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애 목소리 형성의 기반
표현력 좋고 듣는 이들에게 잘 인식되는 말은 (말소리는), 목소리 기구의 주요 구성요소가 적절하게 서로 작용할 때 형성된다. 이 요소에는 이런 것이 있다. - 소리 발생기 (후두, 성대주름) - 공명 부위 (흉강, 구강, 비강, 부비강) - 호흡 부위 (기관/숨통, 폐, 횡격막) - 조음 기구 (혀, 입술, 턱). 목소리 형성의 원천은 언어 호흡. 이는 말하면서 이용하는 호흡. 음파의 형성과 전달을 촉진하는 음향 수단은 바로 날숨 (내쉬는 공기). 최적의 언어 호흡 형태는 하부 늑골 호흡으로서, 이는 늑간근과 횡격막, (내외)복사근을 수축하여 수행한다. ☞ 언어 호흡 폐와 기관지에서 밀려난 공기는 나가는 경로에서 저항을 받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닫히고 긴장된 성대주름. 성대가 진동하면서 소리가 생기게 ..
2021. 2. 13.
목소리, 알파에서 오메가 (4)
- 오디오 들으며 알고 실행하기 (4) 19. Voice Production (정신물리학적 측면. 소통의 시작은? 임펄스 고찰. 사회화) 20. 목소리가 잘 울리지 않는 까닭은? (목소리 생산에 부정적 요소 - 호흡에서, 후두에서, 성대에서, 공명기관에서, 조음기관에서, 자세에서, 심리 상태에서) 21. 이완 (Relaxation). 긴장, 경직, 스트레스, 유유화화 (얼굴, 목, 턱 근육 이완) 22. 호흡-발성-조음 기관의 이완. 이완과 감정 발산 (척추 이완과 정렬, 혀 근육) 23. 소리 건드리기 (프리마 톤, 진동 만들고 느끼기) (알림) Voice Training에 관심 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해 주세요. 관련 포스트: 목소리: 호흡과 이완 내추럴 보이스 복원 방법 (4-2) 좋은 목소리 만들..
2020.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