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약, 세상 모든 걸 신이 창조했다면, 악도 이 세상에 있으니까 그것 역시 신이 만든 셈이야. 또, 우리가 행하는 것이 우리 자신을 만든다는 원칙으로 보자면, 악을 만든 신 자체도 악이라는 뜻이 되는군.
그 말을 듣고 처음에 입을 열었던 학생이 잠잠해졌다. 교수는 자신을 아주 대견하게 여겼다. 그리고 신이란 결국 신화에 불과한 것임을 다시금 입증했노라고 학생들한테 떠벌였다.
그때 앳되 보이는 학생이 손을 들고 말했다.
– 한 가지 여쭤봐도 되겠습니까, 교수님?
– 아, 물론이네.
그 학생이 일어서서 물었다.
– 교수님은 추위란 게 있다고 보시나요?
– 무슨 소린가? 추위는 당연히 존재하지. 자네는 추위를 느껴본 적이 없단 말인가?
그 주고받는 말에 다른 학생들이 웃음을 터뜨렸다.
하지만 그 어려 보이는 학생의 대답은 이랬다.
– 실제로, 추위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교수님. 물리학 법칙에 따르면, 우리가 추위로 여기는 건 사실상 열이 없는 상태일 뿐입니다. 사람이나 물체를 거기에 에너지가 있는지 혹은 전달하는지로 연구할 수 있습니다. 절대 0도는 (화씨 –460도는) 열이 전혀 없는 상태지요. 이 온도에서는 모든 물질이 불활성이 되고 외부에 반응하지 못합니다. 추위란 없어요. 이 단어는 열기가 없는 상태에서 느끼는 걸 묘사하기 위해 우리가 만들어 낸 겁니다.
앳된 학생이 잠시 숨을 돌린 뒤 말을 이었다.
– 교수님, 어둠이 존재합니까?
– 물론, 존재하지.
– 이번에도 잘못 아셨습니다. 어둠 역시 존재하지 않습니다. 어둠은 사실 빛이 없는 것이지요. 우리가 빛은 연구할 수 있지만, 어둠은 연구할 수 없어요. 뉴턴의 프리즘을 이용하여 백색광을 여러 색상으로 나누고 각 색상의 여러 파장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한데, 어둠은 측정할 수가 없어요. 색상의 단순한 빛이 어둠의 세계로 들어가서 어둠을 밝히게 됩니다. 어떤 공간이 얼마나 어두운지 어떻게 알 수 있겠습니까? 안 그렇습니까? 어둠이란 빛이 없는 상태에서 벌어지는 것을 묘사하기 위해 사람이 이용하는 개념입니다.
그렇게 말을 늘어놓던 학생이 끝으로 교수에게 물었다.
– 악이 존재한다고 보시나요?
그러자 교수가 아까와는 달리 좀 주저하면서 대답했다.
– 어, 거야 물론 내가 말한 대로일세. 우리는 악을 허구한 날 접하지 않는가. 사람들이 서로 잔혹함을 행사하고 도처에 범죄와 폭력이 횡행한단 말일세. 이런 사례가 다 바로 악의 존재를 입증하는 게지.
그 말에 학생이 이렇게 덧붙였다.
– 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혹은, 적어도 그 자체로 악인 악은 없습니다. 악이란 단순히 신이 없는 것일 뿐입니다. 악은 어둠이나 추위와 비슷하게, 신의 부재를 묘사하기 위해 사람이 만들어 낸 단어이지요.
신께서는 악을 만들지 않았습니다.
악은 빛이나 열기처럼 존재하는 믿음이나 사랑이 아닌 겁니다.
악은 바로 사람의 가슴에 신의 사랑이 없는 결과입니다. 이건 열기가 없을 때 닥치는 추위나 빛이 없을 때 생기는 어둠과 같은 것이지요.
이건 남자와 여자가 서로 소개받거나 처음 데이트하면서 시작되는, 관계의 첫 번째 단계. 이 시점에서 두 사람이 진지한 관계를 향한 첫걸음을 떼기 때문에 이 기간은 거의 누구한테나 항상 불가피하다.
이 기간에 두 사람은 이렇게 하려고 애쓰는 경향을 보인다.
• 최대한 자주 보려고
• 서로가 상대를 다 알려고
• 상대가 기분 좋게 깜짝 선물을 하려고
• 둘이 하나가 되려고.
