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시각 채널4

07-4. 실재를 지각하는 추론 수준 (나는 누구인가 > 마인드의 작업 > 실재를 지각하는 여러 수준 > ... ) 추론의 수준 단어들이 나타난 덕분에, 거기에 담긴 의미를 잘 다룰 수 있게 됐다. 문장이나 문구가 그렇게 생겨났다. 예를 들어, “엄마가 창틀을 닦았어” 같은 문구는 서로 연결된 세 부분으로 이뤄진다. ‘엄마’, ‘창틀’, ‘닦다’란 단어 각각에 나름의 의미가 있고, 이 의미가 각 개인에게 적절한 이미지 형태로 제시된다. 게다가 전체 문구도 당신 마인드에서 어떤 (정적이거나 동적인) 장면으로 역시 반영될 것이다. 문구를 이용하기 시작할 때, 우리는 실재(현실, 세계)를 지각하는 다음 단계인 추론 수준으로 이동한다. 이 수준에서 우리는 단어들로 이뤄진 복잡한 의미 구조를 만든다. 문구의 각 단어는 나름의 독특한 뜻을 지닌다. 이.. 2019. 9. 26.
03. 지각의 물리적 현상 03. 지각의 물리적 현상 지각하는 과정이 어떤지 이해하기 위해 물리학과 생물학의 과학적 자료를 몇 가지 살펴본다. 먼저 시각 채널. 시각은 정보가 가장 많은 정보 채널이다. 이걸 통해 외부세계에서 정보를 가장 많이 얻는다. 시각은 주변 환경에서 빛을 지각하는 것임을 우리는 물리학을 통해 안다. 지구에서 빛의 가장 큰 원천은 태양. 빛은 본질상 특정한 주파수를 지니는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이다. 넓은 뜻으로는, 가시광선(可視光線)뿐 아니라 자외선과 적외선도 포함된다. 이 파동을 우리는 주관적으로 특정한 색깔로 지각한다. 예를 들어, 400-480 테라헤르츠 주파수의 빛을 빨간색으로, 620-680 테라헤르츠 주파수의 빛을 파란색으로 지각한다. 이런 빛의 주파수를 우리가 왜 그렇게 받아들이는지는, 뒤에서.. 2019. 9. 15.
02. 정보 지각 채널 2장. 정보 지각 채널 알아본 것처럼, 사람의 감각 경험은 잠정적으로 두 세계로 나눌 수 있다. 바깥 세계와 내면세계. 이제 이 세계에서 어떤 종류의 정보가 우리한테 들어오는지 알아보자. 바깥 세계부터 본다. 우리가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등 오감을 통해 바깥 세계를 인지한다는 것은 확실하다. 즉, 뭔가를 보고 듣고 느끼고 냄새 맡고 피부를 통해 감지한다. 이건 다 질적으로 완전히 다른 정보 형태이다. 달리 말해, 시각을 통해 접하는 것은 청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될 수 없다. 맛으로 느끼는 것은 냄새로 감지하는 것과 완전히 다르다. 우리가 바깥 세계에서 얻는 여러 정보 유형을 정보 지각 채널이라 부른다. 우리한테 왜 하필 오감이 있는지 궁금하게 여기는 이들이 많을까? 어떤 이들은 육감도 있다.. 2019. 9. 15.
판매왕 비결 판매왕 비결 - 첫 인상을 만드는 요소들 판매자와 고객 간의 소통은 주로 3가지 채널로 이뤄진다. 언어 채널, 소리 채널, 시각 채널. 이 채널들은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에서 여러 효과를 지닌다. 대략… 우리가 입에서 꺼내는 말의 의미로 정해지는 언어 작용은 10%, 목소리 음색이며 억양, 리듬이 가하는 작용은 30%, 그리고 60%는 눈에 들어오는 요소들, 즉, 움직임, 눈길, 의복, 표정, 행동거지 등이 작용한다. 개인적 대면에서: •10% — 언어 채널 •60% — 시각 채널 •30% — 목소리 채널. 전화 통화에서: •30% — 언어 채널 •70% — 목소리 채널. 전화 통화에서는 시각적 요소가 없으며, 목소리 역할이 주로 커진다. 노래를 들으면서 당신 경우엔 무엇을 더 중시하나? 노랫말? 멜로디?.. 2019. 4. 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