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소통 장벽5

소통을 가로막는 감정적 장벽 소통의 감정 장벽 (분노, 두려움, 질투, 울적함 따위) 감정적 장벽은 소통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 그런 감정은 진지하고 묵중한 주장을 받아들여 올바르게 평가하는 능력을 약화시킨다. 긍정적인 감정을 품고 있을 때는 다른 사람들을 좋게 받아들인다. 상호이해를 가로막는 장벽이 소통에서 간혹 생긴다. 소통 장벽이란 갈등의 원인이 되거나 갈등을 조장하는 많은 요소를 뜻한다. 사실 소통 파트너들의 갈망과 지향, 방침, 성격, 소통 매너, 기분 상태 등은 다를 때가 많다. 때론 상충되기도 한다. 소통에서 심리적 장벽은 주관적으로 생기며 본인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주변 사람들은 금방 알아차린다. 당사자는 자기 행동이 옳지 않음을 느끼지 못하며 정상적으로 소통한다고 믿는다. 만약 불일치를 발.. 2019. 5. 4.
소통 장벽의 유형과 극복 (2) 소통 장벽의 유형과 극복 방법 (2) 사람들과 소통에서 특별한 장벽이 생길 수 있다. 소통 장벽이란, 소통 당사자들 간에 정보 교환하면서 생기는 심리적 장벽. 2. 스타일 장벽 전달거리를 기술하는 스타일이 내용에 걸맞아야 한다. 전달이 제대로 수용되게 하려면, 주장과 주된 근거를 제대로 선택하고, 정보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기술해야. ‘프레임 규칙’ 이는 기억이 심리적 법칙에 의거해 작동한다는 사실에 근거를 둔다. 즉, 모든 전달의 처음과 끝이 더 잘 기억된다는... 따라서 (업무) 대화의 시작과 끝을 명확히 잡아야 한다. 소통의 효율성을 높이려면, 대화 처음에 목적과 전망, 소통의 예상 결과를 합당하게 보여야 한다. 끝에서는 정리와 결산, 목적이 얼마나 달성됐는지 평가. 첫 만남에서 시작이 가장 중요한 .. 2019. 5. 4.
소통 장벽의 요소와 그 극복 소통 장벽의 요소, 극복 *소통 장벽을 만드는 요소 (아래 항목에 충실하면, 그 누구라도 우리한테서 얼굴 돌릴 수 있다.) 1. 부정적 자기중심주의 (질병, 집안이나 직장에서 불상사 등 부정적 얘깃거리에 집중) 2. 진부함 (다들 아는, 빤한 이야기) 3. 자기중심성 (오직 자기 생각과 관심사에만 집중) 4. 감흥 부족 (무표정, 단조로운 목소리, 시선 접촉 없음) 5. 침울한 분위기 6. 알랑거리는 행위 *참조: 7. 공격적 행위 8. 오만함 9. 지나치게 떠벌임 (장광설) 10. 청하지 않은 조언 ("청하지 않은 조언을 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짓도 없어!") 11. 행동이나 사안에 부정적 평가 12. 상대방 의견 무시하는, 가혹한 촌평 13. 분명치 않은 질문, (가부를 답하게 하는) 폐쇄적 질문 (".. 2019. 5. 4.
군더더기 말, 단어, 음절 군더더기 말에 관해 우리는 말할 때 왜 ‘음, 에에’ 따위를 입에 올리나? 듣는 사람을 짜증나게 하고 집중력 떨어뜨리게 하려면, 말하면서 단어들 사이에 '에, 음, 어...' 같은 쓰레기 단어를 계속, 열심히, 끈질기게 집어넣으면 된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왜 그렇게 하나? 대체로 다섯 가지 이유를 들 수 있다. • 일상 언어생활의 습관 거의 누구나, 예를 들어 무대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아, 일상 대화며 발언에서 그런 악습이 나온다. 단지 그런 점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일 뿐. 어떤 연구 결과를 보면, 입말 행위에서 나오는 모든 실수의 40%는 군더더기 말. • 발언권을 유지하려는 방편 잡음을 만들어 넣음으로써 '내 말이 아직 끝나지 않았어' 하고 알리면서 다른 이들이 끼어드는 걸 미리 막으려. •.. 2019. 5. 3.
말하기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 당신의 목소리와 입말에 신경 써야 함을 알리는 징후 * 당신이 금방 한 말을, 듣는 이들이 다시 말해 달라고 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 딕션, 발음, 성량과 그 조절 * 당신이 청중 앞에 나서서 말하기를 죽기보다 더 싫어한다는 점을, 주변 사람들이 알고 있다. ---> 말하기 불안, 스피치 공포, 자신감 부족 * 당신 말에 (대화체에서도) 눈에 띠는 ‘쪼(調)’가 있다. ---> 자연스러운 억양, 휴지, 완급 * 10분쯤 대화를 나누고 나면 목소리가 피로해진다. ---> 목소리 내구성, 위생, 이완, 공명 * 말투가 하도 밋밋해서, 듣는 이들이 얼마 지나면 한눈팔거나 하품하다가 졸기 시작한다. ---> 목소리 음역 확장, 목소리 운용, 억양 강화 * 어구가 길 경우, 어구 끝에 가서 목소리가 조.. 2019. 5.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