이 기간의 초반에 남자와 여자는 함께 시간 보내기를 아주 좋아하며, 그래서 서로 늘 가까이 있으려 든다. 그래서 헤어지자마자 또 보고 싶어 한다. 이 기간에 두드러지는 건 남자가 준비하고 건네는 갖가지 선물과 이벤트 등이다. 함께 돌아다니기, 키스, 포옹도 이에 들어간다.
관계의 달콤한 시기에는 애정을 촉발하는 호르몬이 분출되고 열정과 성적 욕망이 거세진다.
한쪽이 파트너를 종종 이상화하기는 해도 그 파트너를 끌어들이기 위해 따로 노력할 필요가 없다. 이 시기에는 파트너가 가장 멋지고 좋고 상냥해 보이기 마련이니까. 그런 까닭에 지극히 긍정적인 감정만 품고 애정과 보살핌을 선사하며 도우려는 갈망이 커진다.
(관계의 처음 시기가 지나가고 이전 감정이 시들고 서로에게 각별히 관심 기울이지 않게 될 때, 많은 커플이 이 기적 같은 시기를 되돌리려고 애쓴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남자는 파트너에게 관심을 돌리지 않고 깜짝 선물 따위로 즐겁게 하지도 않는다. 그 결과 여자한테서는 무한한 행복감이 사라지고, 그렇기 때문에 여자는 자신을 충분히 가꾸기를 그만두며 사랑하는 남자를 위해 늘 아름다워야 한다는 점을 잊고 만다.
초기 단계에 자신이 호르몬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할 때, 사람들은 늘 보고 싶어 하고 만나는 횟수가 줄어들면서 두 사람의 관계도 시들었다고 여기게 된다.
달콤한 시기의 여러 단계
이런 관계의 시기를 몇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
이 단계에서 커플은 모든 면에서 서로 알기 시작해. 둘 다 감정에 푹 빠지고 같이 있으면 행복과 기쁨을 느끼고 서로에게 깜짝 선물을 준비한다. 처음 만난 뒤 곧장 다음 만남을 정한다. 어디서 만나 어디로 가는지는 중요하지 않아. 이 기간에는 절대적인 행복에 필요한 게 아주 적다. 그저 그 사람만 있으면 돼.
관계가 다음 단계로 발전하게 된다. 즉, 만나고 함께 시간 보내기에 이제 여자 스스로 적극 나선다.
2단계
이 시기에는 전화나 문자를 누가 먼저 하든 상관없어. 여자가 귀찮게 따라다녀선 안 된다는 고정관념 따위도 신경 쓰지 않아. 사랑하는 사람에게 먼저 데이트를 청하거나 전화해서 수다를 떨 권리가 있다. 이건 자연스러운 모습이며 문제 될 게 없다.
그러나 조금은 자제하는 게 좋아. 그렇지 않고, 툭하면 전화해서 컨트롤 하려 든다는 인상을 주면, 남자가 놀라서 물러설 수 있다. 상대가 전화를 안 받는 일이 생겨도 당장에 또 하고 또 해서는 좋을 게 하나 없다. 바쁘거나 형편이 안 되어 전화를 못 받은 남자는 상황이 나아지는 대로 금방 전화해 올 것.
3단계
앞 단계에서 두 사람에겐 서로를 알고 공동 의견을 정리하기에 시간이 늘 충분하다. 3단계에서는 파트너를 자기 친구들에게 보이는 게 중요한 과정. 그리고 당신의 소통 동아리를 통해 당신의 파트너에 대해, 그의 취향과 다른 이들과 어울리는 모습 등을 충분히 알 수 있다.
거꾸로, 당신이 파트너의 부모나 친구들과 만나게 될 때 가장 좋은 것은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행동하는 것이다. 평소보다 더 잘 보이거나 지나치게 꾸미려 들지 않아야 한다. 사람의 진면목은 언젠가 드러나게 마련이다. 그때 가서 혐오와 실망을 안길 필요는 없지 않은가. 파트너의 부모나 친구들과 접촉할 때 그들에게 존중과 관용을 내보이고 잘 지내려 노력하는 게 중요해.
달콤한 기간은 언제든 지나가게 마련이며, 관계는 새로운 단계로 들어서게 된다.
지속 기간
이 기간은 대체로 1-2년 지속된다. 하지만 커플마다 다르다. 어떤 경우엔 몇 달 뒤 어려운 지경에 이르고, 누군가는 그런 감정을 몇 년이나 지속하기도 하여 본격적인 가정을 이룬 뒤에도 그럴 수 있다.
