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 알파에서 오메가 (4)
- 오디오 들으며 알고 실행하기 (4) 19. Voice Production (정신물리학적 측면. 소통의 시작은? 임펄스 고찰. 사회화) 20. 목소리가 잘 울리지 않는 까닭은? (목소리 생산에 부정적 요소 - 호흡에서, 후두에서, 성대에서, 공명기관에서, 조음기관에서, 자세에서, 심리 상태에서) 21. 이완 (Relaxation). 긴장, 경직, 스트레스, 유유화화 (얼굴, 목, 턱 근육 이완) 22. 호흡-발성-조음 기관의 이완. 이완과 감정 발산 (척추 이완과 정렬, 혀 근육) 23. 소리 건드리기 (프리마 톤, 진동 만들고 느끼기) (알림) Voice Training에 관심 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해 주세요. 관련 포스트: 목소리: 호흡과 이완 내추럴 보이스 복원 방법 (4-2) 좋은 목소리 만들..
2020. 12. 14.
목소리에 관한 단상
목소리 단상 ☞ 목소리는 (의식, 감각, 행동 등의 작용이 향하는) 객관적 사물이기 이전에 무엇보다도 에너지이며, 여기서 중요하게 여기는 건 형태가 아니라 힘이다. ☞ 목소리 훈련에 들어가기 전에, 워밍업 하면서 다듬어야 하는 핵심 영역이 네 가지 있다. 몸, 호흡, 성대, 조음기관 (혀, 턱, 입술, 연구개). 시작하기 전에 몸을 균형 상태로 둬야 한다는 점을 명심한다. ☞ 우리는 잠들기 위해 울기도 한다. 울음이란 자가치유되는 상처 같은 것. 울음이 스트레스 상태를 일련의 보컬 구절로 바꾸면서 개인적인 멜로디를 만들고, 이것이 처음에 표현된 아픔을 가라앉힌다. ☞ 우리는 우리 목소리가 다른 이들에게 들리게 하기 위해 태어났음을 기억하자. ☞ 대체로, 성대주름이 편안하고 수축될 때 목소리 톤이 낮고, ..
2020. 9. 23.
기관(숨통)의 공명막
기관(숨통)의 공명막 숨통에 있는 공명막 — 말하고 노래하는 소리의 주요 원천 (이 포스트는 목소리 연구자인 В. 부첼의 저서 (민스크, 2005)에서 발췌. 목소리 생산에 관한 양대 이론 가운데 을 옹호하는 것인데, 전통적 관념 하나에 묶여 있는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을 안긴다.) 초보 가수에겐 궁금한 게 많을 수밖에 없다. 무엇을 어떻게 작동하고 조절해야 하나? 그렇게 고민하고 공부하다 보면 지식과 기량을 서서히 갖추게 될 것. 호흡을 조절하고, 횡격막을 내리고, 공기를 필요한 만큼 들이쉬고, 복부 근육을 움직이고, 소리 어택 이전에 이완하고, 그러면서도 필요한 근육은 작동하고, 공명 부위를 뒤흔들고, 목구멍에서 모음 만들어 내기 따위를 익히며, 말하기와 노래하기에서 모음들이 어떻게 다른지,..
2019.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