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네 신체는 아주 중요한 소통 도구인데 그 절반을 청중에게 보이지 않는 건 바람직하지 못하다. (두 상태의 차이를 곰곰이 비교해 보라.)
실내에서 화자의 위치와 신체 움직임 전반은 소통의 강력한 구성 요소에 든다.
청자들의 주목과 기대를 한 몸에 받는 화자로서 당신의 것을 다 내주라!
2. 두 발을 바닥에 든든히 뿌리 내리라.
두 발을 어깨 너비로 벌리고 체중을 균등하게 실어 우뚝 선다.
이런 자세에서 안정적인 모습이 나온다.
이 안정적이고 듬직한 모습에서 또 청중은 당신의 생각과 주장도 그런 상태로 보게 되는 것.
3. 두 손을 ‘중립적으로’ 두라.
말을 하면서 우리는 두 손으로 뭣이든 하려고 드는 경향에 빠지기 쉽다. (이는 대체로 과도한 긴장에서 비롯되며, 이 '무엇이든'에는 불필요한 것이 많이 들어간다.)
그렇게 하는 대신 두 손과 팔을 그냥 '자연스레 양옆에 늘어뜨릴' 필요가 있다.
'중립적'이라 표현하는 이 상태에서 퍼포먼스를 시작해야 한다.
그러면 정작 필요할 때 그 위치에서 두 손을 들어 올려 역시 '자연스러운'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두 손을 늘 허리 위쪽에 두면 불필요한 눈길을 끌 뿐이며, 이는 청자들의 집중력을 떨어뜨릴지도 모른다.
4. ‘열린 신체 상태’를 이용하라.
팔짱 끼거나 (어떤 식으로든) 두 손을 맞잡고 있다면 화자와 청자들 간에 장벽을 만드는 셈.
그 대신 상체를 열어 두어, 청중과 당신 사이에 아무것도 없게 하라.
청중에 대한 영향과 청중과의 영교(rapport)가 양방향으로 자유로이 흐를 것.
5. 만약 앉아 있다면, 반듯이 앉되 상체를 앞으로 살짝 기울이라.
엉덩이를 의자 바닥에서 1/3 앞에 두고 상체를 가볍게 기울인다.
이때 청자에게 어떤 인상을 일으킬 수 있을까?
토크 대상에 정통하며 관심이 커서 몰입한다는 느낌. (이런 인상이 필요한 게 아닌가? 실제도 그래야 하고!)
의자 등받이에 기대거나 가슴 윗부분을 좀 숙여 구부정하면 몸은 편할지 모르지만 소통 효과는 크게 떨어진다.
6. 제스처를 편하고 깔끔하게 하라.
"이 두 손을 어떻게 해야 돼?"
많은 대중 스피커들이 고민하는 대목.
두 손을 지나치게 많이 놀리는 건 아닐까 염려할 필요는 없다. 효과적으로 쓰기만 하면 되니까.
제스처는 뭔가를 정말 강조할 필요가 있을 때 동원해야 한다.
안 그러면, 과유불급!
제스처 하나하나를 강력하고 ‘깔끔하게’ 이용한다면 나름의 힘이 작동하여, 당신 메시지를 키울 것이다.
7.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발을 옮기라.
어떤 화자들은 무대 위에서 구름처럼 떠다니고, 또 어떤 이들은 초조한 듯 두 발을 놀린다.
우리는 분명한 목적을 지니고 발을 떼야 한다.
새로운 맥락으로 전환하기 직전에 두어 발짝 움직이라.
질문자에게 다가서거나, 뭔가를 가리키기 위해 화면에 접근할 때 발을 놀린다.
8. 원고보다 청중에게 눈길과 관심을 더 많이 보내라.
스피치는 뭔가를 청중에게 읽어 주는 행사가 아니라, 당신이 알고 있는 것을 당신 얘기 듣고 싶어 하는 이들과 함께 나누는 퍼포먼스야. 중요한 스피치 구성 요소들이 여럿 있으나, 무엇보다도 청중과 소통 채널을 열고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중 분석, 청중 연결, 시선 접촉>. 아래 관련 포스트 참조)
9. (8번과 마찬가지 이유에서) 화면보다 청중에게 눈길을 더 많이 보내라.
10. 연단에 들붙어 있지 말고, 두 손은 청중이 볼 수 있는 곳에 두라.
연단은 당신과 청자들 간의 물리적 장벽이니까.
연단에 기대지 말라.
두 손을 거기 올리거나 두 손으로 짚지도 말라. (두 손 처리는 앞에서 소개했다)
연단 옆으로 나와서 말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다음에 할 얘기가 뭔지 확인하기 위해, 언제든 연단 뒤로 돌아갔다가 다시 나올 수 있다.
11. 질문자들을 환대하라.
<질의응답>은 그 자체로 상당히 중요한 세션.
화자에게는 여러 모로 특히 더 그렇다.
질문자 쪽을 (삿대질하듯)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행위는 금물.
그 대신 손바닥이 드러나는 제스처를 쓴다. 청중을 당신 편으로 끌어들이는 효과적인 방법.
12. 공연히 필기구를 쥐고 있지 말라.
화이트보드나 플립차트 곁에서 말하는 동안 전혀 쓰지도 않으면서 마커를 들고 있는 화자들이 많다. 이 역시 긴장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역시 청중의 집중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비언어적 소통 수단은 스피치 내용 못지않게 (상황에 따라서는 그 이상으로!) 중요하다.
화자와 청자 간에 감정과 태도, 관계에 관한 정보를 아주 많이 담는다. 잘 이용하는 방법을 알고 익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