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거짓말시그널2 거짓말 제스처 거짓이나 떳떳하지 못한 뭔가를 말할 때 나오는 제스처 1. 코 건드리기코 아래 살짝 팬 (인중) 부위를 몇 번 슬쩍 만지거나, 빠르고 거의 눈에 띄지 않게 건드리는 것. 왜 이런 제스처가 나오는가. 나쁜 생각을 품으면 잠재의식이 손에게 입을 가리라고 명령하는데, 맨 마지막 순간에 이 제스처를 숨기려는 의도로 손을 입에서 떼면서 코를 가볍게 건드리게 된다. (어린애들 경우에는 순진하게도 아예 두 손으로 입을 가린다.) 2. (와이셔츠) 칼라를 잡아당기기연구자들의 설명 - 거짓말을 하면 얼굴과 목의 부드러운 부위에서 근질근질한 느낌이 생기는데, 이 느낌을 달래기 위해 긁고 싶어진다는 것. 이는 거짓말을 하고 속임수가 드러나진 않았을까 의심할 때 칼라를 잡아당기게 되는 이유로 타당한 듯싶다. 또는 이런.. 2019. 3. 28. 신체언어와 거짓말 신체언어를 알면, 거짓말을 간파할 수 있다 사람들은 왜 서로 거짓말을 할까? 거짓말 같은 수단에 왜 의존하나? 왜 우리는 늘 다른 사람과 진실을 나누기보다는 진실 감추기를 더 좋아할까? 누구나 이런 의문을 품고 해답을 찾으려 들었을 것. 그러나 거짓이 없고 다들 진실만 말한다면 세상이 어떻게 보일까. 그런 세상은 상상하기도 어렵다. 거짓말은 인류가 아주 오래전부터 만들어 낸 현상. 어쨌든 거짓말은 필요해, 우리 세상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감수하는 필요악처럼. 단지, 거짓말을… 웬만큼 허용되는 것과 사리사욕 꾀하기 위한 것 등으로 구별할 필요가 있겠다. 오늘날 거짓말은 일상생활의 필연적 일부가 됐다. 인간 공동체의 모든 측면에서 실제로 밀접하게 엮여 있다. 이 거짓말이란 게 없이는 경제며 정치.. 2019. 3. 28.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