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아픔덩어리5

<지금> 순간의 힘 실습 (전자책) 에크하르트 톨레 순간의 힘 트레이닝 차 례 머리말 1부. 순간의 힘에 다가서기 1장. 와 깨달음 2장. 두려움의 근본 원인 3장. 순간으로 들어서기 4장. 무자각적인 것을 녹여 없애기 5장. 아름다움은 당신의 고요한 현존에서 생겨나 2부. 영적 수행으로서 인간관계 6장. 고통의 몸체 녹여 없애기 73 7장. 중독성 관계에서 깨달음의 관계로 전환 87 3부. 수용과 승복 8장. 순간 받아들이기 103 9장. 질병과 고통의 승화 129 관련 포스트: The Power of Now 내 안에 있는 보물 깨달음 추구하는 사람들 영적 진동을 키우는 방법 21가지 (3) 깨달음이란? '나'를 찾기 - 분리, 동일시 명상, 호흡 관찰 사르트르의 (2) 삶이란... 조하리 윈도 (1) 행복한 사람들, 불행한 사람들 (1.. 2019. 7. 21.
(23) 무자각의 수준 평범한 무자각과 깊은 무자각 - 여러 수준의 무자각이란 무슨 뜻인가? 아마 알겠지만, 잠자면서 우리는 꿈꾸지 않는 단계와 꿈꾸는 상태를 계속 오간다. 깨어 있을 때도 마찬가지로, 대다수 사람들은 평범한 무자각과 깊은 무자각 사이를 오간다. 내가 평범한 무자각이라 부르는 것은… 자기의 생각 과정이나 감정, 반응, 욕망, 혐오 등을 자신과 동일시하는 상태를 뜻한다. 대다수 사람들의 보통 상태가 그렇다. 이 상태에서는 에고 마인드가 지배하기 때문에 를 의식하지 못한다. 이건 예리한 아픔이나 불행의 상태가 아니라, 크진 않지만 거의 계속되는 불안이나 불만, 따분함, 초조함, 신경질의 상태… 일종의 정적(靜的)인 배경이다. 이 정적인 배경이 이른바 ‘정상적인’ 생활의 일부로 하도 깊숙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우.. 2019. 4. 15.
자기감정 표출 방법 (3) 자기감정을 개인적으로 표출하기 1. 명상하기 명상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하게 느낄 때 에너지를 집중하고 마음을 가라앉히도록 도울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다. 명상을 시작하려면 조용히 앉아 있기 편한 장소를 찾으라. 보통 호흡으로 시작한 뒤 심호흡으로 전환하여 코로 천천히 숨을 들이쉬고 폐를 채우면서 가슴이 붕긋 솟아오르게 하라. 다음에 입으로 천천히 숨을 내쉬라. •호흡하는 동안, 느낌과 감정이 어디서 비롯됐으며 거기에 어떻게 반응하고 싶은지 생각해 보라. 2. 자신의 감정을 적으라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종이나 휴대전화에 기록하는 습관을 들이라. 감정을 그렇게 유형화하면 자신의 감정을 정리하고 명확히 아는 데 좋다. 기록을 하다 보면, 스트레스가 크게 줄고 면역체계가 강화되며 웰빙이 전반적으로 증대된다.. 2019. 4. 6.
(7) 에고와 고통의 몸체 고통의 몸체와 동일시하려는 에고 금방 앞에서 설명한 과정은 대단히 강력하면서도 간단하다. 이것을 어린애한테도 가르칠 수 있고 언젠가는 아이들이 학교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축에 들어갈 것이다. 내면에서 벌어지는 것을 감시하는 자로서 존재한다는 기본 원칙을 이해하게 되면… 그리고 그것을 체감함으로써 확실히 깨닫는다면… 가장 강력한 변환 도구를 마음대로 부리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 해서 아무런 내적 저항 없이 아픔을 술술 털어낼 수 있다는 뜻은 아니야. 삶의 대부분을 자신의 감정적 아픔덩어리와 바짝 동일시하면서 살아왔고 자아감의 전부나 상당 부분이 아픔덩어리에 들어 있다면, 내적 저항이 특히 더 클 수밖에 없다. 이건… 아픔덩어리에서 불행한 자신을 만들어 냈으며 마인드가 만들어 낸 허구를 ‘나 자신’이라 믿는.. 2019. 4. 4.
(6) 고통의 몸체 녹여 없애기 과거의 아픔: 고통의 몸체 녹이기 순간의 힘에 다가설 수 없는 한… 우리가 겪는 감정적인 아픔은 모조리 우리 안에 웅크리고 있는 다른 아픔의 잔재 뒤로 숨어든다. 그건 이미 거기에 있던 과거의 아픔과 합쳐져서 우리네 마인드와 몸에 기식하게 된다. 여기에는 우리가 태어난 세상의 무지와 무자각 때문에 어린 시절에 겪어야 한 아픔도 물론 들어간다. 이 퇴적된 아픔이 우리 몸과 마인드를 점령하고 있는 부정적 에너지장이다. 이것을 만약 보이지 않지만 제 나름대로 움직이는 실체로 볼 수 있다면, 진실에 매우 근접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감정의 아픔덩어리이다. (혹은, 고통의 몸체이다.) 이 아픔덩어리는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휴면 상태와 활동 상태. 아픔덩어리는 대체로 전체 시간의 9할 정도는 졸고 있지만, 심.. 2019. 4.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