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Freudianslips2 프로이트의 실언 (4) 4. 실언 어떤 실언은 악의가 전혀 없고 순진해 보이기도 한다. 어떤 단계에서 뇌가 한순간 잘못 작동하면서 그 사람의 컨트롤도 아이처럼 약해지기에 떠오르는 것을 그냥 입에 올리게 된다. 가끔은 드러내고 싶지 않은 은밀한 생각까지 튀어나온다. 더 동요하고 억제하고 뭔가를 감추려 들수록… ‘어쩌다 내뱉는 말’의 개연성이 더 커진다. 속내가 더 빨리 드러난다. 프로이트는 실언을 무의식적인 욕구와 충동과 갈망의 표출로 간주했다. 이는 일상에서 실현되지 못하고 사람을 괴롭히며 압박하는 내적 갈망과 생각이 삐져나온 것. 실언은 실착 행위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서 1) 생각한 단어와 전혀 다른 단어를 말하거나 2) 의미가 아주 분명한 단어들을 왜곡하기 같은 이유에서 나온다. 실언의 유형 심리언어학에서는 말실수.. 2019. 3. 22. 프로이트의 실언 (1) 실언 (Freudian slips) (1) 1. 프로이트의 실언 이런 경험 ‘프로이트 실언’의 유래 '프로이트 실언'의 정의 2. Parapraxis (실착 행위) 정의 유형 범주 3. 정신 분석에서 정신 구조 정신의 요소 (성격 구조) 정신 구조 프로이트가 말하는 무의식이란? 무의식적 모티브의 유형 자유 연상 게임 4. 실언 실언의 유형 의식의 언어화 (verbalization of the stream of consciousness) 흰곰 실험 ‘프로이트 실언’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접근 5. Freudian slips의 생생한 사례 프란치스코 교황 상원의원 테드 케네디 콘돌리자 라이스 이명박 전두환 박근혜 이재용 홍준표 여러 선진국의 보통사람들은 단어를 1천 개 말할 때마다 말실수를 두어 번씩 한다... 2019. 3. 22.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