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rc="https://cdn.subscribers.com/assets/subscribers.js"> '로이 클락' 태그의 글 목록
728x90

'로이 클락'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9.06.19 Do Show, Don't Tell
  2. 2019.04.29 로이 클락의 글쓰기 도구 50 가지 (2-1)
Books/글쓰기2019. 6. 19. 09:47
728x90

 

  "Show, don't tell!"  

 

“얘기하지 말고, 보여주라." 

글 쓰는 이들이 심심찮게 들었을 이 구호는 도대체 무슨 뜻인가? 

<Telling>은 당신의 해석과 결론을 독자들에게 건넨다는 뜻, 
반면에 <showing>은 독자들이 스스로 결론 내리게끔 세세한 상황과 행위를 충분히 제공한다는 뜻. 

 

do show, don't tell

 

예를 들어본다. 

TELLING: 그녀는 수줍음이 심해서 많은 사람들 속에 있기를 꺼리는 여성이었다. 
SHOWING: 그녀는 한쪽 구석으로 눈길을 돌리다가, 십여 명이 뒤섞여 있는 장면에 숨이 막혔다. 

<보여주기>는 독자를 스토리에 끌어들여서 적극적으로 관여하게 한다. 

<말하기>는 독자를 일방적인 전달의 (강연이나 설교의) 소극적인 수신인으로 만든다. 

 

보여주는 방법 (How to show) 

1. 감각을 적극 활용한다. 

독자가 보고 듣고 냄새 맡을 수 있는 것들을 보여주라.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구체적인 명사와 강한 동사들을 이용하라. 즉, “그녀는 발끝을 세우고 걸었다”가 ‘그녀는 걸었다’보다 더 많은 것을 독자에게 알려 준다. 

2. 독자에게 결론을 안기지 않는다. 

즉, "영희는 믿음직한 친구였다" 하고 말하는 대신, 그런 결론을 독자가 나름대로 내리게끔 영희가 행동하는 장면을 보여주라. 

 

<말하기>임을 가리키는 징조 몇 가지

 

1) 형용사 이용, 특히 연결 동사와 결합해서. 즉, 그녀는 아름다웠다. 그녀는 흥미를 보이는 듯했다. (*she was, looked, felt, appeared, seemed.) 이건 추상적인 형용사일 때 특히 그렇다. 즉, 아름다운, 흥미로운 등. 

(*연결 동사/copula: 주어와 주격 보어를 연결하는 be, seem, appear 등.)

<telling>: 영희는 감명 받은 듯 보이지 않았다. 
<showing>: 영희는 고개 떨구이고 제 코를 내려다보면서 꿈쩍도 안했다.

 

2) 동사 이용하기, 특히 dialogue tag에서.

<telling>: “넌 그렇게 멍청한 거야.” 그녀가 사납게 말했다.
<showing>: “넌 그렇게 우둔한 거야.” 그녀가 문을 쾅 닫았다.

 

3) 감정에 관련된 단어들 이용. 감정을 칭하는 대신, 인물이 무엇을 느끼는지 보여주기 위해, 행동과 본능적으로 우러나는 리액션과 신체언어를 이용하라. 

말하기: “이건 내가 판단할 게 못 돼,” 영희가 특유의 수줍음으로 말했다. 
보여주기: “이건 내가 판단할 일이 아닌데.” 영희는 속눈썹을 내려뜨리고 검은 테가 둘린 손톱들을 응시했다. 

 

4) 대화 라인이 어떻게 읽혀야 하는지 말하기 위해, ‘...말했다’ 같은 dialogue tag를 이용하는 것.

그것보다는, 대화가 스스로 이야기하게 만들라. 

말하기: “꺼져!” 그가 소리쳤다.
보여주기: “지금 당장 꺼져!”

 

5) filter 이용하기. 당신의 캐릭터가 보고 듣고 느끼는 것 등을 독자에게 말한다, 독자가 그것을 직접 체험하게 하는 대신. 

말하기: 영희는 순희가 숨을 가쁘게 몰아쉬는 소리를 들었다. 
보여주기: 순희가 숨을 가쁘게 몰아쉬었다. 

