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rc="https://cdn.subscribers.com/assets/subscribers.js"> '관념 연합' 태그의 글 목록
728x90

'관념 연합'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1.08 기억술의 핵심 요소 3가지
  2. 2019.09.24 07-3. 단어와 명칭 수준에서
728x90

기억술의 3포인트

 

구체적인 암기법을 익히기 위해 먼저 기억술의 주요소를 알아보자. 

1) 연상 (Associaton)  

 

연상(관념 연합)을 감각과 지각, 관념 사이에 생기는 연결이라고 정의하자. 


연상을 통해 우리는 예를 들면 ‘고양이’라는 단어에서 그에 걸맞은 이미지를 즉각 떠올리게 된다. 

즉, 콧수염과 꼬리가 길고, 털이 희고 (붉고, 잿빛, 검고), 걸음걸이가 날렵하며 날카로운 발톱을 지니고 야옹거리는 동물. 

 

이 동물에 대해 더 생각한다면, 우리가 그 녀석한테 어떻게 대하며 최근에 어디서 봤는지 등을 떠올릴지도 모른다. 

고양이를 애완동물로서 생각하다가, 개에 관해 떠올리고 관련 주제도 한참 생각하게 될 수 있다. 

그렇게 우리는 연상 사슬을 연달아 스크롤 하면서 아주 다양한 정보를 숱하게 되살린다. 

 

기억술에서는 어떤 자료를 잘 알고 명확한 이미지로 바꾸는 열쇠로서 연상을 이용한다.

우리 마인드에 수많은 연결이 있는 덕분에 아주 다양한 이미지를 내키는 대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지식이 더 많을수록 이 선택이 더 크고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고 기억하기가 더 쉽다
또한,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면서 새로운 연결과 연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매우 중요한 사실이 나온다. 즉, 

정보를 더 많이 기억할수록, 다른 정보를 또 더 많이 기억할 수 있다는 것!


2) 배치 (Placement) 

 

어제 무엇을 했는지 자세히 기억해 보라.

이제, 일주일 전엔 무슨 일을 했는지 떠올리라. 

자기 생각의 흐름을 분석한다면, 과거 행동을 떠올리려 하면서 그게 일어난 장소에 관한 기억에 의존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얼굴은 아는데 이름이 기억나지 않은 사람과 마주칠 때, 우리는 무엇을 하나? ‘마지막에 어디서 봤더라’ 하면서 장소를 떠올리지 않는가! 

즉, 지나간 일에 대한 기억은 그 일이 일어난 장소와 연관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상상력과 판타지를 마음껏 발휘한다


3) 상상 (Imagination)  

 

우리는 상상 속에서 

“화가처럼 그림 그릴 수 있다. 상상력은 지식보다 더 중요하다. 지식에는 한계가 있지만, 상상은 온 세상을 품는다.

아인슈타인이 그렇게 단언했다. 

 

기억력 향상 작업을 막 시작한 이들 중 일부는 기억술에 상상 작업이 필요하다는 얘기를 들으면 겁을 먹는다. 이들은 판타지가 자기네 약점이라고 믿고 있다. 

 

이런 경우, 자신의 주된 꿈이 실현됐다고 상상할 필요가 있다.

‘나는 어려서부터 가고 싶어 하던 곳에 있는 거야.’ 그렇게 마음속에 그리라. 

 

누군가는 푸른 바다를 따라 줄지어 선 야자수 사이 낙원으로 간다.

또 누군가는 산꼭대기 3층 별장으로 간다. 
어떤 이들은 여행하면서 새로운 사람들과 사귀고 명승지를 즐기고, 어떤 이들은 사람들을 돕는다. 

 

누구한테나 자기만의 소중한 갈망이 있다.

그러나 예전에 가보지 않는 미지의 장소나 상황도 다들 완벽하게 상상할 수 있다. 

 

자기 꿈의 시각화가 곧 상상인 것을! 

