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ublic Speaking106 기억술의 핵심 요소 3가지 기억술의 3포인트 구체적인 암기법을 익히기 위해 먼저 기억술의 주요소를 알아보자. 1) 연상 (Associaton) 연상(관념 연합)을 감각과 지각, 관념 사이에 생기는 연결이라고 정의하자. 연상을 통해 우리는 예를 들면 ‘고양이’라는 단어에서 그에 걸맞은 이미지를 즉각 떠올리게 된다. 즉, 콧수염과 꼬리가 길고, 털이 희고 (붉고, 잿빛, 검고), 걸음걸이가 날렵하며 날카로운 발톱을 지니고 야옹거리는 동물. 이 동물에 대해 더 생각한다면, 우리가 그 녀석한테 어떻게 대하며 최근에 어디서 봤는지 등을 떠올릴지도 모른다. 고양이를 애완동물로서 생각하다가, 개에 관해 떠올리고 관련 주제도 한참 생각하게 될 수 있다. 그렇게 우리는 연상 사슬을 연달아 스크롤 하면서 아주 다양한 정보를 숱하게 되살린다. .. 2021. 1. 8. 기억술 - 이야기 만들기 ‘이야기 만들기’ 방법 이건 가장 간단한 단어 암기법. 기억해야 할 단어들을 토대로 흥미롭고 독특한 이야기를 궁리하는 게 본질이다. 이야기가 더 다채롭고 생생할수록, 단어 자체와 그 순서를 다 더 잘 기억할 수 있다. 이번 경우, 이야기를 이렇게 시작할 수도 있겠다. “나는 집에서 나오다가 누군가가 떨어뜨린 큰 숟가락을 밟았다. 그게 내 이마를 때려서 무척 아팠다. 이마를 쓰다듬으면서 난 아스팔트 위를 지나가는 유람선에 올라탔다. 이때 빨간 진돗개가 내 바지를 물었는데, 하필이면 선인장 곁을 지나가는 순간이었다. 내가 걷어차자 진돗개는 멀리 날아가서 자작나무 위에 떨어졌다. 적당한 곳에 이르러 난 스포츠카로 옮겨탔다. …” 이 이야기를 계속하거나 따로 자신의 이야기를 궁리한다면, 단어 20개를 필요.. 2021. 1. 6. 기억력 강화. 공간 기억 필요한 것을 빨리 떠올리는 방법 - 신경심리학자들의 조언 뭔가를 얼른 떠올려야 하는데 좀처럼 기억나지 않는 경우를 누구나 겪어봤을 것이다. 한데, 신경심리학자들은 우리가 언젠가 눈으로 본 것을 뇌는 모조리 기억한다고 주장한다. 어떤 정보가 기억에서 깡그리 지워졌다 싶을 때조차 그렇다는 것이다. 필요한 실마리를 잡아당기기만 하면, 기억은 아주 상세하게 표면에 떠오른다고 한다. 눈으로 본 것을 죄다 뇌가 기억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크지 않은 듯싶은데, 과학은 이 사실을 확인해 준다. 1970년대 초 유명한 실험이 실행됐다. (Lionel Standing). 보통사람들에게 1만 장의 이미지를 빠른 속도로 보여주었다. 이를테면, 무하마드 알리, 아령, 암스트롱의 달 표면 발자국, 니체의 저작 도덕의 계.. 2020. 12. 27. 화술의 질을 높이려면? 화술의 질을 높이는 방법 - 효과적인 접근 6가지 말솜씨가 좋다거나 언변이 뛰어나다거나 입담이 걸쭉하다는 평을 듣는가? 아니면, 그런 말을 듣는 사람을 부러워하나? 무엇보다도, 자신의 생각을 조리 있고 흥미롭고 알아듣기 쉽게 표현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하겠다. 다음에 제시하는 접근 방법을 몇 달 동안 꾸준히 실습하고 나면, 누군가와 대화하면서 생각을 잘 표현하지 못해 당황하거나 답답해지는 순간이 부쩍 줄어들 것이다. 1. 재미난 연습이 하나 있으니, 주변에 있는 물건을 (이를테면, 휴대전화기나 프라이팬 같은 것을) 하나 집어 들고, 그것에 관해 5분 동안 아름다운 문학적 언어로 이야기를 해보라. 이 과정이 처음엔 분명히 어렵게 느껴지겠지만, 자꾸 하다 보면 매번 조금씩 더 쉬워질 것이다. 연습 시간을 서서.. 2020. 6. 24. 더 자신감 넘치는 스피치를 만들려면 스피치를 더 자신감 넘치도록 바꾸는 방법 다음에 직장 상사와 대화하거나 동료들 앞에 나와서 스피치를 할 때 좋은 인상을 주고 싶으면 이렇게 해 보시라. (여기서 말하는 스피치에는 Public speaking과 함께 광범위한 의미의 대화도 포함된다.) 무엇을 바꿔야 할지 알아두라 자기 스피치의 여러 측면을 평가하고, 어떤 면을 다듬어야 할지 결정하라. 만약 무엇에 문제가 있는지 스스로 알고 평가하기 어렵다면, 친구나 동료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자신이 하는 말을 녹음하라. 억양 (어조, Tone, 말투) 어구를 어떻게 말하느냐에 따라 청자들이 알아듣고 이해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어구마다 끝에서 올라가는 (질문하는 식의) 억양은 당신이 하는 말의 신뢰성을 떨어뜨린다. (☞ 일상 소통에서는.. 2019. 10. 15. 우리가 쓰는 '말'에 관한 약간의 정보 우리가 쓰는 '말'에 관한 정보 10가지 1. 인간의 언어 능력은 그야말로 기적 같은 것이다. 대화하면서 우리는 가슴, 목, 턱, 혀, 입술의 근육을 동시에 100개쯤 이용한다. 이 근육 각각은 수백, 수천 개의 근육섬유 다발이다. 말할 때는 걷거나 달릴 때보다 뉴런이 더 많이 이용된다. 운동뉴런 하나가 종아리 근육의 근육섬유 2천 개의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는 데 비해, 성대를 컨트롤하는 뉴런들은 기껏해야 한두 개 근육섬유를 관장할 뿐이다. 2. 입에서 나온 단어나 간단한 어구의 성격은 다 근육들의 움직임 패턴에 의해 정해진다. “안녕!”이라고 말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는 모두 뇌의 언어 영역에 있다. 하지만 이건 엄격한 프로그램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만약 혀를 다치거나 치과 수술을 받았다면, 새로운 .. 2019. 9. 5. 이전 1 2 3 4 ··· 1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