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자녀와 소통 방법10 부모의 제한과 금지. 체벌에 대해 (32) (9과 계속) 법칙 4. (제한, 요구, 금지 등의) 규칙은 어른들 간에 합의된 것이어야 한다. 엄마 말이 다르고 아빠 말이 다르고, 때론 할머니 말이 다른 경우가 잦은가? 이런 식이다. 순이에게 예쁜 구두를 새로 사 주었더니, 다음 날 아침 그걸 신고 유치원에 가고 싶어 한다. 순이: 새 구두를 신을래요. 엄마: 아니야, 그건 특별한 날이나 손님으로 갈 때 신으려고 산 거야. 순이: 싫어, 오늘 신고 싶단 말이야! (징징대기 시작해.) 아빠: 걱정 마라, 방법을 생각해 보자. (그리고 아내에게) 오늘 하루만 신게 하면 안 될까? 엄마: 아니, 안 돼요. 아이들은 값비싼 물건을 소중히 다룰 줄 알아야 돼! 순이 (눈물을 더 흘리면서): 그럼, 유치원에 안 갈래! (이때 나타난) 할머니: 또 뭔 일이여? .. 2019. 8. 25. 9과. 규율은 어떻게 유지하나? (30) 9과. 규율과 기강은 어떻게? 규율에 관한 얘기를 왜 이제야 꺼내나? 아이들에겐 규칙이 필요해 규칙들에 관한 법칙 법칙 1, 2 와 4개의 색깔 지대. 법칙 3, 4, 5 처벌에 관한 물음 불복종의 자연적인 후과와 조건적인 후과 법칙 6. 다루기 힘든 아이들 한사코 말을 듣지 않는 원인 네 가지 그 이유를 알려면? 네 가지 전략 앞의 여러 레슨에서 우리는 아이들의 감정과 심적 체험에 대해, 또 아이들 말을 듣고 경청하고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방법에 대해 많이 얘기했다. 이쯤에서 부모들에게 이런 답답함이나 조급함이 생겼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규율과 순종에 관해서는 언제 얘기하지? 사실, 아이들이 따라야 하는 규칙들이 있고, 부모의 요구 가운데 어떤 것은 군소리 없이 무조건 실행해야 하는 것도 있는데 말.. 2019. 8. 23. 8과. 갈등 해소 5단계, 부모들 질문 (29) (8과. 자녀와 갈등, 건설적 해결 방법 계속) 부모들의 질문 문: 우리 가정에서는 자녀와 갈등을 해소하는 데 비생산적인 방법 2가지만 주로 이용해 왔다. 건설적인 방법을 한 번도 써본 적이 없다면, 어떻게 적용해야 하나? 답: 가족이 차분한 환경에서 다 함께 모여 대화로 시작하는 것이 가장 좋다. 서로의 생각과 요구와 주장을 조율하고 ‘합의하는’ 좋은 방법이 있다고 아이들에게 설명하, 이 방법대로 같이 해보자고 이끌라. 어른들은 아이가 하는 말을 정말 잘 들어보겠다고 마음가짐을 분명히 갖춰야 한다. 다시 강조하건대, 당신의 주된 도구요 조력자는 바로 이다. 문: 부모의 권위가 떨어지지는 않을까? 답: 권위와 권위주의라는 두 개념의 차이를 이야기해 보자. 파워를 지향하고 힘을 이용하여 다른 이들을 종속시.. 2019. 8. 20. 자녀와 갈등, 건설적 해결 방법 5단계 (28) (자녀와 갈등, 해소 방법 5단계) * * * 갈등을 잘 해소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알고 보니, 그 어느 쪽도 졌다는 느낌에 시달릴 필요 없이 양측이 다 승리하는 길이 있다. 이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자. 이 방법은 두 가지 소통 기법을 기반으로 한다. 적극적 듣기와 . 그런 만큼 앞의 레슨에서 우리가 다룬 것을 전부 확실히 습득하는 게 중요하다. 갈등이 없고 덜 복잡한 상황에서... 아이의 얘기를 잘 들을 수 있는지, 당신의 감정을 잘 전달할 수 있는지, 먼저 확인부터 한 뒤에 좀 더 복잡한 상황으로 넘어갈 필요가 있다. 이 방법에는 몇 가지 연속적인 단계가 전제된다. 이 단계를 먼저 열거한 뒤, 각 단계를 하나씩 자세히 알아본다. 1. 갈등 상황을 명확히 파악하기 2. 여러 제안을 취합하기 3. 취합한.. 2019. 8. 20. 5과. 아이의 얘기를 귀기울여 듣는 방법 (14) Lesson 5. 아이가 하는 얘기를 잘 듣는 방법 ‘적극적 듣기’란 무엇이고 언제 아이의 말을 경청해야 하나? 여러 사례 적극적 듣기의 보충 원칙들 올바른지를 아는 방법. (적극적 듣기의 결과 셋) 또 두 가지 놀라운 결과 가정에서 수행할 과제 부모들의 질문 아이가 힘들어하는 원인이 아이의 감정 영역에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 그 감정 측면을 도외시한 채 뭔가를 가르치고 방법을 일러주고 방향을 제시하는 등의 행동으로는 아이를 제대로 돕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런 경우 가장 좋은 것은… 아이 말을 주의 깊게 듣기. 사실 우리는/부모들은 그것과 다른 쪽에 익숙해 있다. 아이가 하는 말을 건성으로 듣는 경우가 허다하다. 심리학자들이 '도와주는 듣기'라는 방법을 알아내고 그 이점을 자세히 설명했다. .. 2019. 8. 7. 4과. 아이가 원치 않을 때는? (9) 4과. “아이가 원치 않으면?” 할 수 있는데도 하지 않아 말투와 고압적인 지시 동등하게. 외적 수단들. 누가 기차에 탈까? 물살 거스르는 보트. 충돌 피하려면? 규칙 3: 아이들에게 책임을 전달하기. 부모들의 우려 규칙 4: 아이들이 실수를 경험하게 한다 가정에서 수행할 과제 부모들의 질문. 부모와 자녀가 같이 하는 작업은 한 단원에서 따로 다룰 만큼 중요한 주제이다. 상호 접촉의 어려움과 갈등, 또 그것을 피하는 방법에 관해 먼저 얘기하자. 어른들을 궁지에 몰아넣는, 전형적인 문제들로 시작하자. 스스로 해야 할 많은 일을 아이가 완전히 습득했다. 그래서 흩어진 장난감들을 상자에 모아 넣거나 자기 잠자리를 정리하거나 전날 저녁에 교과서 등속을 가방에 챙기기 등을 아이는 이미 혼자서도 충분히 할 수 있다.. 2019. 8. 5.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