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어조12 여성의 목소리, 이미지, 매력 (3) 목소리의 선율 (어조, 억양) 누군가의 목소리를 들으면, 언제나 그 사람의 이미지가 즉각 눈앞에 떠오른다. 우리는 자기 목소리에 워낙 익숙해져서, 그 울림에 사실상 눈길을 돌리지 않는 편이다. 자기 말본새의 여러 특성조차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그러면서 우리가 내는 목소리의 어떤 뉘앙스 때문에 우리 인상이 썩 좋지 않게 된다는 생각도 전혀 하지 않는다. 듣기에 유쾌한 목소리 색채는 이성이며 감정의 조화와 연관된다. 이런 경우 듣는 이의 심금을 울리는 음색이 생기기도 한다! 만약 목소리 어조에 ‘차가운 이성’이 지배적이거나 모든 힘이 ‘뜨거운 기질’에 쏠린다면, 말소리에 금속성이나 귀청째는 톤이 나타나 듣기 힘들다. 자기표현과 관련된 몇몇 성격의 특성을 목소리 음색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무엇보다.. 2020. 12. 11. 여성의 목소리와 이미지, 매력 (2) 여성의 목소리와 개성, 호소력 (2) - 목소리와 말본새는 소통의 기본 도구 목소리의 개별적 특성 = 이제 서로의 말투나 어조에 대해 말해 볼까요. 어떤 개인적 특성이며 성격이, 말소리에 반영되나? 우리 각자의 목소리에는 어떤 특성이 들어 있나요? - 지금 듣고 보니 이화의 목소리는 상냥하고 그윽한 맛이 있네요. 처음엔 느낌이 전혀 달랐는데… 처음에 이화는 거리감이 있고 건방진 듯 보였어요. 한데, 지금 보니까 그게 자기방어 차원에서 나온 것이 아닌가 싶네요. 자신의 무방비 상태를 감추려고 짐짓 차갑고 딱딱한 ‘마스크’를 쓰고 있는 거예요. - 영애 목소리는 아직 설비가 덜 된 듯해… 위아래로 어조가 급격히 오르내려요. 너무 빠르고 단속적으로 말하는 것 같아. 자기 목소리를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는 게 아.. 2020. 12. 7. 여성의 목소리와 이미지와 매력 (1) (여성의) 목소리와 이미지와 매력 (1) * 그동안 목소리와 스피치 관련 강좌 또 강연 등에서 오고간 이야기를 정리해 봤습니다. 특히, 가 주된 내용이지만, 남성들 경우에 대입해도 큰 차이는 없을 겁니다. 몇 회에 걸쳐 게재하는 내용을 접하면서, "어머나, 내가 별 생각 없이 내놓는 목소리며 말본새에 이렇게 중요한 의미가 있었다니!" 하고 놀랄지도 모르겠습니다. 한마디로, '세상은 아는 만큼 보이는 법" 아니겠습니까? 꼼꼼이 숙독하고 음미한다면, 크게 도움 될 겁니다. "매력적인 것에는, 유익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 나름의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 - 장 파브르 목소리는 우리네 개개인의 이미지를 채색하거나 빈약하게 만들면서, 한 치 오차도 없이 전달한다. 주의 깊게 포착한 목소리 억양이나 말소리 뉘앙스로.. 2020. 12. 6. 1과. 조건 없는 수용이란? (2)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9. 7. 28. 남자 심리 3 (청하지 않은 조언) 남자 심리 탐구 3 여성들이여, 남자 심리를 아시는가? 만약 남자가 도움을 청했다면 도움이 필요하다는 뜻이며, 그가 청한 대로 하는 게 더 좋아. 남자가 도움 청하지 않으면, 필요 없다는 뜻. 필요 없다는 뜻이에요, 여성들이여! (먼저 나서지 않는 게 더 좋다는 말이겠지요?) 남자들은 대체로 누구한테 도움받기를 안 좋아 해, 특히 여자한테 받는 것은 더 그래. 청하지 않은 도움을 여성한테 받는다는 것을 남자는 자신의 무능력을 입증하는 것이라 여기기 때문. 여자의 도움을 '당신은 스스로 해결하지 못할 거야!” 하는 메시지로 해석하는 것. 그러면서 속으로는 '나 스스로 할 수 있어!' 하고 외친다. 예를 들어, 남자가 바퀴 달린 여행 가방을 끌고 간다면, 계단 어디서 돌아가는 게 더 편하고 쉽다고 .. 2019. 7. 8. 말의 비언어적 요소 말의 비언어적 요소 말(스피치)의 어떤 비언어적 특징이 내용 파악에 영향을 끼치나? 이건 무엇보다도, 억양 - 음색 - 템포와 리듬 - 호흡 - 조음 - 강약. 이런 특징들이 합쳐져서 사람의 ‘목소리 초상화’를, 그의 내면 상태를, 외적 행동을, 심지어 그의 개인 스토리를 드러낸다. 전화 협의나 상담처럼 상대를 안 보고서 많은 일을 결정하게 되는 오늘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청각적 숙련은 특히 필요하고 중요하다. 우리가 통화하는 상대는, 우리가 말하는 투 하나로 우리에게 호감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도 오직 목소리에만 의존하여 상대의 성격과 분위기 따위를 파악하게 된다. 더 잘 들으려고 상대방 말에 집중할 필요가 있을 때, 우리는 눈을 감기도 한다. 그때 상대방 목소리에 따라.. 2019. 5. 23.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