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파토스9

퍼블릭 스피킹(65) 로고스(logos)란? #액션 40. 로고스란?   세상에는 큰 저울이 두 개 있다. 하나는 시비의 저울, 하나는 이해(득실)의 저울. 이 두 가지 큰 저울에서 네 가지 등급이 나온다. 옳은 것을 지켜 이로움을 얻는 것이 가장 으뜸이다. 그 다음은 옳은 것을 지키다가 해로움을 입는 것, 그 다음은 그릇됨을 따르다가 해로움을 얻는 것. 가장 나쁜 것은 그릇됨을 따르다가 해로움을 불러들이는 것이다. - 다산 정약용 (조선의 실학자. )  어떤 화자의 말을 들으면서 혹시 이런 생각에 사로잡힌 적은 없었나요? “무슨 말을 하는 건지 도무지 모르겠어.”“아니, 뜬금없이 저런 결론이 어떻게 나온 거야?”“말도 안 돼! 저런 수치는 맞을 리가 없어.” 이건 화자에게 로고스가 빈약할 때 생기는 현상이며, 이런 경우 핵심 메시지가 잘 전달되기.. 2019. 5. 13.
마케팅 영상 분석 마케팅 영상 분석 아래 동영상들을 보고, 이런 점을 정리한다. (3-4개 선택) 메시지 전달의 특징이 무엇인지, 제작자가 중점을 둔 측면은 무엇인지, 스토리를 어떻게 풀어 나가는지 - 스토리텔링 기법 관점은? - 거시적( 매크로), 미시적 (마이크로) 메시지 전달과 영상 길이의 관계는 어떤지, 시청자의 감성을 어떻게 건드리는지 - 감성 마케팅 (파토스) 기억에 남는 것이 있다면, 왜 그런지, 이 무엇인지 정리한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공유할 만한, 다른 영상들도 괜찮겠다. 1) Google Android: 2) Reebok: 3) Dove: 4) Facebook: 5) Intel: 시리즈 6) Artifact Uprising: 7) GoPro: 8) Google Earth: 9) Always: 10) .. 2019. 5. 5.
(38) 진실만 말하기 15. 진실을, 오로지 진실만을!    우리는 다 거짓 없는 삶을 꿈꾸고 있습니다. 우리는 다 정직한 사람들과 함께 일하기를 바랄 겁니다. 하지만 실제에서는 사람들이 거짓말을 어찌나 밥 먹듯이 하는지, 이 러시아 극작가는 진실을 말하는 이가 외려 독특한 사람일 것이라고 이렇게 일침을 놓는군요.   사기꾼과 비열한들은 정직하고 성실한 이들에게도 자기네처럼 대하지만, 정직한 이들은 사기꾼한테도 정직하게 대할 때가 많아요. 그러다 보니 협잡꾼들이 정직한 이들을 이기는 경우가 심심찮게 보이는데, 중요한 것은, 그런 승리는 일시적인 것일 뿐이라는 점입니다.  거짓, 거짓말, 속임수, 사기, 협잡… 비슷한 말을 더 이어 보세요.당신은 거짓말을 자주 하나요? 자기기만이 가장 끔찍한 일이에요.  세상이 아무리 거짓과 .. 2019. 4. 29.
퍼블릭 스피킹(30) 스피치 비평 #액션 17 (스피치 비평)   토론이나 특강, 보도, 교양 등 여러 장르의 티브이 프로그램을 시청하세요. 가능한 한 앞에 소개한 항목대로 출연자들의 언어 행위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진행자들을 평가해 보세요.  특히, 우리가 #액션 11에서 알아본 오류들을 (역병처럼 피해야 할 것들을!) 범하지는 않는지... 즉, -어휘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장단음을 비롯해 발음은 제대로 하는지, -태도와 자세는 어떤지, -진행자가 다른 이들의 말을 경청할 줄 아는지 따위를 유심히 보세요.   여러 진행자와 사회자, 리포터, 해설자들의 매너를 비교도 해 보세요.  마음에 든 출연자들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지 생각하세요. 어색하고 이상하고 잘못된 점들이 있다면, 그게 왜 나왔으며 어떻게 바꾸는 게 좋을지 궁리하세요... 2019. 4. 24.
퍼블릭 스피킹(26) 감정 넣어 텍스트 읽기 #액션 15 (텍스트를 감정 넣어 읽기)   읽기를 잘 하는 사람들은 거의 다 말하기도 잘 합니다. 그러나 읽기가 서툴면서 말을 잘 하기는 거의 불가능할 거예요. 읽기 훈련과 능력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즉, 표현력 있고, 논리적으로 의미를 살리고, 가락이 정확하게, 목소리를 최대한 이용해서 읽기! 여기서 표현력 풍부하게 말하기가 시작됩니다.  nemy at the gates>라는 영화를 혹시 보셨나요? 스탈린그라드라는 전략 요충지를 놓고 점령하려는 독일군과 사수하려는 소련군의 치열한 전투를 배경으로, 소련군의 저격수를 둘러싼 이야기가 긴장과 흥미를 돋우면서 박진감 넘치게 펼쳐지지 않습니까? 이 전투에서 패함으로써 독일은 2차 대전에서 패전국으로 전락하고 말았는데, 그 이면에 자이쩨프라는 걸출한 .. 2019. 4. 21.
퍼블릭 스피킹(25) 파토스 9. 저 이야기에는 파토스가 있어!   당신이 주장하는 바를 청중의 정서와 연결해야 돼. 발언자는 청자들을 화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그 노여움을 자기 논적한테 돌려야 해. 청중이 당신 논적에게 화를 낸다면, 당신 생각은 더 쉽게 수용될 것이야. - 아리스토텔레스 (BC. 384-322, 고대 그리스 철학자)  파토스란 다른 사람에게 연민이나 동정심을 유발하는 성질이나 힘, 혹은 어떤 예술작품의 감정적 요소나 주관적 요소를 가리킵니다. 흔히 페이소스라고도 하지요. 그러면 이 파토스가 화자들에게 왜 중요할까요? 공포나 애정, 연민, 분노 따위 모든 감정은 듣는 이들을 강력하게 자극하고 어떤 동기를 부여하는 요소입니다. 우리가 하는 말에 감정적으로 잘 달구어진 청중은 우리의 체험이나 정서를 공유하면서.. 2019. 4.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