관계의 첫 기간이 지속되는 1-2년은 대략적인 수치일 뿐이다. 두 사람을 로맨스 초기에 가깝게 만든 상호 감정을 지속하려는 갈망이 커플에게 있다는 것이 중요해. 그때 관계는 견고하고 오래가겠지.
이 단계의 지속성은 파트너에 대해 늘 생생하게 갖고 있는 처음 관념에 좌우된다. 많은 이들은 결점이나 묘한 성격 특성, 행동 스타일이 보이게 되면 그 문턱을 넘지 못한다.
그런 불상사를 방지하고 얼마 지나 선택을 후회하지 않으려면, 서로에게 시간을 더 주어야 한다. 파트너를 자세히 알지도 못한 채 깊은 관계에 들어서는 건 아주 위험하다. 자신의 감정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확인하는 게 더 좋다.
관계의 향후 발전
달콤한 기간이 끝난 뒤 둘의 관계는 더 이상 장밋빛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건 다음 단계가 시작됐다는 뜻이다. 바로 싫증 나고 물리는 단계.
이때 호르몬과 감정이 다소 가라앉으면서 파트너의 긍정적 자질뿐 아니라 부정적 자질도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서로에게 습관적으로 적응하는 투가 생긴다. 더 느슨하고 긴장 풀린 행동이 적절할 것이다.
새 단계로 접어들면서 두 연인은 서로의 결점을 더 자주 보게 되며, 오해나 말다툼은 거의 필연이다. 이 때문에, 많은 커플이 달콤한 기간을 보낸 뒤 헤어진다. 그러나 이게 능사는 아니다. 왜냐하면, 누군가를 새로 만나서도 이전 사람과 겪은 과정을 고대로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건강하지 못한 (위험한) 관계를 인식하는 방법
첫 데이트에서는 누구나 최대한 좋은 인상을 주고 싶어 한다. 그러니 자신의 어두운 측면을 다들 조심스레 감출 것이다. 사람은 몇 년을 함께 살아 봐야 그 진면목을 알 수 있다고 한다. 당신이 선택한 남자가 실제로는 폭군임을 알릴 수 있는 경고 신호가 있다.
1. 지나친 강조나 주장: 그는 관계가 빠르게 발전하기를 원하며, 첫눈에 사랑에 빠졌다고 강조한다.
2. 그의 이미지가 온통 거짓에 기초한 것이다.
3. 그는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에게 연민이나 공감이 없다.
4. 건강하지 못한 질투심을 드러낸다.
5. 주변 사람들과 세상에 불만투성이이며, 다른 사람들이 자기한테 뭔가를 해줘야 한다고 여긴다.
이 발명품이 인간 문명의 최신 성과로 간주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화장지의 역사는 수백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물건은 589년 중국의 문인이자 학자인 안지추(顏之推, 531∼591)의 언급에 처음 등장한다.
“나는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춘추) 오경의 인용문이나 현자들의 이름이 적힌 종이를 화장실 용도로 쓰는 걸 경고하고 싶다.”
9세기에 중국을 방문한 아랍 여행자는 충격을 받았다. “중국인들은 청결에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 그들은 물로 씻는 대신 종이로 닦아내기만 한다.”
중국에서는 이미 14세기에 화장지가 상당히 많이 생산됐다. 1393년의 한 기록에 따르면, 황궁에서 사용하는 용도로 (50x90 Cm 규격의) 화장지가 72만 장 생산됐다고 한다. 황실 소모품 담당 부서의 기록을 보면, 홍무제(주원장, 1328-1398)와 황실 가족을 위해 아주 부드럽고 향이 나는 화장지 1만5천 장이 특별히 생산됐음을 알 수 있다.
사실, 사람들이 위생을 위해 뭘 못 쓰겠는가!
고대 로마에서는 스펀지를 소금물에 적신 뒤 기다란 손잡이를 매달아 위생 목적으로 사용했다.
중세 유럽에서는 평민들이 나뭇잎이나 풀을, 귀족은 양모나 부드러운 천을 썼으며, 북부 지역 민족들은 여름에 이끼와 겨울에 눈을, 또 아메리카 개척자들은 옥수수잎을, 이슬람교도들은 물을 사용했다.
그리고 열대 섬 지역 원주민들은 조개껍데기나 코코넛 껍질보다 더 좋은 게 없다고 여겼다.
인쇄물이 등장하면서 인류의 일부는 신문지를 사용하게 됐다. 미국인들은 미국에서 가장 오랜 정기간행물 중 하나인 <The Old Farmer’s Almanac, 농부 연감>을 특히 애용했다. 발행인들은 못에 걸어두기 좋게끔 연감에 구멍을 뚫을 생각까지 할 정도였다.