이제, 파란색 연필을 녹색 선인장에 꽂았다가 빼서 우유가 든 컵에 집어넣었다고 마음속에서 그려 보라.

이건 그리 어렵지 않아!
언뜻 보기에 서로 아무 관계도 없는 물건들을 상상에서 결합해 보라. 이를테면, 

 

황소와 나무 그루터기, 
종이와 헤드폰, 
낙타와 램프. 

 

스스로 여러 가지 예를 들면서 이 연습을 계속하라.

자신의 상상력을 금방 믿기 시작하며,

당신의 뇌가 다양한 연결을 멋지게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관련 포스트:
기억술 (mnemonics) - 단어 암기법

(33) 원고 읽는 스피치

(31) 기억력 강화

뇌 편도체에 관해

우리한테 있지만 무시하는 능력 12가지

토막생각 clip thinking

 

토막생각 clip thinking

 clip thinking: 선인가, 악인가? (*이 포스트에서는 clip thinking이란 용어와 우리말 '토막생각'을 동의어처럼 사용하고 있음을 밝힙니다.) 그림 맞추기 퍼즐을 한 적이 있나? 거의 누구나 한 번씩이라

mirchimin.tistory.com

자동적 사고 탐지 기술

기억하고 음미할 만한 경구 (1)

12. 어떤 사건의 원인을 한 가지만 볼 수는 없어

남녀 지각과 인식의 특성

창의적인 마인드 활용 방법 46

루덩의 악마들 8편 4

남녀 뇌의 다른 점 20가지

당신은 자신의 뇌를 얼마나 알고 있나?

13-1. 자유의지란 환상이야

좌뇌와 우뇌, 어느 쪽이 우세한지?

우리가 쓰는 '말'에 관한 약간의 정보

 

728x90
728x90

 

(2부. 마인드의 작업. 객관적 실재의 지각 수준 <계속>) 

 

  단어와 명칭의 수준  

 

 

이것은 추상적 실재의 첫 번째 수준이다. 

이 수준 이전에는 당면한 실재 수준들이 있었다. (감각 정보의 수준, 구체적인 대상의 수준).

목전에 당면한 실재는 바로 지금 순간에 지각하는 것이다. 

주변을 둘러본다면, 바로 지금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볼 것이다. 그러면서 우리는 보거나 듣거나 느끼는 그 무엇에도 이름을 붙이지 않는다. 이것을 우린 바로 앞장에서 이미 살펴봤다. 

 

앞에 소개한 도표를 참고 삼아 다시 제시한다. 

주관적 실재, 객관적 실재, 추상적, 당면한 실재, 추론 수준, 단어와 명칭 수준, 구체적 대상 수준, 감각 정보 수준, 객관적 실재의 수준

추상적 실재는... 단어와 이미지를 통해 우리가 세계를 묘사하는 방식이다. 
추상적 실재는 세상 그 자체보다는 세상에 대해 우리가 생각하는 것에 더 가깝다. 

 

마인드가 모든 감각 정보에서 마인드에 친근한 대상을 자동으로 구별한다는 점을 우린 바로 앞장에서 살펴봤다. 그런 대상을 마인드가 구별하는 까닭은 바깥 환경에서 그것을 보는 데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아직 말문이 트이지 않은 어린애들이 세상을 그렇게 지각한다

 

하지만 어린애들은 외부세계뿐 아니라 어른들 사회에서도 살고 자란다. 그리고 성인들은 사물과 대상을 어떤 이름으로 부른다. 이건 ‘사과’이고 저건 ‘촛불’이고 또 저건 ‘나무’야. 언어의 이용자로서 부모는 늘 자기 아이와 얘기 나눈다. 어린애에게 장난감을 보여주고 그것을 ‘공’이나 ‘인형’, ‘바람개비’라고 부른다. 부모는 자신을 가리키면서 ‘엄마’나 ‘아빠’라고 부른다. 또 ‘할아버지’와 ‘할머니’ 같은 이름도 들려준다. 