 

 

그럼, 얘기는 (to tell) 언제 해야 하나 

픽션에서 말하기 역시 필요하다. 소설에서 사소한 것들까지 다 보여주기로 한다면, 분량이 엄청나게 늘어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말하는 것이 필요할 때도 있다. 이런 경우가 그렇다. 

 

1) 전환: 말하기는 사소한 것이 발생하는 시간이나 거리의 범위를 축약해 준다. 

예, “그녀는 조반을 챙겨 먹고 직장으로 차를 몰았다” 하고 독자들에게 말하는 것이 더 좋겠다. - 숟가락 동작을 일일이 보여주기보다는.

 

2) 이미 보여준 것을 반복하지 않을 때도 말하기가 필요하다. 

예, “그녀는 증인이 이야기한 것을 보스에게 전달했다.” - 증인과 나눈 이야기를 전부 반복해야 하는 대신.

 

3) 아주 일상적 행위에는 말하기가 더 적절할지도 모른다. 

예, 그녀는 컴퓨터를 닫았다. - "그녀는 마우스를 움직여서 나가기를 클릭했다"  대신.

 

말하지 말고 보여주라

(알림)  Voice Training에 관심 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해 주세요.

관련 포스트: 

우리를 매트릭스에 묶어두는 환상 6가지

진짜 사랑, 그 가혹한 진실 8가지

낱말들이 우리 삶에 어떻게 영향 끼치나

꿈과 꿈 이미지와 시간 흐름

'영혼의 짝'을 만났다는 징표 11가지

파트너의 배신을 알리는 신체 언어 시그널 10가지

08-1. 마인드가 현실의 모델을 만들어 (1)

현명한 독서 방법

샐린저 <호밀밭의 파수꾼>, 흥미로운 사실 10가지

여성 논리에 관한 일화 모음

영상 마케팅이란?

신체언어 카드책 1 워밍업

사르트르 <출구 없는 방> (3)

신언서판에 대해

퍼블릭 스피킹(19) 우리말 잘못 쓰기 경연

구두점 총정리 (5-1)

퍼블릭 스피킹(4) 입말 요소

로이 클락의 글쓰기 도구 50 가지

(35) 수사 장치

 

728x90

'Books >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명한 독서 방법  (0) 2019.10.01
Fiction의 Dialogue 쓰는 요령 10가지  (0) 2019.06.20
로이 클락의 글쓰기 도구 50 가지 (2-1)  (0) 2019.04.29
구두점 테스트  (0) 2019.04.01
구두점 총정리 (5-5)  (0) 2019.04.01
Books/글쓰기2019. 4. 29. 09:46
728x90

 

  글쓰기 도구 50가지  

 

미국에서 널리 알려진 글쓰기 코치 로이 클락의 <글쓰기 도구 50가지>를 소개한다. 

 

참고할 점. 

1. 이것은 당연히 영어의 글쓰기를 대상으로 했다. 
2. 우리네 글쓰기와는 다른 점이 분명히 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둘 필요가 있겠다. 

3. 하지만, 잘 정리된 틀을 참고하면서 필요한 부분은 우리네 글쓰기에도 적용하면 된다. 이것이 바로 창의가 아니겠나?
4. 궁극적으로는 우리 <한국어 글쓰기 틀>을 새로이 정리하고 만들어 냄에 도움이 되겠다. 

5. 이 <글쓰기 도구>는 창작 글뿐 아니라 뉴스 기사며 리포트 작성도 염두에 두었다. 
6. 가장 중요한 것들 중 하나라면, 글쓰기 기법 가운데 많은 것이 말하기에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점! 특히 구성이나 수사 장치 같은 것에서!

 

로이 클락 글쓰기 코치

 

이런 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글쓰기에 유용한 공구 박스>를 열어 본다. 하지만, 그 이전에 전체 틀을 정리했다. 

이 <글쓰기 도구 목록>을 간편하게 이용하면 좋겠다. 이것을 복사해서 지갑에 넣거나 일지에 담아 두라. 혹은 책상이나 키보드 곁에 붙여 두라. 글 쓸 때 참고하고, 새로운 구상이 떠오를 때마다 보강하면 더 바람직하겠다. 

