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심호흡6 커피와 에너지 음료 없이도 커피와 에너지 음료 없이 에너지를 재충전하는 방법 “어, 왜 이렇게 맥이 없고 머리가 무겁지? 정신 좀 들게 커피를 한 잔 마셔야겠어.” 이렇게 말하거나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지 않습니까? 과연 커피를 마시면 에너지가 충전되나요? 커피와 에너지 음료를 마시지 않고도 긴장을 완화하고 새로운 힘을 얻을 수 있는 간단한 방법 몇 가지를 알아봅니다. 1. 신선한 공기 속에서 시간을 더 많이 보내세요. 실내 공간을 잘 환기합니다. 그러면 생명 에너지가 더 잘 순환됩니다. 2. 그늘이나 그림자 진 곳에 늘 앉아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자칫 병든 닭처럼 되기 쉽습니다. 블라인드나 커튼을 걷어서 방안에 햇살이 들어오게 하세요. 3. 아무 때라도 짬을 내서 몸을 움직여 주세요. 아침 체조, 산책, 힘찬 음악에 맞추어 춤.. 2020. 10. 16. 보디플렉스 5단계 호흡 5단계 호흡 이건 누구나 할 수 있는 호흡 체조. 나이와 상관없어. 하루 15분이면 돼. 얼핏 보기엔 이 운동이 우스꽝스럽게 보일지 모르나, 실제로 효과 있다는 점을 곧 깨달을 것. Bodyflex는 체중 감소나 살 빼기를 위해 신체 특정 부위를 겨냥한 실습 세트. 하지만 그게 다가 아니다. ‘필요한’ 호흡을 이용하여, 신체의 잉여 지방을 다 태우고, 폐를 정화하며 심기를 좋게 한다. 매일 15분 할애하여 체조함으로써 힘과 에너지가 샘솟는 걸 느낄 것. 힘과 에너지는 어디서 나오나? 아주 간단해. 이 체조를 매일 수행하면 폐와 몸에 들어오는 산소가 제 역할을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위의 크기가 줄어들어 덜 먹게 되니 살이 빠진다. 또 우리 몸에서 복잡한 림프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가 아주 중요한데, 공기가.. 2020. 10. 6. 건강을 망가뜨리는 과호흡, 심호흡 과호흡, 심호흡 - 우리는 잘못된 호흡으로 건강을 어떻게 망치고 있나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심호흡은 건강에 좋지 않다. 그 이유는 몸에서 이산화탄소가 많이 배출되기 때문이다. 호흡 깊이를 줄이는 게 좋다. 를 길게 취한다면, 혈류와 조직에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더 잘 채워지고 대사 메커니즘이 복원되며 면역체계가 강화된다. 몸에서 이산화탄소를 절약함으로써 많은 질환에 대처할 수 있다. 어떻게 그럴 수 있냐고? (아주 많은 이들이 최적이라 간주하는) 심호흡이 아니라 얕은 호흡이 우리한테 도움이 될 것이다. 이 호흡 방법으로 많은 질환을 없앨 수 있다. 그런 호흡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본다. 폐에 과도한 산소 유입은 좋지 않아 이산화탄소는 우리와 동반하는 천연 치료제라 볼 수 있다. 하지만 그게 부족해질 수도 있.. 2020. 10. 5. 호흡 입문 호흡의 기본 원리 The Grammar of breathing 올바르게 호흡할 줄 아나? 이건 특히 겨울철과 환절기, 독감 유행 기간에 매우 중요하다. 호흡이 잘못되면, 호흡기 감염균이 몸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게 높아지며, 그래서 독감이나 감기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이를 피하려면? (평온한 상태에서 1분에 16회가 정상인데) 너무 자주, 얕게 호흡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게다가 들숨과 날숨을 제 때에 취하지 않아 호흡 리듬이 깨지는 경우도 많다.) 이런 호흡을 얕은 호흡이라 하는데, 그 결과 폐가 제대로 환기되지 못한다. 신선한 공기가 얕은 부위에만 들어가고, 폐의 많은 부위에서 공기가 바뀌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이건 바로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가 바라는 환경이다. 자신이 올바르게 호흡하는지 확인할 필.. 2020. 9. 3. 자기감정 표출 방법 (2) 2편. 자신의 감정을 타인에게 드러내기 1. 이런 기술 형식을 취한다 - "나는 ...을 느껴." 자신의 느낌을 다른 누군가에게 드러낼 때 “나는”으로 시작하는 어구가 아주 제격이다. 왜냐하면, 이런 형식을 취할 때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내가 뭔가 잘못했나' 하는 느낌을 갖지 않게 하면서 관계를 잘 유지하게 되니까. 달리 말해, “너 때문에 난 ... 느낀다”는 식으로 말하면, 듣는 사람은 어떤 비난과 책임을 떠올리게 된다. 그 대신 “난 ... 느낀다”는 어구로 바꾸라. * “나는...”이라는 어구에 감정, 행위, 원인의 세 요소가 들어간다. "나는..." 어구를 쓸 때, 복문으로 말하라. 이런 식이다. “네가 내 직업을 두고 나하고 언쟁할 때 난 화가 나는 걸 느껴, 왜냐면 내 지적 능력을 은근히 .. 2019. 4. 6. 교사들의 목소리 설비 교사들에겐 잘 설비된 목소리가 필수 예를 들어 교사들 경우에 활동의 주요 수단이자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도구는 목소리 아니겠어요? (강연자며 각 분야의 트레이너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들은 한결같이 울림 좋고 쉽사리 지치지 않는 목소리를 원할 것이 분명해요. 하지만 거의 매일 오랜 시간 목소리를 쓰면서도 (어떤 경우엔 혹사하면서도) 목소리를 잘 간수하는 방법이 딱히 없어요. 목소리와 관련된 신체기관에서 질환이나 장애를 예방하는 방법도 그리 간단치는 않아요. 그러다가 목소리에 이상이 생기고 예를 들어 성대주름 주위에 결절이 생겼다는 진단을 받으면 흔히 약물을 쓰거나 심지어 수술까지 하게 되지요. 그리하여 통증이나 장애에서 벗어날 수는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것일 뿐입니다. (목소리가 쉬거나 잘 나오지 않는.. 2019. 3. 15.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