨트롤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에 사람의 진면목을 드러낸다. 즉, 아주 달콤하고 그럴듯한 .. 2019. 3. 19.
동작학 (kinesics) 동작학(kinesics)이란? 정의 - 사람들이 서로 접촉하고 소통할 때 취하는 갖가지 몸짓, 제스처, 표정, 눈길 등의 신체 동작과 그것들의 의미 전달 기능에 관한 체계적 연구 분야. *같은 제스처*목소리 관련 요소는 포함하지 않는다. *의 하위분야들 중 하나. (혹은 같은 반열에 두기도 한다.) 동작학의 연구 분야 – 인간의 비언어적 표현에서 동작이 드러내는 모든 것. *표정 (안면근 움직임)*몸짓 (몸통 움직임)*공간 패턴 (영역, 지대, 자기 공간, 이동)*입말 해석에 중요하게 보충된 표현력 (감정과 느낌 표현) 등. 인간 소통에서 비언어적인 현상은 임의적인 것이든 무의식적인 것이든 당초 1) 방어 (거부, 격퇴) 2) 공격 (수용, 획득) 3) 조심 (기대, 예식) 같은 상황에서 적절하게.. 2019. 3.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