그렇게 이름으로 부르고 이름 들려주는 일을 부모는 아주 자주 한다. 몇 가지 색깔을 띤 둥근 물체를 여러 번 보여주면서 ‘공’, ‘공’, ‘공’이라고 말한다. 물론, 어린애한테 이것은 아직은 공허한 소리이다. 

 

그러나 우리가 앞에서 알아봤듯이, 어린애의 뇌는 대상이 바깥 환경에서 자주 나타나면 그 대상을 청각 정보 속에서 저절로 구별하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부모가 말하는 단어가 늘 반복되기 때문에 어린애 마인드에서 별개의 대상으로 식별돼 서서히 자리 잡는다. 

그런 식으로, 둥글고 여러 색깔의 물체를 보면서 동시에 ‘공’이라는 같은 단어를 자꾸 듣는 환경이 어린애 의식에서 늘 반복된다. 어린애의 뇌가 이 두 가지 대상을 연관시키기 시작한다. 이제 어른이 ‘공’이란 단어를 말하면, 어린애 마인드에서 공의 이미지가 자동으로 연상된다

 

성인들에게는 물체나 대상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그 이름을 백 번 반복할 필요가 없다. 한두 번으로 어떤 대상이 어떻게 불리는지 성인은 기억한다. 즉, 세상의 물체와 단어와 연관시키는 작동 원리가 성인기에도 작동한다. 언어 학습이 멈추지 않는다. 

 

단어들은 인간 세계에서 특별한 대상이다. 어린애는 처음에 단어들을 듣기만 한다. 그러다가 말문이 트이면 그 단어들을 입 밖에 내게 된다. 다음에는 책 읽기를 배우는데, 이때 아이는 자기가 이전에 말하던 단어들이 또 어떻게 보이는지 알게 된다. 결국, 아이가 글을 배우면서 단어를 적기 시작한다. 즉, 단어들이 어떻게 소리 나고 어떻게 보이는지를 안다. 단어들이 청각과 시각 채널에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단어들이 무엇에 왜 필요한지가 가장 중요한데, 이건 단어들에 녹아 있는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건 또 사람의 마인드에서 단어들이 어떤 이미지나 형상들과 연결됨에 따라 일어난다. 

 

예를 들어, 아이에게 여러 시기에 여러 종류의 인형을 보여주면서 매번 같은 ‘인형’이란 단어로 부른다면, 어린애 마인드에는 ‘인형’이란 단어와 그 모든 물건의 관념 연합이 생긴다. 이때 이 모든 인형이 서로 좀 비슷하다면, 마인드는 그것들 간의 공통 특징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인형’이란 단어를 아이가 본 인형을 전부 일반화하는 추상적 이미지와 자동으로 연결할 것이다. 그리고 부모가 더 다양한 물건을 ‘인형’이란 단어로 부를수록, 이 단어의 의미가 아이에겐 더 다양해질 것이다. 

 

여러 종류의 인형

다양한 대상들이 더 많이 같은 단어로 불릴수록... 이 단어는 더 추상적이 되고, 이 단어의 의미는 이 세상 특정한 대상들의 관념에서 더 멀어질 것이다. 예를 들어, ‘탁자’라는 단어에는 어떤 사람이 보아 온 모든 형태의 탁자 이미지가 들어있다. 하지만 이 단어와 연결된 모든 이미지를 스캔하려면 마인드에는 노력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고, 따라서 마인드는 더 경제적으로 작동한다. 즉, ‘탁자’라는 단어가 들릴 때 마인드는 어떤 한 가지 이미지를 내놓는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당신에게 ‘차량’이라는 단어를 말하면, 당신 마인드에는 이런 이미지가 생길 수 있다. 

 

세단 승용차

혹은 이런 것일 수도 있겠다. 

 

초기 자동차

 

모든 것은 그 단어를 듣는 사람의 개인 경험에 달렸다. 

한번 시험해 보라. 

