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스피치 기법3 휴지(멈춤, Pause)의 힘 목소리 운용과 스피치에서, 한마디로, 말하기에서 의 중요성 “입 다물 줄 모르는 사람은 말도 제대로 하지 못해.” (아포리즘) 스피치에서 적절한 휴지를 취할 줄 안다는 건, 좋은 스피치 기법을 갖추는 데 중요한 단계. 침묵으로도 말을 끝낼 수 있지만, 발언 과정에서는 휴지(休止)를 취할 줄 알아야 한다. 이는 우리네 말하기에서 가장 필요한 도구 중 하나. 1. 눈길을 끌고 객석을 정돈 2. 말에 무게감을 부여, 언급을 강조 3. 청중이, 들은 말을 잠시 생각할 여유를 부여 4. 어려운 토픽과 담론을 습득하게 도와 5. 말을 대목으로 나눠 6. 화자의 권위와 신뢰를 굳혀 7. 화자의 자신감 정도를 말해 8. 발언 뒤에 휴지를 취하라. * 눈길 끄는 휴지 발언 전에 휴지를 취하면서 청중과 접촉. 발언 중에 .. 2020. 11. 24. Voice training에 대해 목소리 훈련에 대해 이 포스트는 Jeremy Fisher, Gillyanne Kayes 공저 의 한 대목을 옮긴 것입니다. 목소리 작업하면서 우리는 어떤 이상적인 세련됨에 가까워지는 데 상당한 노력을 쏟는다. 이런 열망은 공교육 확산과 더불어 이미 19세기 말부터 존재했다. 그 무렵 영국에서는 Standard English라는 프로그램이 개발돼 아주 인기를 끌었다. 이건 20세기 들어 인기와 권위를 한층 더 얻고, 영어권에서는 이나 같은 정의마저 생겨났다. 그러면서 사회 여러 계층에서 말하기 문제에 대한 염려와 말을 제대로 하려는 열망까지 생기게 됐다. 스피치 강좌가 유행을 탔고, 그 강사들은 목소리를 맑고 청아하게 만들어 주겠노라고 약속했다. 웅변술 공부의 출발은, ‘어쩌다’ 습득한 것이기에 교정해야 .. 2020. 10. 18. 퍼블릭 스피킹(Public speaking)의 시작 스피치를 어떻게 시작하나? - 오프닝의 중요성과 유형 첫째, 화자의 등장 (걸음걸이, 자세, 매너. 스피치는 이미 이때부터 시작된다). 둘째, 적절한 휴지(pause). 청중의 눈길이 쏠리고 장내가 정돈되기를 기다린다. 셋째, 인사말. 넷째, 이후 곧장 본질적인 용건(본론)으로 들어갈 수 있다. (따로 오프닝 없이도) 하지만 청중 분위기를 살짝 고조함으로써 더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청중이 화자의 의견과 주장을 들을 준비를 갖추게 돕는 것도 화자가 할 일에 속한다. 그 일을 이른바 오프닝으로 해낼 수 있다. 오프닝의 목적은, 1) 청중 시선 끌어 모으기 2) 청자들과 접촉 설정 3) 청중을 감성적으로 준비시키기 등. 오프닝의 기법과 유형 몇 가지 예를 들어, 를 주제로 한다면, 다음과 같은 유형의.. 2019. 4. 26.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