 

가. 기본 

 

글쓰기 기본 도구

 

도구 #1: 크고 작은 가지들은 오른쪽에 

문장을 주어와 동사로 시작하고, 부차적인 요소들은 오른쪽으로 몰아 둔다.

아무리 긴 문장이라도, 주어와 동사가 먼저 뜻을 드러내면, 명료하고 힘찰 수 있다. (*영어에 해당됨. 한국어의 경우 주어와 동사의 간격이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게 할 필요가 있겠다.)

 

도구 #2: 강력한 동사들을 이용하기 

동사를 현재나 과거형에서 가장 강력한 형태로 쓴다.

강력한 동사는 행동을 만들고 단어들을 절약하며 주체를 드러낸다. 

 

도구 #3: 부사를 조심하여 다루기 

대체로 부사는 동사의 뜻을 약화하거나 반복하는 경향이 많다. 

 

도구 #4: 스톱 표시인 마침표 (온점) 

문장과 단락의 시작과 끝에 강한 단어들을 둔다.

마침표는 스톱 표시. 마침표 다음에 나오는 단어는 모두 “날 좀 봐요” 하고 외친다. 

관련 포스트: 구두점 총정리 (5-1)

 

도구 #5: 단어의 영역을 준수하기 

핵심 단어들이 최적의 공간을 차지하게 한다.

특별한 효과를 노리는 것이 아니라면, 명백한 단어를 별 생각 없이 반복하지 말라. 

 

도구 #6: 단어들을 가지고 놀기 

심지어 진지한 스토리에서도 단어들을 가지고 놀라.

즉, 어휘를 다양하게 구사해 본다. 특히, 독자에게 친근한 단어들을 쓰라.

평범한 필자가 피하지만 평범한 독자가 이해하는 단어들을 택한다.   

 

도구 #7: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파고들기 

달리 말해, 생생하게 묘사하기. 개를 그냥 개라 적지 말고, 그 이름을 부르라. 

“글자의 힘은 독자가 듣고 느끼게 만드는 것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독자가 보게끔 만드는 것이다.” - 조셉 콘래드

 

도구 #8: 독특하고 독창적인 이미지를 찾아내기 

일상에서 기발하다 싶고 폭넓게 연상되는 단어 목록을 만들라.

진부하고 상투적인 표현이나 낡은 은유를 피한다. 

“인쇄물에서 흔히 보는 은유나 직유, 수사적 표현 따위를 절대 쓰지 말라.” - 조지 오웰

 

도구 #9: 단순하고 간결한 문장이 더 좋아 

기교 섞어서 길게 늘어지는 문장은 피한다.

아주 복잡하다 싶은 항목일수록 더 짧은 단어와 문장으로 묘사한다. 

“복잡한 것을 간단하게 말하는 사람이 가장 현명한 사람이다.” - 아리스토파네스 

 

도구 #10: 스토리의 뿌리를 인식하기 

스토리에 담긴 신화적인 뿌리, 상징적 뿌리, 시적인 뿌리 등을 알아보라.

뉴스 (기사) 쓰기나 제목 달기의 뿌리에는 대체로 스토리텔링 기법이 있음을 감지하라. 또 조심하라.  

 

나. 특수 효과 

 

글쓰기의 특수 효과

 

도구 #11: 줌아웃 혹은 줌인 

뉴스나 얘깃거리가 아주 진지한 것이라면, 줄여서 (깎아서) 말하라.

토픽이 그리 심각한 것이 아니라면, 좀 과장하라. 

 

도구 #12: 페이스 조절 

문장 길이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스토리 흐름의 속도를 조절한다. 

 

   

도구 #13: 보여주고 얘기하기 

좋은 필자들은 추상화의 사다리를 자유자재로 오르내린다.

밑바닥에는 피 묻은 칼이나 로사리오, 혼인반지, 야구 기록 카드 따위가 있다.

꼭대기에는 ‘자유’나 ‘교양’ 같이 더 고도의 의미를 담는 단어들이 있다.

 

도구 #14: 흥미로운 이름들 

글 쓰는 이들은, 훈련이나 습성에 따라, 흥미로운 이름을 지닌 사람과 장소에 끌린다는 점을 기억하라. 

