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Online Voice Training31

왕의 실험. 목소리와 소통 목소리와 소통의 중요성 - 프리드리히 왕의 실험 먼저, 일화 하나. 「언젠가 궁정 오찬에서 신하 두 사람을 배가 터지게 먹인 뒤, 한 사람은 곧장 잠자리에 들게 하고 다른 사람은 사냥하러 가게 했다. 그리고 저녁에 왕은 두 신하를 불러 자기 앞에서 속을 다 비우라고 지시했다. 점심때 먹은 것을 누가 더 잘 소화했는지 알고 싶은 것이다. 의사들은 잠을 잔 사람이 음식을 더 잘 소화했노라고 확인해 주었다.」 18세기에 살았던 프로이센 대왕 프리드리히 2세는 계몽 군주로 역사에 남을 만큼 지적 호기심이나 탐구욕이 무척 강했다고 한다. 앞의 에피소드를 보면 왕은 생리학에 흥미를 보였는데, 언어 문제에도 관심이 컸다. 인간 언어의 근원이 무엇인지 알고 싶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갓난애들이 그 누구와도 대화.. 2020. 11. 10.
Voice training에 대해 목소리 훈련에 대해 이 포스트는 Jeremy Fisher, Gillyanne Kayes 공저 의 한 대목을 옮긴 것입니다. 목소리 작업하면서 우리는 어떤 이상적인 세련됨에 가까워지는 데 상당한 노력을 쏟는다. 이런 열망은 공교육 확산과 더불어 이미 19세기 말부터 존재했다. 그 무렵 영국에서는 Standard English라는 프로그램이 개발돼 아주 인기를 끌었다. 이건 20세기 들어 인기와 권위를 한층 더 얻고, 영어권에서는 이나 같은 정의마저 생겨났다. 그러면서 사회 여러 계층에서 말하기 문제에 대한 염려와 말을 제대로 하려는 열망까지 생기게 됐다. 스피치 강좌가 유행을 탔고, 그 강사들은 목소리를 맑고 청아하게 만들어 주겠노라고 약속했다. 웅변술 공부의 출발은, ‘어쩌다’ 습득한 것이기에 교정해야 .. 2020. 10. 18.
신체 균형 잡는 방법 목소리 실습에 필요한, 신체 균형 잡는 방법 목소리가 신체적 기구인데 신체 상태는 날마다 달라지는 만큼, 목소리 실습에 들어가기 전과 그 수행 과정에서 신체 균형 되찾는 습관을 철칙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발바닥 여러 부위 아래에 있는 바닥의 느낌에 집중함으로써 올바른 자세를 찾을 수 있다. 이 실습 중에 차분하게 호흡하기를 잊지 마시라. 1. 똑바로 서서 두 발을 어깨너비보다 조금 더 넓게 둔다. 2. 발을 바닥에서 떼지 않으면서 몸을 앞으로 기울인다. ‘하나, 둘, 셋, 넷, 다섯’을 세는 동안, 이 위치를 유지한 채 발의 어떤 부위가 가장 확실하게 버팀목이 되는지, 주목한다. 3. 이제 체중을 살짝 뒤로 옮긴 뒤, 다섯까지 세면서 몸을 정확히 그렇게 유지한다. 4. 체중을 발 바깥쪽으로 이동한 채,.. 2020. 9. 26.
목소리에 관한 단상 목소리 단상 ☞ 목소리는 (의식, 감각, 행동 등의 작용이 향하는) 객관적 사물이기 이전에 무엇보다도 에너지이며, 여기서 중요하게 여기는 건 형태가 아니라 힘이다. ☞ 목소리 훈련에 들어가기 전에, 워밍업 하면서 다듬어야 하는 핵심 영역이 네 가지 있다. 몸, 호흡, 성대, 조음기관 (혀, 턱, 입술, 연구개). 시작하기 전에 몸을 균형 상태로 둬야 한다는 점을 명심한다. ☞ 우리는 잠들기 위해 울기도 한다. 울음이란 자가치유되는 상처 같은 것. 울음이 스트레스 상태를 일련의 보컬 구절로 바꾸면서 개인적인 멜로디를 만들고, 이것이 처음에 표현된 아픔을 가라앉힌다. ☞ 우리는 우리 목소리가 다른 이들에게 들리게 하기 위해 태어났음을 기억하자. ☞ 대체로, 성대주름이 편안하고 수축될 때 목소리 톤이 낮고, .. 2020. 9. 23.
목소리 조율의 해부학적 비밀 목소리 조율의 해부학적 비밀 - 파이프 소제 목소리 조율의 비밀 3가지 가운데 먼저 해부학적 구성요소를 알아본다. 조립 파이프 목소리가 어디서 나는지 정확히 알게 됐기에, 우리는 목소리 해방의 해부학적 비밀로 넘어갈 수 있다. 가슴에서 후두까지 소리는 우리 의지와 무관하게 나오지만, 경로의 마지막 단계에서 후두라는 장애물을 만난다. 대체로, 사람들은 소리의 원천이 성대주름이고 그게 후두에 있는 만큼 목소리를 컨트롤하려면 후두 컨트롤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여긴다. 노련한 연극배우나 성악가들은 경험을 통해 신체 깊은 곳에서, 즉, 기관지에서, 소리를 끄집어내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후두를 (달리 말해, 목구멍을) 목소리의 길라잡이로만 삼았다. 바로 이걸, 목소리에서 목구멍을 분리하고 목을 길잡이로만 삼는 법을.. 2020. 6. 29.
새의 호흡 시스템 (이중 호흡) 조류(새)의 호흡 시스템 새의 호흡 시스템은 (공기가 지나가는 길인) 기도와 공기주머니 달린 폐로 이뤄진다. 공기가 콧구멍을 통해 기도를 (비강, 후두, 기관, 기관지, 폐, 공기주머니를) 거친다. 조류의 기도 : 1) 비강 2) 후두 (목소리 기구 기능을 수행하는 상하 후두) 3) 기관 4) 기관지 공기주머니 기관지 일부는 내부 장기나 근육 사이에 있는 공동이나 뼈의 공동으로 이뤄진 공기주머니와 이어진다. 공기주머니의 기능 - 비행 때 호흡에 관여 (이중 호흡) - 비행 때 체온 (낮추어) 조절 - 몸의 밀도를 (몸무게를) 줄인다. 이중 호흡 새는 (날지 않고) 평온한 상태에 있을 때 - 공기주머니와 상관없이 호흡한다. 비행할 때 - 산소로 가득한 공기가 새의 폐를 2번 거쳐 나간다. 즉, 들숨 때와 .. 2020. 6.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