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근접발달 영역3

10과. 자녀와 소통 방법 정리 (1부 끝. 37) (10과. 우리의 감정 항아리, 계속) “저리 꺼져, 이 멍청이야!”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이미 ‘좋은/똑똑한’ 아이나 ‘나쁜/멍청한’ 아이라는 평가를 받은 아이들이 학교생활을 어떻게 하는지... 이것이 한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한 심리학자가 평범한 초등학교 두 학급의 수업을 정기적으로 방문했다. 교사에게 아이들 행동을 관찰한다고 설명하고 맨 뒷줄에 말없이 앉아 있었다. 실제로 그의 관심은 교사가 이른바 ‘우등생들’과 ‘열등생들’에게 어떻게 대하는지 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각 학급에서 각 그룹의 학생을 서너 명씩 점찍었다.) 그 결과 놀라운 사실이 드러났다. 이른바 ‘우등생’으로 평가된 아이들한테는… “잘했어”, “훌륭해”, “좋아”, “(다른 아이들에게) 이 애를 본받아라”, “넌 벌써 다 공부했.. 2019. 9. 2.
비뚤어진 행동을 하는 원인 4가지 (33) (비뚤어진 행동을 하는 원인 4가지, 9과 계속) * * * 부모 말을 듣지 않아서 생기는 조건부 후과 같은 것에 어떻게 대해야 하나? 어쨌든 그런 것을 피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 처벌을 적용할 때 아주 중요한 법칙 하나를 견지하는 게 좋다. 법칙 6. 아이를 나쁘게 만들면서 벌하기보다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빼앗아 벌하는 게 더 낫다. 달리 말해, 제로에서 마이너스로 가기보다 플러스에서 제로로 향하면서 벌하는 게 더 낫다. 여기서 제로는 부모와 자녀 두 사람의 중립적이고 평탄한 관계를 뜻한다. 그럼, 플러스는 무슨 뜻? 예를 들어, 일요일마다 아빠가 아들을 데리고 낚시에 가기, 혹은 엄마가 맛있는 과자를 구워 주거나 다 함께 산책하러 나가기 등이 이 가족의 일이다. 아이들은 그런 가족 행.. 2019. 8. 26.
아동의 근접발달 영역 확장과 자전거 타기 (8) 보다시피, 는 아이가 어렵게 여기는 일을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 설명한다. 다음 사례는 이 규칙의 보충 사항들이 뜻하는 바를 더 세세하게 보여준다. * * * 많은 부모가 아이에게 자전거 타는 법을 가르쳐 봤을 것이다. 대개는 아이가 안장에 앉은 뒤 균형 잃어 자전거와 함께 넘어지지 않게 버티는 것부터 시작된다. 당신은 한 손으로 핸들을 쥐고 다른 손으로 안장을 잡고 자전거가 똑바로 서게 한다. 이 단계에서는 거의 모든 것을 당신이 직접 한다. 당신이 자전거를 끌고 아이는 그저 서툴고 조급하게 페달을 돌리려고 할 뿐. 하지만 얼마 지나서 아이 스스로 핸들을 조작하는 것을 보게 되고, 그때 당신은 핸들을 쥔 손에서 서서히 힘을 뺀다. 또 얼마큼 시간이 흐르면 당신은 핸들을 놓고 안장만 붙잡은 채 바로 뒤에서.. 2019. 8.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