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Mind Stalking124

명상 실습, 영적 인도자 (16-1) 명상 1: 영혼의 안내자 – 영적 인도자를 찾아내기 최초의 명상 체험으로서, 영혼 깊숙이 들어서는 여정에서 당신을 붙잡아줄 수 있는 영적 인도자를 떠올려야 한다. 영적 가이드는 명상 수행 초기 단계에서만 영혼의 깊은 여정에서 당신과 동행할 수 있다. 하지만, 명상 과정에서 무슨 불편을 느끼거나 특별한 어려움이 생긴다면, 이후에도 그의 도움을 청할 수 있다. - 편안하게 누워서 (혹은, 앉아서) 긴장을 다 떨치고 두 팔을 양옆에 편하게 둔다. - 당신의 몸을, 그 무게와 여러 부위를, 잠시 아주 예민하게 느껴 보라. 즉, 끊임없이 분주하던 움직임을 이젠 멈추고 쉬고 있는 두 다리를, 무거운 짐을 이제 옮길 필요가 없어 느긋해진 두 손과 팔을, 당신이 늘 과도한 무게를 걸머지우는 등짝을, 그리고 이젠 아무런.. 2020. 3. 5.
당신은 자신의 뇌를 얼마나 알고 있나? 뇌에 관해 놀라운 사실 과학자들은 우주에서 가장 복잡하고 신비한 것이 바로 인간의 뇌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인간의 뇌보다 10억 광년 떨어진 별들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다. 인간의 뇌는 약 1천억 개의 뉴런으로 구성돼 있다. (이건 은하계의 별들만큼 세포가 많은 것이다.) 인간 뇌에 있는 뉴런을 한 줄로 잇는다면 그 길이가 1백만 킬로미터나 될 것이다. 인간의 뇌에 관해 놀라운 사실을 몇 가지 소개한다. 1. 1900년대 초 과학자들은 우뇌가 신체의 왼쪽을, 좌뇌가 오른쪽 부위를 통제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2. 뇌 발달에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신체의 다른 어떤 기관보다도 더 크게 달라진다. 3. 사람이 머리에 충격을 받을 때 불꽃이나 별이 번쩍이는 듯하는 것은 시각을 담당하는 뇌세포들이 심하.. 2019. 12. 11.
당신은 자기 자신을 얼마나 알고 있나? "당신은 자신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 우리가 자기 자신을 썩 잘 알지 못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실험 7가지 사람들은 자신의 성격을 다 알고 있으며 어떤 행동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정확히 짐작할 수 있다고 여기는 편이다. 그런데 실제로는 우리네 심리가 우리 생각 이상으로 복잡하다는 점을 여러 실험이 보여준다. 1. 사람은 뜻하지 않은 일을 하게끔 자기 자신을 내몰 수 있다. 지난 2000년 칠레의 도발적인 예술가 마르코 에바리스티가 덴마크의 한 갤러리에서 퍼포먼스를 펼쳤다. 갤러리 방문객들 눈앞에 믹서기가 10대 있고, 그 각각에서 금붕어가 헤엄치고 있었다. 방문객 어느 누구든 버튼만 누르면 믹서기 안에 있는 금붕어를 산산조각낼 수 있었다. 한 시간쯤 뒤 방문객 한 사람이 버튼을 눌렀다. 그.. 2019. 12. 8.
18. 동일시의 작동 원리 (메커니즘) ( 나는 누구인가? > 4부. 나는 누구인가 > ... ) 18. 동일시의 작동 원리 (메커니즘) 동일시의 메커니즘과 여러 유형를 살펴보자. 앞장에서 규명했듯이, 동일시는 우리에게 엄청난 역할을 한다. 동일시는 우리의 감정 상태와 신체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심지어 우리 삶에 방향을 제시할 수도 있다. 우리에게 그렇게 막강한 영향을 끼친다면, 동일시가 뭔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자신과 자기 존재에 대한 어떤 느낌이나 촉(?)이 있음을 알아냈다. 우리가 자기 자신을 의미하면서 ‘나, 나, 나…’라고 말할 때 그걸 느낄 수 있다. 이런 경우 생기는 느낌을 우리는 자아감이나 자아의식, 자기인식, 자기 감각 등으로 불렀다. 자아감을 이렇게 이해할 수도 있겠다. 우리가 뭔가를 행하거나 말하거나 생각할 .. 2019. 11. 17.
17-1. 동일시가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 ( 나는 누구인가? > 4부. 나는 누구인가? > ... ) 17. 동일시(Identification)의 영향 (1) 실제로 우리가 아닌 무엇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기본 유형을 앞에서 몇 가지 살펴봤다. “나는 걷고 있어”, “난 아이스크림이 먹고 싶어”, “난 생각해” 하고 말할 때, 라는 느낌이 (자아감이) 추상적인 이미지나 느낌, 역할, 생각, 감정 등 이런저런 유형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 자아감이 어떤 유형과 동일시되지 않을 때, 그건 라는 순수한 자아감으로 남는다. 우리가 자신을 어떤 유형과 동일시할 때,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보자. 이름과 동일시는 아마도 자기 이름이나 가문을 자랑스레 여기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리에게 그리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 동일시의 영향.. 2019. 11. 13.
마음의 평화를 간직하는 방법 10가지 마음의 평화를 간직하시라! 평온을 유지하는 방법 10가지 1. 다른 사람들 일에 끼어들지 말라 우리네 대다수는 남의 일에 괜히 끼어듦으로써 스스로 문제를 만드는 경향이 짙다. 그럼, 우린 왜 그런 짓을 하나? 왜냐하면, 자신의 행동이 최선이며 자신의 논리가 가장 올바르다고 (헛되이) 확신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나와 의견이 다른 사람을 비판하면서 그가 올바른 길을 가도록 인도하려고 든다. 즉, 나의 길을 따르도록 말이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참으로 우스꽝스러운 짓을 우리는 자주 저지르고 있는 셈이다.) 우리의 그런 태도는 개성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며, 따라서 사람들 각자가 본질상 독특한 존재라는 점을 부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런 아포리즘이 떠오른다. "청하지 않은 조언을 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짓.. 2019. 11.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