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공론, 험담 (2)
뒷공론, 험담 (2) 1. 초연하게 대하라. 다른 사람 몇몇이 나를 두고 뒤에서 자꾸 쑥덕거릴 때, 일에든 공부에든 집중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도 그런 부정적인 것에 신경 곤두세우기보다는, 긍정적인 움직임에 에너지를 쏟으라. 그러면 초연해지기가 쉬울 것. • 예를 들면, 책상을 정리한다, 가까운 곳을 산책한다, 친구와 담소한다, 수행 과제의 기한을 생각한다 등등. 2. 긍정적인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려고 애쓴다. 몇몇이 뒤에서 당신을 두고 쑤군거릴 때, 자칫 자신이 따돌림 당한다고 느끼기 쉽다. 하지만 그런 느낌에 굴하지 말고, 당신을 알아주고 아끼는 사람들과 더 자주 함께 하도록 한다. 그 사람들과 접촉을 통해 기분이 나아지며 자신감이 되살아나고, 험담이나 뜬소문 같은 허튼 짓거리를 아예 잊을 수도 있다..
2019. 5. 4.
나는 얼마나 수줍음을 타나?
당신의 수줍음(소심함) 정도는? 수줍음, 소심함, 부끄러움, 쭈뼛거림, 어색함, 불편함, 위축, 축기, 주눅... Shyness는 딱히 정의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형태와 정도가 사람마다 상당히 다르며, 게다가 상황에 따라 또 바뀌기도 하니까 말이다. 하지만 이것 때문에 생활에 불편을 겪는 이들이 적지 않다. 결국은 자신감 부재나 부족으로 이어지니까. 수줍음에는 경우에 따라 긍적적인 측면도 없지는 않지만, 대체로 이건 우리가 떨쳐내야 할 인간 속성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그 원인을 파악하고, 극복 방법을 알아 일상에서 조금씩 고쳐 나가면 된다. 그 이전에 는 어떤지 알아보자. 아래에 60개 항목이 있다. 사람들이 느끼고 겪는 주된 두려움을 망라했다. 이건 또 의 거울이라 할 수 있다. 이걸 살펴보고, 일..
2019.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