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부비강6 목소리 공명 강화 목소리 공명강 발달 - 실전 방법 14가지 자신의 녹음 목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다면, 생각보다 약하고 둔탁하고 낯설게 들린다는 점에 놀랐을 것이다. 문제는, 목소리 기구의 조직을 거치면서 소리의 힘이 80%까지 줄어든다는 데 있다. 하지만 소리를 흡수하는 연한 조직 외에, 목소리 기구에는 단단한 벽을 지닌 굴(강)들이 있고, 거기서 소리가 되튀면서 몇 배 더 증폭한다. 이 강(굴)들을 공명강이라 부른다. 다음에 제시하는 실습으로 목소리가 통과하는 강들에서 소리 컨트롤 기술을 키울 수 있다. 1) 가슴 공명강 목소리가 지나치게 가늘다고 생각된다면, 가슴 공명강이 목소리 형성에 별로 관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가슴은 전체 목소리 기구에서 가장 큰 공명강. 가슴 공명강의 진동이, 목소리에, 충만하고 성량 큰 .. 2020. 11. 23. 목소리: 호흡과 이완 목소리: 호흡과 이완 - 가장 기본적인 목소리 훈련 과제: 올바르게 호흡하고 긴장된 근육 풀어주는 법을 익히며 다른 이들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좋게 만들기. 왜 중요한가: 듣기에 상쾌한 목소리는 긴장을 덜어주며 귀를 모으게 한다. 불쾌한 목소리는 소통을 방해하며 청자들은 물론이고 말하는 당사자한테서도 부정적 감정을 일으킬 수 있다. 누군가에게 하는 말은 그 내용뿐 아니라 말하는 방식도 듣는 사람한테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거칠고 차가운 목소리보다 부드럽고 유쾌하고 친절하고 호감 가는 목소리로 말하는 사람의 얘기에 더 귀 기울이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목소리는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점을 먼저 인식해야 한다. 즉, 다른 누군가가 말하는 것처럼 말하려 해서는 안 될 일이다. 자기 본연의 목소.. 2020. 11. 13. 중간 목소리 음역 목소리 음역의 중간 부분 이제 목소리 음역의 가장 어렵고도 흥미로운 부분으로 이동하자. 이건 공명 사다리 절반쯤에, 중간 음계에 있다. 이건 아마도 일상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음역일 것. 가슴과 목구멍, 구강의 단순한 통로들에 비하면 중간 음계의 공명 ‘복도’는 미궁에 속한다. 우리는 두개골 구조를 살펴보고, 얼굴 마스크 안의 통로와 굴의 형태가 얼마나 다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개중 어떤 것들은 단단한 뼈에 ‘움푹 파인’ 것이고, 또 어떤 것은 투명한 연골이 벽을 이루며 너비가 1밀리에 불과하기도 하다. 그렇게 재료가 서로 다르고 형태가 다양한 까닭에, 잠재적인 공명 버전이 무수히 나온다. (이로 인해 사람의 목소리 음색이 저마다 다른 것이다.) 하지만 우리네 대다수는 목소리를 내기 위해 중간 음계를.. 2020. 10. 20. 기관, 부비강, 호흡기 질환 호흡 정리 2 기관과 기관지 공기는 후두에서 기관(숨통)으로 들어간다. 기관은 상당히 넓은 튜브로서, 반원형의 연골 고리들로 이뤄지며 부드러운 면이 식도에 맞닿아 있다. 즉, 식도는 뒤쪽에서 기관에 접한다. 기관의 내벽은 섬모 상피로 덮여 있다. 섬모가 흔들리면서 먼지를 폐에서 인두로 내보낸다. 이걸 폐의 자정 과정이라 부른다. 기관은 아래에서 좌우 두 개의 기관지로 갈라진다. 기관지에는 호흡 중에 기관지 기능의 쇠퇴를 방지하는 연골 고리들이 있다. 더 작은 기관지들에는 연골 고리 대신 작은 연골판이 있으며, 가장 작은 기관지인 세기관지에는 연골판이 없다. 부비강 두개골의 일부 뼈에는 공기를 품는 굴(강, 동)이 있어, 이를 부비강이라 부른다. 전두골/이마뼈에는 전두동이, 상악골/위턱뼈에는 상악동이 있다.. 2020. 9. 6. 호흡의 중요성과 호흡기 구조 호흡 정리 1 1. 호흡의 중요성 음식 없이는 몇 주, 물 없이는 며칠을 지낼 수 있겠으나, 공기 없이는 겨우 몇 분만 버틸 수 있다. 영양소는 물과 마찬가지로 몸에 축적되는데, 신선한 공기의 축적은 폐활량에 달려 있다. 그래서 공기를 끊임없이 바꿔줘야 하는 것. 폐의 환기 덕분에 폐에는 거의 일정한 가스 혼합물이 유지되는데, 이 혼합물은 산소가 혈액에 들어가고 이산화탄소와 다른 가스 분해 생성물과 수분이 혈액에서 배출되는 데 필수적이다. 조직에 산소가 충분히 들어가지 못할 때 조직의 기능이 깨진다. 왜냐하면, 유기물의 분해와 산화가 중단되고, 에너지가 나오지 않으며, 그래서 에너지 공급이 중단된 세포들이 죽어버리기 때문에. 한마디로, 유기물의 생물학적 산화가 없으면 세포의 활동이 불가능하다. 신체와 외.. 2020. 9. 6. 변성기 아이들 엄마, 내 목소리가 이상해요! 아들 목소리가 잠깐 동안은 정상적으로 들린다. 하지만 그러다가 갑자기 쉰 듯하면서 갈라지고 삐걱대는 소리가 나온다. 목소리가 컨트롤되지 않는 듯싶다. 한 어구를 말하는 동안에도 목소리가 아무 데서나 높아졌다가 또 낮아지고 다시 올라간다. 우리 애가 감기에 걸렸나? 목이 아픈가? 그런 것 같지는 않은데, 애가 하는 말소리가 어째 제대로 들리지 않는다. 아들 목소리가 변하고 있다. 이건 사춘기에 접어든 소년소녀들한테 일어나는 여러 현상들 중 하나이다. 물론, 사내애들의 변성이 여자애들보다 훨씬 더 뚜렷하다. 내 목소리가 달라지는 원인은? 사춘기에 접어든 사내애의 몸은 테스토스테론을 많이 생성하기 시작하는데, 이것이 신체 여러 부위에서 변화를 일으킨다. 목소리도 예외가 아니다.. 2019. 4. 30.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