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오프닝3

(61) 소통에서 삼가야 할 표현들 #액션 37. 삼가고 피해야 할 표현들   누군가에게 조언을 청한다는 것은 한 사람이 그 사람에게 보일 수 있는 가장 큰 믿음.- 조반니 보카치오 (이탈리아 작가, 시인, )  이런 원칙을 우리 기억합시다. “남들이 당신에게 대해 주기 바라는 대로, 그렇게 남들을 대하라.” 학교 성적이 좋다 하여 그 학생의 됨됨이도 좋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지식인과 지성인, 교양인을 굳이 구분한다면,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우리는 그 누구한테도 언성을 높이지 않아야 합니다. 충돌이 심각하지 않은 것일 때는 다른 사람이 자기 입장을 변명하고 해명할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동료들이나 부하 직원들이 있는 자리에서 어떤 한 사람의 실수를 지적하고 나무라고 훈계하는 짓은 피해야 합니다. 이런 표현은 자.. 2019. 5. 13.
Public speaking 좋은 도입부 Public speaking의 도입부를 잘 구성하려면? • 청중의 찬탄이 나오게끔 움직인다. • 청중을 칭찬한다. • 간결하게 말하겠다고 약속한다. • 토픽(주제)에 정통함을 드러낸다. • 적절한 인용을 적절히 이용한다. • 참석자들과 장소와 시간을 언급한다. • 흥미로운 스토리를 끄집어낸다. • 주제의 유용함과 적절함을 확실히 내보인다. • 조크나 유머를 적시에 동원한다. • 청중에게 충격적인 뭔가를 내놓는다. • 화자의 주장을 함께 숙고해 보자고 제시한다. • 논쟁의 여지가 있는 항목에서는 중립성을 드러낸다. • 논적의 장점에 찬사를 보낸다. 그 외에, 그때 그때 처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무엇이든 활용한다. * 참고. 스피치의 오프닝과 도입부의 구분은 모호한 측면이 있다. 짧은 스피치에서.. 2019. 4. 26.
데일 카네기가 권하는 스피치 시작 데일 카네기가 권하는 스피치 시작   1. 스피치 시작은 상당히 어렵다. 그러나 동시에 아주 중요하기도 하다. 왜냐하면 그 순간 청자들 머릿속은 아직 신선해서 좋은 인상을 일으키기가 비교적 쉬우니까. ‘어떻게 잘 되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는 심각한 후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스피치 시작(오프닝)은 면밀하게 준비해야 한다.  2. 도입부(머리말)는 짤막하게 한두 문장으로 구성하는 게 좋다. 도입부 없이도 괜찮은 경우가 종종 있다. 도입부에 최소한의 단어들만 쓰고, 곧장 본론으로 들어가라. 그렇다고 해서 나무랄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 3. 초보자들은 스피치를 유머 섞인 이야기나, 아니면 양해를 구함으로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둘 다 대체로 바람직하지 않다. 아주 소수의 노련한 사람들만이 우스꽝스러운 일.. 2019. 4.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