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주의 집중2

(31) '기다림'의 심원한 의미 ‘기다림’의 심원한 의미 현존 상태는 어떤 의미에서 기다림에 비교할 수 있다. 예수는 기다림의 비유를 자주 이용했다. 이 기다림은… 앞에서 얘기한 대로 현재를 부정하는, 지루하거나 불안한 종류의 기다림이 아니야. 이 기다림은… 주의가 온통 어떤 미래 시점에 가 있으며 현재를 어떤 성취의 장애 같은 것으로 인식하는, 그런 기다림이 아니야. 그것과는 질적으로 다른 종류의 기다림이 있으니, 여기엔 총체적으로 예리한 (깨어 있는) 의식이 필수다. 뭔가가 어떤 순간에든 일어날 수 있는데, 완전히 깨어 있지 않고 완전히 고요하지 않다면 그 뭔가를 놓치고 말 것이다. 이것이 바로 예수가 설파하는 종류의 기다림이다. 이 상태에서는 모든 주의가 (눈길이, 관심이) 순간에 집중돼 있다. 몽상이나 생각, 기억, 기대 따위에.. 2021. 1. 17.
자신과 타인을 판단과 평가 없이 대하기 49 10단계 깨달음 수련장으로서의 인간관계 자신과 타인을 판단과 평가 없이 대하는 법 즉각적이고 자동적인 반응, 즉, 고통의 몸체가 내보이는 반응을 그만둘 때, 불쾌감에 불쾌함으로 응대하기를 멈출 때, 상대의 고통의 몸체가 퍼붓는 공격에 맞대응하지 않을 때… 우리에겐 상대방 얘기를 진정으로 듣고 이해할 기회가 생길 거예요. 고통의 몸체 둘이 맞부딪칠 때는 소통 당사자들 그 누구도 상대방의 말을 듣고 이해할 겨를이 없어요. 각자 자기 고통의 몸체 때문에 눈멀고 귀먹게 돼요. 이런 상황에선 각자가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게 아니라 자기 고통의 몸체를 상대한다는 게 맞을 거예요. 고통의 몸체가 차단막이 되어 서로를 가로막습니다. 만약 자신의 반응이며 감정을 의식적으로 살핀다면, 고통의 몸체는 녹아 없어집니다. 그때.. 2019. 7.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