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무의식5

커플 관계를 얼마나 잘 알고 있나 테스트: 커플 관계를 당신은 얼마나 잘 꿰뚫어 보고 있나 많은 커플은 친구나 친지들한테 체면을 잃지 않으려고 완벽한 한 쌍인 양 행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완벽한 커플이란 찾아보기 쉽지 않고 어떤 관계에든 힘든 점이 있기 마련인데, 이 부분을 겉으로 잘 꾸민다 해도 결국 무의식적인 ‘나’한테까지 숨길 수는 없다. 이 테스트는 바로 이런 측면을 겨냥한 것. 당신은 어떤 사람이며 커플 관계를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 알아볼 준비가 돼 있나? 그렇다면, 다음 네 쌍의 그림 가운데 더 마음에 와닿는 커플을 오래 생각하지 말고 (즉, 직관적으로!) 선택하라. 그리고 아래 설명을 참조해 보시라. 버전 1. 이 커플을 선택한 이들은 길게 지속하는 사랑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에겐 가족이란 가치가 가장 .. 2020. 2. 16.
루덩의 악마들 7-2편 2 루덩의 악마들 The Devils of Loudun 올더스 헉슬리 저(번역, 주석, 해설 – 김성호) 진짜 귀신들림을 협잡이나 질병 증세와 어떻게 구분해야 하나? 가톨릭교회는 네 가지 테스트를 제시한다. 언어 테스트, 초자연적 물리력 테스트, 공중부양 테스트, 투시력과 예지 테스트. 만약 어떤 사람이 정상 상태에서는 전혀 모르는 언어를 특별한 경우에 이해하거나 말할 수 있다면, 만약 공중부양이라는 물리적 기적을 명백히 보이거나 놀라운 괴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 만약 미래를 확실하게 예견하거나 멀리서 일어나는 사건을 정확히 묘사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은 악마에 사로잡혔다고 볼 수 있다. (혹은, 그게 아니라면, 특별한 은혜를 받은 사람이라고 볼 수도 있다. 왜냐하면, 많은 경우.. 2019. 7. 16.
루덩의 악마들 7-1편 2 루덩의 악마들 The Devils of Loudun 올더스 헉슬리 저(번역, 주석, 해설 – 김성호) 우리의 두 번째 사례는 최면에 걸린 사람으로, 최면에 의해 강경증(强勁症) 상태로 들어선 경우이다. 최면의 본질이며 그 암시가 자율신경계에 어떻게 영향 끼치는지를 우리는 아직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다. 그러나 최면에 쉽게 빠지는 사람들이 있으며, 그 상태에서 그들 잠재의식의 어떤 부분이 최면술사가 건넨 암시에 몸이 따르게 한다는 것쯤은 우리가 알고 있다. 피험자가 최면에 잘 걸리는 타입이라면 노련한 최면술사는 그를 언제든 강경증 같은 경직 상태로 유도할 수 있는데, 바로 이런 경직 상태를 루덩의 독실한 신자들은 사탄의 소행으로 여긴 것이다. 정말 그랬다. 왜냐하면 그 당시 개념으로 보아 그런.. 2019. 7. 16.
프로이트의 실언 (5) 홍준표의 "전혀 달라진 모습으로..." 이제 의 (혹은 말실수나 실언이라고 알려진) 국내외 사례를 몇 가지 살펴본다. 황당하다는 느낌도 들고 웃음을 참지 못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탐구심 강한 이들한테는 여러 생각 때문에 머릿속이 분주해질 게 분명하다. * 미국 43대 대통령을 지낸 조지 부시 주니어의 경우에는 이른바 실언이 하도 많고 널리 알려져서 생략. Bushism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겼을 정도니까. * 2014년 바티칸 강론 중에 프란치스코 교황의 입에서 카소(caso, 샘플)이라는 단어 대신 이탈리아어 욕설인 카초(cazzo, 음경, 얼뜨기)가 무심결에 흘러 나왔다. 교황은 금방 정정했지만 실언 동영상이 이미 수십 개 사이트와 블로그 등에서 널리 퍼지고 말았다. ====> 이 경우는 문자 그대.. 2019. 3. 22.
프로이트의 실언 (2) 2. Parapraxis (실착 행위) 정의 하지만 실언에 관해 더 얘기 나누기 전에, 그보다 상위 개념인 이른바 를 좀 알아보자. 프로이트는 무의식적으로 범하는 여러 실수 행위를 다루면서 그리스어 ‘파라프랙시스 (para-praxis)’와 독일어 ‘펠라이슈퉁 (Fehlleistung, 기능 장애)’이라는 용어를 썼다. 파라프랙시스는 ‘속에 있는 생각과 의도를 (속내를, 의중을) 자기도 모르게 드러내는, 말실수나 행위’를 뜻한다. 한국어로는 ‘실착 행위, 실착증’으로 옮긴다. 유형 프로이트는, (겉으로는 하찮고 무의미해 보이는) 실언을 비롯한 실착 행위에 묻어서 무의식적인 욕구와 갈망 따위가 밖으로 드러나며, 이것을 분석할 수 있다고 여긴 것이다. 그리고 사람들의 실착 행위를 네 종류로 나누었다. 1) .. 2019. 3. 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