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수사적 질문4 (66) 로고스 키우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9. 5. 13. (44) 그 질문에 그 대답 #액션 26. 그 질문에 그 대답 좋은 오프닝은 성공적인 스피치의 담보이며, 발표나 연설, 보고, 반응, 질문 같은 것들도 시작과 끝을 특히 면밀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 것을 기억하나요? 비행기 운항에서 이륙과 착륙이 어렵고 중요한 것과 마찬가지에요. 평범한 질문에도 나름의 기술이 있습니다. (조지 버나드 쇼, 1856-1950) 어떤 말로 당신은 질문을 예고하고 유도하지요?“여러분께 묻고 싶습니다.”“이런 질문이 여러분에겐 예상치 못한 것일 수 있어요.”“이런 질문에 성실하고 진실하게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런 예를 더 들어 보세요. 그 질문들을 먼저 100가지 억양으로 소리 내어 말하세요. 그 다음에 녹음해서 들어보세요. 조금만 부지런을 떨면 이 #액션은 수행하기 어렵지 않을 거예.. 2019. 5. 11. (35) 수사 장치 #액션 20 (수사 장치) 우리 훈련 과정이 끝나면 스피치 대회를 열고자 합니다. 이런 주제로 초고를 쓰고 연습과 편집을 반복해 보세요. -트레이닝 중반에 이 무슨 뜬금없는 소리야? 이런 반문이 들리는 듯도 싶군요. 이런 의도에서 하는 말입니다. 즉, 어떤 주제로 어디서 발언해야 한다는 사실을 미리 알게 되면,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그것을 준비하게 됩니다. 달리 말해, 앞으로 행할 발언에 필요한 정보를 무의식적으로(!) 선택하게 된다는 뜻이에요. 라디오에서 들은 이런저런 이야기, 신문 기사, 거리에서 우연히 들은 대화 등이 필요하고 유용한 것일 수 있어요. 그런 경우 기억력만 믿고 게으름을 피우면 안 될 노릇! 쓸만하다 싶은 정보를 다 기록하세요. 발표 날짜가 알려질 즈음이면 이미 쓸 만한 자.. 2019. 4. 24. 질문의 성격 질문 기법 (2) 제대로 질문하는 기법을 익히려면... 먼저 (자신과의) 내적 대화를 잘 구성한 뒤 외적 대화에서 질문의 주요 유형을 알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내적 대화'를 건너뛰고 바로 외적 대화로 넘어간다. 흔히 말하는 (외적) 대화가 일방적인 독백보다 더 활기차고 더 생산적이고 더 우호적인 것이 되려면, 잘 다듬은 질문을 적절한 순간에 건넬 필요가 있다. 사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대답하는 사람보다 질문하는 사람이 대화를 주도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런 측면은, 역설적이겠으나, '말을 하는 사람보다 듣는 사람이 대화를 지배한다'는 주장과도 맥이 닿는다.) 또한, 적절한 질문을 적시에 던짐은, 대화에 관심과 몰입 정도를 상대에게 내보이며 나아가 상대와 좋은 관계 맺기를 희망한다는 표현이기도.. 2019. 4. 3.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