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식도3

기관, 부비강, 호흡기 질환 호흡 정리 2 기관과 기관지 공기는 후두에서 기관(숨통)으로 들어간다. 기관은 상당히 넓은 튜브로서, 반원형의 연골 고리들로 이뤄지며 부드러운 면이 식도에 맞닿아 있다. 즉, 식도는 뒤쪽에서 기관에 접한다. 기관의 내벽은 섬모 상피로 덮여 있다. 섬모가 흔들리면서 먼지를 폐에서 인두로 내보낸다. 이걸 폐의 자정 과정이라 부른다. 기관은 아래에서 좌우 두 개의 기관지로 갈라진다. 기관지에는 호흡 중에 기관지 기능의 쇠퇴를 방지하는 연골 고리들이 있다. 더 작은 기관지들에는 연골 고리 대신 작은 연골판이 있으며, 가장 작은 기관지인 세기관지에는 연골판이 없다. 부비강 두개골의 일부 뼈에는 공기를 품는 굴(강, 동)이 있어, 이를 부비강이라 부른다. 전두골/이마뼈에는 전두동이, 상악골/위턱뼈에는 상악동이 있다.. 2020. 9. 6.
목소리 조율의 해부학적 비밀 목소리 조율의 해부학적 비밀 - 파이프 소제 목소리 조율의 비밀 3가지 가운데 먼저 해부학적 구성요소를 알아본다. 조립 파이프 목소리가 어디서 나는지 정확히 알게 됐기에, 우리는 목소리 해방의 해부학적 비밀로 넘어갈 수 있다. 가슴에서 후두까지 소리는 우리 의지와 무관하게 나오지만, 경로의 마지막 단계에서 후두라는 장애물을 만난다. 대체로, 사람들은 소리의 원천이 성대주름이고 그게 후두에 있는 만큼 목소리를 컨트롤하려면 후두 컨트롤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여긴다. 노련한 연극배우나 성악가들은 경험을 통해 신체 깊은 곳에서, 즉, 기관지에서, 소리를 끄집어내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후두를 (달리 말해, 목구멍을) 목소리의 길라잡이로만 삼았다. 바로 이걸, 목소리에서 목구멍을 분리하고 목을 길잡이로만 삼는 법을.. 2020. 6. 29.
기관(숨통)의 구조와 기능 기관(숨통)의 구조와 기능    후두, 기관, 기관지 (전면) A.후두개 B.갑상연골 C.윤상갑상 박막, 아래로 윤상연골과 연결돼 D.기관의 고리들  후두와 기관, 기관지 전면. h 설골의 근 각뿔 e 후두개 t 갑상연골의 상하위 각뿔 c 윤상연골 중간 tr 16개의 연골 고리를 보여주는 기관 b 우측 기관지 b1 좌측 기관지.   후두와 기관, 기관지의 전체 형태, 후면. h 설골의 큰 각뿔 e 후두개 t 갑상연골의 상위 각뿔 t1 갑상연골의 하위 각뿔 a 피열연골 두 개의 뒷면 돌출부, 이는 소각들 위에 있다 c 갑상연골 뒷면의 중간 융기 tr 기관의 전면 박막 부위 b, b1 좌우 기관지. 기관은 폐에 공기를 보내는 역할. 목과 흉강에서 식도 앞에 위치한 튜브.길이는 남성의 경우 10-12, 여성은.. 2019. 5.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