하지만 다른 인기 있는 출판물인 쇼핑 카탈로그 <Sears Roebuck>의 출판사는 한때 심각한 실수를 범했다. 카탈로그를 광택 나는 얇은 종이에 인쇄하면 더 보기 좋지 않을까 여겼던 것인데, 독자들은 그렇지 않았다. 그 결과, 읽기에 편한 다공성 신문용지로 다시 돌아가기를 요구하며 분노하는 편지들이 출판사에 쇄도하게 된 것이다.
조셉 게이에티가 <Gayetty’s Medicated Paper, 게이에티의 약용지>라는 이름으로 알로에를 흠뻑 먹인 시트를 판매하기 시작한 1857년, 미국에서 본격적인 화장지가 등장한 것으로 간주한다.
1879년 <Scott Paper Company>가 화장지 롤을 처음 시장에 내놓았다. 화장지에 오늘날 모습의 마지막 단계를 입힌 것은 영국 회사 <St. Andrew’s Paper Mill>로서, 두 겹짜리를 내놓았다.
하지만 그런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 화장지를 쓰는 사람들은 전 세계 인구의 30%가 안 된다.
종이 고속도로
생산 기술 측면에서 화장지는 보통 종이와 매우 흡사하다. 모든 건 나무에서 시작되니, 나무를 분쇄하고 목재 펄프로 가공한 뒤 격자무늬 금속 그리드에 넣는다. 불필요한 수분은 펠트 롤러로 짜낸다. 그리고 건조 드럼과 열풍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건조한다.
기술적으로는 대체로 그런 식이지만, 화장지 생산에는 중요한 차이가 하나 있다.
건조하면서 종이가 크레이핑 과정을 거치는 것. 즉, 특수한 칼이 (스크레이퍼가) 건조 드럼에서부터 종이를 절단한다. 이 과정에서 종이가 더 두툼해진다. 즉, 종이 구조가 바뀌고 가로 주름이 많이 형성되어 최종 제품을 부드럽고 신축성 있게 만드는 것이다.
크레이핑(creping)은 화장지뿐 아니라 그와 유사한 tissue paper 생산에도 이용되니, 냅킨이나 손수건, 키친 타월 등이 그것이며, 그 외에 포장지 생산에도 이용된다. 이 크레이핑 과정을 몇 번 반복하면, 종이를 더 부드럽고 두툼하게 만들 수 있다.
“이 과정은 다 한 시도 쉼 없이 빠르게 이뤄진다. 당신이 폭 6m의 고속도로를 시속 110Km로 운전한다고 상상해 보라. 화장지는 바로 그런 식으로 생산된다. 연중 내내, 하루 24시간 내내, 1분에 1800m 길이를 만들어낸다. 최신 기계는 1년에 10억 개의 롤을 생산할 수 있다.” 세계 최대 화장지 제조업체에 속하는 <Kimberly-Clark>의 기술개발 책임자의 말.
작은 롤들로 자르기
완성된 종이는 폭 6m, 직경 4m나 되는 거대한 롤에 감겨 있다. 이 거대한 롤을 특수 기계가 표준 크기로 다시 감으면서 천공과 엠보싱, 장식 등을 추가한다. 화장지가 위생 제품이기 때문에, 그림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는 식품 무독성 염료를 쓴다. 그런데 많은 나라에서는 구매자들이 그림이 없는 백지 제품을 더 안전하다고 믿어 선호한다.
화장지와 키친 타월을 비슷한 기술로 만들긴 하지만, 이 둘은 폭과 장식만 다른 게 아니다. 화장지가 건조한 상태에서 부드럽고 강해야 하지만 물에는 금방 분해되어야 하는 반면에, 키친 타월은 젖은 상태에서 견고하며 물을 잘 흡수해야 한다.
이상적인 화장지가 있을까? 앞에 나온 전문가는 나라마다 소비자의 선호도가 다르다고 알려준다.
“이를테면, 독일에서는 더 두툼한 화장지를 선호한다. 또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는 흰색 화장지가 더 인기를 끌지만, 프랑스에서는 장밋빛을 좋아한다. 탐미주의자들이기 때문이다. 또 중국 같은 나라에서는 거의 백색 화장지만 팔리는데, 이 색깔이 청결이며 위생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본의 첨단 기술은 화장지를 지나치게 섬세하게 만든다. 일본 화장실에 앉아 있는 것은 운전대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경주용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