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동일시와 분리4

18. 동일시의 작동 원리 (메커니즘) ( 나는 누구인가? > 4부. 나는 누구인가 > ... ) 18. 동일시의 작동 원리 (메커니즘) 동일시의 메커니즘과 여러 유형를 살펴보자. 앞장에서 규명했듯이, 동일시는 우리에게 엄청난 역할을 한다. 동일시는 우리의 감정 상태와 신체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심지어 우리 삶에 방향을 제시할 수도 있다. 우리에게 그렇게 막강한 영향을 끼친다면, 동일시가 뭔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자신과 자기 존재에 대한 어떤 느낌이나 촉(?)이 있음을 알아냈다. 우리가 자기 자신을 의미하면서 ‘나, 나, 나…’라고 말할 때 그걸 느낄 수 있다. 이런 경우 생기는 느낌을 우리는 자아감이나 자아의식, 자기인식, 자기 감각 등으로 불렀다. 자아감을 이렇게 이해할 수도 있겠다. 우리가 뭔가를 행하거나 말하거나 생각할 .. 2019. 11. 17.
17-1. 동일시가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 ( 나는 누구인가? > 4부. 나는 누구인가? > ... ) 17. 동일시(Identification)의 영향 (1) 실제로 우리가 아닌 무엇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기본 유형을 앞에서 몇 가지 살펴봤다. “나는 걷고 있어”, “난 아이스크림이 먹고 싶어”, “난 생각해” 하고 말할 때, 라는 느낌이 (자아감이) 추상적인 이미지나 느낌, 역할, 생각, 감정 등 이런저런 유형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 자아감이 어떤 유형과 동일시되지 않을 때, 그건 라는 순수한 자아감으로 남는다. 우리가 자신을 어떤 유형과 동일시할 때,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보자. 이름과 동일시는 아마도 자기 이름이나 가문을 자랑스레 여기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리에게 그리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 동일시의 영향.. 2019. 11. 13.
16-3. 우리는 자신을 누구라고 여기나? (나는 누구인가? > 4부. 나는 누구인가? > ... ) 16. 우리는 자신을 누구라고 여기나? (3) (계속) 우리가 우리 몸이 아니고 우리 몸이 우리가 아니라는 사실을 이런 몇 가지 실험에서 보고 알 수 있다. 첫 번째 실험은 한 사람에게 세 번째 손이 있다는 환상이나 착각을 일으키는 것이다. 피험자를 탁자 앞에 앉혔다. 이때 그의 두 손은 탁자 위에 놓여 있다. 오른손 곁에 그 손과 빛깔이며 형태, 크기가 아주 흡사한 모형 손을 놓았다. 그다음에 실험자가 이 사람 손의 한 부위와 모형 손의 같은 부위를 동시에 브러시로 건드렸다. 몇 번을 그렇게 했다. (연구자들은 이 환상을 아주 실제처럼 만들었다. 실험에 참여한 남자와 여자들 모두 그들의 모형 손에 브러시가 아니라 칼을 가져다 대자 눈에 띄게 긴.. 2019. 11. 10.
참나를 찾아서 받아들이기 39 8단계 수용하고 승복하는 연습 삶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면, 먼저 자기 자신을 받아들여야 에고는 아주 종종 우리를 여러 망상으로 이끕니다. 때로는 거의 전 인류가 이런 식의 망상에 사로잡힙니다. 그래서… 저항하고 투쟁하는 자는 강하고, 물러서고 승복하는 이는 약하다는 견해가 일반적인 것으로 간주되지요. 그런 식의 대중적 망상은 세상 사람들 대다수가 아직도 자각하지 못하고 영적 동면 상태에 있음을 말해주는 것일 뿐입니다. 우리는 먼저 ‘내가 자기 자신에게 어떻게 저항하는지’… 자신의 진정한 본성과 를 받아들임에 어떻게 저항하는지부터 인식해야겠습니다. 사람들은 대체로 어떤 사회적 역할이나 기능, 가면에 붙들려 있고, 자신에 대해 자기나 누군가 타인이 생각하는 것에 집착합니다. 이건 분명 우리가 아니라 우리.. 2019. 7.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