이를테면 ‘집’이라는 단어를 들을 때 당신 마인드에는 무엇이 나타나나? 

마인드에 어떤 집 그림이 생겼을 것이다. 

당신에겐 어떤 그림인가? 

이 단어를 들을 때 다른 사람들에게도 다 같은 그림이 떠오를 것이라고 생각하나? 

알고 보니, 단어란 사람 기억에 있는 이미지들을 가리키는 표시기 같은 것이다. 한데 어떤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들의 총체는 사람마다 제각각이고, 이 단어를 말할 때 자동으로 생기는 이미지 역시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단어를 입에 올리면서, 우리는 그 단어와 연관된 우리의 경험과 지식을 언급하는 게 아닌가 싶다. 우리는 그것을 기억에서 되살려내는 것이다. 

 

그런 중요한 부분에 주의를 집중할 가치가 있다. 당신의 당면한 실재에서 당신 앞에 지금 여기 있는 특정한 탁자와 일반적으로 ‘탁자’라는 단어 간의 차이는 크다. 

 

나무 탁자 위에 노트북과 안경

 

지금 눈앞에 보이는 이 특정한 대상은 아직 탁자가 아니다. 이것은 우리 시야에 들어오는 모든 것 속에서 우리 마인드가 인식한 어떤 대상일 뿐이다. 한데 ‘탁자’라고 불리는 것은 (단어는) 추상적 대상이며, 이 대상은 어떤 사람 내면의 형상과 소리, 느낌의 형태로 암호화된 개인 경험을 언급하는 것이다. 

이 추상적 대상은 사람마다 제각각이다.

 

우리가 지금 눈앞에 보는 이 구체적인 대상을 ‘탁자’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이 대상의 형태와 우리 기억에 저장된 단어 이미지가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런 것도 탁자라고 부를 텐가?   

 

동그란 나무 탁자

 

이런 탁자를 당신은 못 봤을 것이다. 지금 보라. 그러면 다음에 이런 대상이 당신 시야에 들어오는 경우 그것이 탁자임을 알게 될 것이다. 하지만 그런 경험이 없는 사람은 알지 못할 것이야. 그리고 당신의 ‘탁자’라는 단어의 의미는 지금 막 또 하나의 방식으로 확장됐다. 

정리하자면, (말의 최소 단위인) 단어란 개별적인 추상적 실재이다. 
단어란 우리가 경험한 내용을 가리키기 위한 표식이나 꼬리표와 같은 특별한 대상이다. 
다시 말하건대, <구체적인 탁자>와 <‘탁자’라는 단어>를 혼동하면 안 된다. 
탁자처럼 보일 수 있는 특정한 대상은 지금 당신 앞에 있고 아주 잘 감지되는 크기와 형태, 색상을 지니고 있다. ‘탁자’라는 단어는 특별한 청각적이거나 시각적인 대상이며, 이 대상은 당신이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탁자를 지각한 경험에 의거한다.

 

* 객관적 실재의 지각 가운데 <추론의 수준>이 계속됨.   

(알림)  Voice Training에 관심 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해 주세요.

관련 포스트:

(49) 호칭과 지칭

한국 언론의 특파원이란?

로이 클락의 글쓰기 도구 50 가지

지식의 저주 (The curse of knowledge)

(1) 당신 마음은 당신이 아니야!

<호밀밭의 파수꾼> 샐린저의 명구 24개

남자 사귀면서 여자들이 저지르는 실수 77가지

아이를 칭찬하지 말라(?) (20)

심리적 시간의 함정 13

루덩의 악마들 10편 2

루덩의 악마들 5편 1

도웰 교수의 머리 4장

남자 심리 3 (청하지 않은 조언)

역사의 메아리 (올더스 헉슬리 소개와 작품 해설 1)

19. 동일시의 수준과 유형

유념해야 할 일상 메타 표현

소통 법칙 14가지 (2. 오디오)

군더더기 말이 드러내는 당신 특성

우리가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과학 실험 3가지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