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스피치 비평2

퍼블릭 스피킹(30) 스피치 비평 #액션 17 (스피치 비평)   토론이나 특강, 보도, 교양 등 여러 장르의 티브이 프로그램을 시청하세요. 가능한 한 앞에 소개한 항목대로 출연자들의 언어 행위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진행자들을 평가해 보세요.  특히, 우리가 #액션 11에서 알아본 오류들을 (역병처럼 피해야 할 것들을!) 범하지는 않는지... 즉, -어휘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장단음을 비롯해 발음은 제대로 하는지, -태도와 자세는 어떤지, -진행자가 다른 이들의 말을 경청할 줄 아는지 따위를 유심히 보세요.   여러 진행자와 사회자, 리포터, 해설자들의 매너를 비교도 해 보세요.  마음에 든 출연자들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지 생각하세요. 어색하고 이상하고 잘못된 점들이 있다면, 그게 왜 나왔으며 어떻게 바꾸는 게 좋을지 궁리하세요... 2019. 4. 24.
퍼블릭 스피킹(29) 스피치 안목 11. 저 사람은 어떻게 말하고 있지?    “나에게 글재주가 없다는 것을 아는 데 십오 년이 걸렸어. 그런데도 글쓰기를 포기할 수 없었던 까닭은 그 무렵에 아주 유명해졌기 때문이야.”- 로버트 벤츨리  다른 화자들이 어떻게 말하는지, 분석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러면서 스피치 안목을 키우는 것이겠지요? 어디서든 어떤 상황에서든 누군가의 발언을 듣거나, 아니면 티브이나 라디오 방송에서 보고 들으며, 이런 질문들을 던지고, 거기에 얼마나 합당한지 따져 보세요. 첫째, 전반적인 분석 대상으로는 스피치 목표, 스피치와 청중의 맥락, 스피치 구성 등*이 화자가 설정한 목표는 무엇인가? 정보(교육), 설득(촉구), 재미?*전달하려는 핵심 메시지가 뭐지? *이 사람은 왜 이 스피치를 하며, 그렇게 하기에 적당한 인.. 2019. 4.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