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Public Speaking/언어 생활10

입말 분석 입말의 분석 1. 말소리는 다음처럼 한정된 날숨에서 나온다. (1) 날숨이 성대주름 사이를 통과하면서 진동이 생긴다. (발성) *목소리 건드리기 *목소리 프리마톤 (2) 날숨이 일정한 모양의 입을 지나면서 모음을 만든다. (발음) (3) 날숨이 공기 경로의 여러 부위와 접하면서 자음들을 만든다. (조음) * 딕션 훈련 깐 콩깍지 2. 글쓰기 철자의 모음과 자음들이 말하기에서는 소리나 단음(單音)에 해당된다. 단음들이 결합하여 음절을 이루고, 음절들이 결합하여 단어를 만든다. 단어들은 또 문장이나 어구를 이룬다. 모든 단음의 음가를 최대한 정확하게 내야 한다. 3. 좋은 말씨 다소 길게 이어지는 날숨이 진동하면서 어구에 있는 단어들에 담긴 소리를 내는 것을 말(소리)라 할 수 있다. 참고: 목소리의 또 다.. 2019. 3. 25.
입말의 특질 말의 특질 (입말의 특질이란 소통 효율을 촉진하고 화자의 언어 교양 수준을 특징 짓는 언어 특성을 뜻한다. 입말의 주요 특질에는 올바름, 정확성, 깨끗함, 명료함, 논리성, 풍부함, 표현성, 적절함 등이 있다. ) 1. 올바름 이는 말의 기본 특질. 표준어 규준을 알고 잘 적용할 때 나온다. 2. 정확성 말의 소통 특질. 올바른 단어 사용, 필요한 동의어 선택, 올바른 단어 결합, 다의어 감안 등. 정확성이 깨지는 원인 - 적확하지 않은 어휘 사용, 긴 문장 구조 이용, 삽입 구조 과다, 말의 과잉. 말의 정확성은 -단어 의미를 정확히 알고, -동의어들을 정확히 쓰고, -다의어를 줄여 쓰면 좋아진다. 3. 적절함 말의 구조와 스타일이 소통 조건과 정보 내용, 선택한 기술 스타일, 화자와 청자의 개별적 특.. 2019. 3. 25.
입말의 요소 입말을 구성하는 요소 1. 스피치 내용 - 화자의 지식과 어휘력이 드러난다. 2. 자연스러움 - 이를 위해서는, 1) 자신감 2) 대화 형식으로 말하기 3) 제스처, 고갯짓, 무대 동작 등에서 자유로운 움직임 3. 알아듣도록 말하기 - 이를 위해서는, 1)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2) 적절한 목소리 크기와 명확한 발음 3) 1분에 음절 300개 안팎의 속도 4) 길지 않은 문장들 5) 전문 용어, 외래어, 축약어 설명 6) 이해하기 어려운 생각을 다른 말로 반복하기 등. 4. 생생한 묘사 - 이를 위해서는, 1) 억양 (강조하는 단어들과 배경 간에 대비를 두어 말에 굴곡이. 청중의 주의) *참조: 목소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 2) 목소리 톤과 표정에서 감정적 채색 (감정은 전염돼) 5. 시선 접촉 - (.. 2019. 3. 25.
소통과 스피치를 공부하는 까닭은? 사회 현안에 관심   "우리가 소통과 스피치를 연마하는 까닭은… 세상을 바꾸기 위함이야!" 그렇습니다, 바로 그래요."아, 그래? 목소리를 잘 조율하고 소통과 스피치의 각종 스킬을 부지런히 실습해서 갖추기만 하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거야?!" 이런 의문을 품다 보면, 뭔가 채워야 할 과제가 더 있지 않나, 생각하게 됩니다. 뭔가 부족한 듯싶어요.기법은 기법일 뿐, 그것 하나로는 세상을 좋은 쪽으로 바꾸기 힘들 겁니다. 아니, 그것 하나에만 능통하다면 외려 세상을 더 어지러운 것으로 만들게 될지도 모르죠.  왜냐구요? 왜냐하면, 궤변과 윤색이 판치게 될 수도 있을 테니까. "아, 말만 빤지르르하게 잘 하는 사람은 싫어!" 이런 평판은 "No, thank you~" 아니겠어요?   잘 다듬은 목소리, .. 2019. 3. 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