 

도구 #15: 캐릭터의 특성을 드러내기 

묘사하는 인물의 특성을

장면과 디테일, 대화를 통해 독자에게 밝히라. 

 

도구 #16: 기묘하고 흥미로운 것들 

기묘하고 흥미로운 것들을 서로 가까이 배치하라. 

 

도구 #17: 요소들의 수효 

문장이나 스토리에서 이용하는 사례의 수효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하나와 둘, 셋, 넷 이상일 때, 그 자체로 큰 차이를 띤다. (*<3의 법칙> 참조) 

 

도구 #18: 내재된 긴박감 

독자가 페이지를 넘기게 하려면,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무엇이 있어야 한다. 

 

도구 #19: 당신 목소리를 조율하기 

좋은 필자들은 글에 자신의 ‘목소리’를 담으려 한다. 신뢰와 권위가 곁들인 목소리를.

하지만, 필자의 여러 효과 장치들 중에서,

‘목소리’라 불리는 특질이 가장 중요하거나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것을 달리 '딕션'이라 부르기도 한다.)

 

도구 #20: 이야기할 기회 

저널리스트들이 ‘스토리’라는 단어를 무절제하게 남용한다.

리포트에는 흐릿한 스토리는 물론이고 재미없는 스토리도 필요치 않다. 스토리와 리포트의 차이는 무엇이며, 필자는 그것들을 어떻게 전략적으로 이용할 수 있나?

이야기풍의 이점을 활용하라. 

 

도구 #21: 인용과 다이얼로그 

신문 기사에 등장하는 인용과 소설에 나오는 대화가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인용과 대화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두라. 

 

도구 #22: 항상 준비된 상태 

<햄릿>에서 요령을 취하여, 긴 스토리도 늘 얘기할 준비를 갖추라.

예기치 못한 것을 예견하라. 

 

도구 #23: 길목마다 금화를 깔아두기 

당신의 스토리를 따라 독자가 계속 움직이게 만들고 싶은가?

스토리 곳곳에 금화를 두어서 독자들이 그걸 주우며 계속 나아가게 만드는 방법을 익히라. 

 

도구 #24: 큰 대목마다 간판 달기 

주요 대목들을 식별할 수 있다면, 스토리 구조를 들여다보기가 더 쉽다.

제목과 소제목 달고 분류하기. 

 

(계속 - <다. 청사진>

글쓰기 도구 50가지 (2-2)

 

글쓰기 도구 50가지 (2-2)

계속 - 로이 클락의 글쓰기 도구 50 가지 (2-1) 를 소개한다. 참고할 점. 1. 이것은 당연히 영어의 글쓰기를 대상으로 했다. 2. 우리네 글쓰기와는 다" data-og-host="mirchimin.tistory.com" data-og-source-url=..

mirchimin.tistory.com

(알림)  Voice Training에 관심 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해 주세요.

관련 포스트:

(35) 수사 장치

(34) 스피치 초고 쓰고 다듬기

구두점 테스트

구두점 총정리 (5-5)

Fiction의 Dialogue 쓰는 요령 10가지

Do Show, Don't Tell

아인슈타인, 해학, 촌철살인

낱말들이 우리 삶에 어떻게 영향 끼치나

현명한 독서 방법

09. 우리 삶에서 단어들의 역할

<호밀밭의 파수꾼> 샐린저의 명구 24개

07-3. 단어와 명칭 수준에서

루덩의 악마들 10편 5

역사의 메아리 (올더스 헉슬리 소개와 작품 해설 1)

글에서 스토리 얘기하는 방법

(73) 3의 법칙

라디오 진행자가 되려면?

퍼블릭 스피킹(23) 어휘력 강화

신언서판에 대해

 

728x90

'Books >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ction의 Dialogue 쓰는 요령 10가지  (0) 2019.06.20
Do Show, Don't Tell  (0) 2019.06.19
구두점 테스트  (0) 2019.04.01
구두점 총정리 (5-5)  (0) 2019.04.01
구두점 총정리 (5-4)  (0) 2019.04.0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