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시선접촉3

퍼블릭 스피킹(7) 말하기 체크리스트 #액션 3 (말하기 체크리스트) “생각한다는 것은 가장 어려운 일이야, 그렇기 때문에 그걸 하는 사람이 극히 적은 게 아니겠어?” - 헨리 포드 (1863-1947, 미국의 기업가, 자동차 왕) 우리네 말하기의 주된 목표는 '듣는 이들에게 작용하기', 그것도 '우리가 원하는 대로 영향 끼치기'라는 점을 이미 앞에서 살펴봤지요? 이 훈련 과정도 당연히 그런 목표를 좇아서 구성됐습니다. 화자는 무엇보다도 편하고 자유로운 상태에 있도록 애써야 합니다. 당황하여 생각이 뒤엉키지 않도록! 그런 상태에서 말하기 요소들이 서로 조화롭게 짜여서, 우리가 하는 말이 명료하게 이해되고, 활기차고 흥미롭도록 만드는 겁니다. 우리의 주요 과제는 다방면에서 언어 능력을 키우는 것. 사실, 유창하고 매끄럽게 말하기란 어떤 형식에.. 2019. 3. 29.
신체언어와 강력한 speaker 신체언어와 더 강력한 화자가 되는 비결 12가지 청중에게 더 미덥게 보이고 역동적인 화자가 되기 위한 비언어적 소통 수단 1. 가능한 한 앉기보다는 서서 말하는 게 더 낫다. 우리네 신체는 아주 중요한 소통 도구인데 그 절반을 청중에게 보이지 않는 건 바람직하지 못하다. (두 상태의 차이를 곰곰이 비교해 보라.) 실내에서 화자의 위치와 신체 움직임 전반은 소통의 강력한 구성 요소에 든다. 청자들의 주목과 기대를 한 몸에 받는 화자로서 당신의 것을 다 내주라! 2. 두 발을 바닥에 든든히 뿌리 내리라. 두 발을 어깨 너비로 벌리고 체중을 균등하게 실어 우뚝 선다. 이런 자세에서 안정적인 모습이 나온다. 이 안정적이고 듬직한 모습에서 또 청중은 당신의 생각과 주장도 그런 상태로 보게 되는 것. 3. 두 손을.. 2019. 3. 27.
입말의 요소 입말을 구성하는 요소 1. 스피치 내용 - 화자의 지식과 어휘력이 드러난다. 2. 자연스러움 - 이를 위해서는, 1) 자신감 2) 대화 형식으로 말하기 3) 제스처, 고갯짓, 무대 동작 등에서 자유로운 움직임 3. 알아듣도록 말하기 - 이를 위해서는, 1)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2) 적절한 목소리 크기와 명확한 발음 3) 1분에 음절 300개 안팎의 속도 4) 길지 않은 문장들 5) 전문 용어, 외래어, 축약어 설명 6) 이해하기 어려운 생각을 다른 말로 반복하기 등. 4. 생생한 묘사 - 이를 위해서는, 1) 억양 (강조하는 단어들과 배경 간에 대비를 두어 말에 굴곡이. 청중의 주의) *참조: 목소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 2) 목소리 톤과 표정에서 감정적 채색 (감정은 전염돼) 5. 시선 접촉 - (.. 2019. 3.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