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마인드스토킹7 웃음 웃음 (365-3) 웃음 터질 만한 일이 생기기를 꼭 기다려야 하나요? 인생 자체만으로도 웃음 짓기에는 충분해요. 우리네 인생은 정말 터무니없고 정말 어처구니가 없잖아요. 우리네 인생은 참으로 아름답고 참으로 멋지잖아요! 그렇게 어지러이 뒤섞인 것이야말로… 바로 우주 차원의 거대한 조크 아니겠어요?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일이 웃는 거예요. 당신이 웃기로 마음먹기만 한다면 말이죠. 하지만 사람들은 잘 웃지 않게 됐어요. 거의 웃지를 않으며, 어쩌다 웃는다 해도 진실하게 웃지 않아요. 사람들은 마치 누군가에게 호의를 베풀 듯이 웃고, 어떤 의무를 수행하듯이 웃는단 말이죠. 하지만 웃는 것 자체가 기분 좋잖아요! 누구한테 호의를 베푸는 게 아니에요! 다른 누군가를 즐겁게 하려고 웃음 지을 필요가 .. 2019. 5. 6. (7) 에고와 고통의 몸체 고통의 몸체와 동일시하려는 에고 금방 앞에서 설명한 과정은 대단히 강력하면서도 간단하다. 이것을 어린애한테도 가르칠 수 있고 언젠가는 아이들이 학교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축에 들어갈 것이다. 내면에서 벌어지는 것을 감시하는 자로서 존재한다는 기본 원칙을 이해하게 되면… 그리고 그것을 체감함으로써 확실히 깨닫는다면… 가장 강력한 변환 도구를 마음대로 부리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 해서 아무런 내적 저항 없이 아픔을 술술 털어낼 수 있다는 뜻은 아니야. 삶의 대부분을 자신의 감정적 아픔덩어리와 바짝 동일시하면서 살아왔고 자아감의 전부나 상당 부분이 아픔덩어리에 들어 있다면, 내적 저항이 특히 더 클 수밖에 없다. 이건… 아픔덩어리에서 불행한 자신을 만들어 냈으며 마인드가 만들어 낸 허구를 ‘나 자신’이라 믿는.. 2019. 4. 4. (6) 고통의 몸체 녹여 없애기 과거의 아픔: 고통의 몸체 녹이기 순간의 힘에 다가설 수 없는 한… 우리가 겪는 감정적인 아픔은 모조리 우리 안에 웅크리고 있는 다른 아픔의 잔재 뒤로 숨어든다. 그건 이미 거기에 있던 과거의 아픔과 합쳐져서 우리네 마인드와 몸에 기식하게 된다. 여기에는 우리가 태어난 세상의 무지와 무자각 때문에 어린 시절에 겪어야 한 아픔도 물론 들어간다. 이 퇴적된 아픔이 우리 몸과 마인드를 점령하고 있는 부정적 에너지장이다. 이것을 만약 보이지 않지만 제 나름대로 움직이는 실체로 볼 수 있다면, 진실에 매우 근접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감정의 아픔덩어리이다. (혹은, 고통의 몸체이다.) 이 아픔덩어리는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휴면 상태와 활동 상태. 아픔덩어리는 대체로 전체 시간의 9할 정도는 졸고 있지만, 심.. 2019. 4. 4. 명상, 호흡 관찰 명상 의 저자요 영적 마스터인 에크하르트 톨레가 '지금, 여기'의 상태를 체감하고 심화하는 데 도움 되는 명상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를 소개합니다. 호흡 관찰 명상은 가장 간단하면서도 가장 효과적이고 유용한 명상 실천입니다. 매일 자신의 호흡에 집중하면 다른 모든 형태의 명상에 든든한 토대가 생겨요. 우리가 알다시피, 자기 호흡에 대한 명상은 이미 수천 년 동안 수행돼 온 것이지요? 걷잡을 수 없이 일어나는 생각을 다스리고, 부정적인 생각과 행동에서 벗어나고, 영적 진리를 터득하기 위해… 고대 힌두교도와 불교도들이 이 명상을 수행했습니다. 이 생각에서 저 생각으로 정신 사납게 오가는 마인드에 제동을 걸기 위해서는 자신의 호흡에 집중할 필요가 있어요. 이렇게 마인드를 훈련함으로써 한 번에 한.. 2019. 3. 21. '나'를 찾기 - 분리, 동일시 "내 구두가 나는 아니야!" - 멋진 자동차를 한 대 뽑았어요. 신나지요. 괜히 '폼'도 잡고 싶고... 그런데 어느 날 옆구리에 흠집이 난 걸 발견했어요. 속상해요, 안 해요? 화가 나요, 안 나요? 그래서 며칠 동안 우울하고 밥도 잘 안 넘어갔다구요? ㅠ.ㅠ - 능력을 인정받고 싶은 마음에 자기 시간이나 생활도 팽개치고 직장에 '올인'해요. 몰지각한 상사가 가끔 눈꼴시게 굴어도 꾹 참아요. '에이, 요즘 일자리 구하기도 힘든데, 여기서 떨려나면 어떡해? 이게 내 밥줄이니까 견뎌야지 별 수 있겠어?' ㅠ.ㅠ - 자기 일이나 취미 활동도 포기하고 아이들 키우는 데 헌신했어요. 가끔 속 썩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예쁘게 잘 크는 걸 보니까 흐뭇했어요. 자신이 대견스럽게 보이기도 했어요. 그런데 다 크고 나니.. 2019. 3. 21. (4) 감정이란? 감정은 마인드 움직임에 대한 신체의 반응 - 그렇다면 감정은 어떤가? 난 마인드보다도 감정에 더 자주 사로잡히는데. 내가 여기서 사용하는 마인드라는 단어에는 단순히 생각만 들어가는 게 아니다. 여기엔 모든 무의식적인 정신적 감정적 반응 패턴뿐 아니라 감정도 들어간다. 감정은 마인드와 몸이 만나는 곳에서 생긴다. 감정은 마인드에 대한 신체의 반응이야. 혹은 달리 말하자면, 마인드 상태가 몸에 반영된 것이야. 예를 들어, 공격이나 적대적인 생각을 하면 우리가 분노라 부르는 에너지가 몸에 축적된다. 몸은 싸울 준비에 돌입한다.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위협받고 있다는 생각을 하면 몸이 움츠러들게 되는데, 이것이 우리가 두려움이라 부르는 것의 물리적인 측면이다. 연구 결과를 보면, 강한 감정은 몸에서 생화학적 변.. 2019. 3. 20.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