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청중연결2 퍼블릭 스피킹(13) 청중 분석 #액션 8 (청중 분석) “우리 각자는 말이라는 매개물 속에서 세상과 합쳐진다.” - 한스 가다머 (1900-2002, 독일 철학자, ) 청중 분석과 청자들 분위기 파악은 좀 지루하게 느낄지도 모르겠으나 아주 중요한 작업이에요. 왜냐하면, 성공적인 화자는 늘 피드백을 중시하니까! 많은 화자들이 연극 공연에 임하는 배우처럼 Public speaking에 접근합니다. 토픽을 잡아 원고를 쓰고 몇 번이나 리허설을 하면서 나무랄 데 없이 준비하여 말을 하지요. 한데, 토크나 스피치를 행하는 것과 햄릿을 연기하는 것 간에는 차이가 있어요. 연극이나 댄스 쇼를 볼 때 관중은 무대와 감정적으로 섞이면서 감동이나 신명을 얻기 바라는데 비해, 연단 앞에 앉은 청중은 메시지를 들으면서 뭔가 값어치 있는 것을 얻고자 기대합.. 2019. 4. 1. 신체언어와 강력한 speaker 신체언어와 더 강력한 화자가 되는 비결 12가지 청중에게 더 미덥게 보이고 역동적인 화자가 되기 위한 비언어적 소통 수단 1. 가능한 한 앉기보다는 서서 말하는 게 더 낫다. 우리네 신체는 아주 중요한 소통 도구인데 그 절반을 청중에게 보이지 않는 건 바람직하지 못하다. (두 상태의 차이를 곰곰이 비교해 보라.) 실내에서 화자의 위치와 신체 움직임 전반은 소통의 강력한 구성 요소에 든다. 청자들의 주목과 기대를 한 몸에 받는 화자로서 당신의 것을 다 내주라! 2. 두 발을 바닥에 든든히 뿌리 내리라. 두 발을 어깨 너비로 벌리고 체중을 균등하게 실어 우뚝 선다. 이런 자세에서 안정적인 모습이 나온다. 이 안정적이고 듬직한 모습에서 또 청중은 당신의 생각과 주장도 그런 상태로 보게 되는 것. 3. 두 손을.. 2019. 3. 27.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