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976

명상은 우리한테 어떻게 작용하나 명상은 어떻게 작용하며,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왜 도움이 되나? 이 포스트에서 -명상의 원동력, -우리 의식과 성격에 영향 미치는 방식, -전 세계에서 명상을 이용하는 모습, 또 -명상에 대한 여러 오해 등에 관해 알아본다. 명상(meditation)은 어떤 대상이나 현상에 주의가 집중되거나 되지 않는, 특별한 마음 상태. meditation이란 말은 라틴어 meditatio에서, 더 정확히 하자면 동사 meditari에서 나왔다. 이는 여러 맥락에서 ‘생각하다’, ‘마음에서 직관하다’, ‘생각을 가다듬다’ 등의 뜻을 띤다. 고대 팔리(Pali)어에서는 명상 과정을 bhavana라 불렀는데, 이는 규율이나 마음 다스리기를 뜻한다. 명상 기법은 많다. 신체의 내면 감각, 호흡과 감정과 생각과 주변 세상.. 2021. 1. 28.
가용성 추단 (Availability Heuristic) 인지 편향 (1-4): 가용성 추단 – 가장 쉽게 떠오르는 정보의 중요성을 과대평가 용어가, 표현이 참 어렵다. 하지만, 그 뜻은 어렵지 않다. 사람들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무슨 판단이나 결정을 내릴 때, 그 일이 발생할 확률보다는 관련된 정보가 얼마나 쉽게 떠오르는지에, 가용성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쉽게 기억되는 지식에 의존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 그러나 두 번 생각할 가치도 있다. 흡연이나 음주, 비만 등으로 죽을 가능성이 식인 상어와 마주치는 것보다 훨씬 더 크다. 하지만 언뜻 생각하기에는 후자의 위협이 더 크게 느껴진다. 달리 말하자면, 우리 기억은 과거의 일들을 아주 세세하고 또렷하게 기억하도록 최적화돼 있지 않으며, 우리는 생물학적으로 현재에 묶여 있다. 우리의 생존 본능은 ‘지금,.. 2021. 1. 20.
기본적 귀인 오류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인지 편향 (1-3): 기본적 귀인 오류 - 성급한 판단 우리는 왜 그리 성급하게 판단하나? 앞에 자동차가 시속 40킬로 정도로 가고 있다. ‘산보라도 나온 거야? 도대체 왜 저리 꾸물대는 거지? 분명 운전대 너머도 제대로 못 보는 노인이겠지.’ 그렇게 여기고는 속도를 내서 그 자동차 옆으로 붙어 호기심을 풀려고 차창을 통해 흘낏 살펴본다. ‘어? 노인이 아니네.’ 젊은 여자가 휴대전화로 통화하느라 꾸물댄 것이다. 이런 오류의 작동 메커니즘은 이런 식이다. '철수가 오늘 늦었어, 그러니까 그는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는 마음이 약하며 늘 늦는 거야.' 작은 관찰 하나를 (그것이 아주 부정확하다 해도), 넓게 일반화하는 것. 이후의 판단에 다 그 딱지가 붙어 다닌다. (첫인상의 중요성도 여기서 나온다.) 조금.. 2021. 1. 20.
매몰 비용 오류 (The sunk cost fallacy) 인지 편향 (1-2): 매몰 비용 오류 – 포기해야 하는 것을 왜 포기하지 못하나 우리는 왜 '별로 영양가 없다' 싶다 여기면서도, 거기서 발을 빼지 못하나? 얼마 전 한 남자 후배가 털어놓는 고충. "지난 3년 동안 열심히 교제했는데, 얼마 전부터는 이게 괜한 시간 낭비라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왜냐하면, 우리 둘은 서로 맞지 않을 뿐더러, 삶의 궤적도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확실히 알게 됐거든요. 그러면서도 저는 계속 고집스레 만나고 있습니다. 그 동안 많은 시간을 둘이 함께 보냈는데, 어떻게 지금 그만둘 수가 있겠어요?" 이것도 바로 의 한 모델이다. 지금의 비논리적인 결정을 정당화하기 위해 과거에 내린 결정을 이용하는 것. 기본적으로는, 이미 그렇게 했기 때문에, 여러 정황으로 보자면 그 결정을 계.. 2021. 1. 20.
확증 편향 (Confirmation bias) 인지 편향 (1-1): 확증 편향 (Confirmation bias) – 왜 우리는 (나는) 늘 옳아야 하나 예전에 젊었을 적에는 친구들과 뭔가를 두고 언쟁을 벌이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하기야 그런 면이 남자들 특징이기도 하다. 한데, 나중에 생각해 보니, 그 언쟁의 대상이 정말 하찮은 문제들이었다. 하지만 당시에는 둘 다 자기 생각이 옳다고 박박 우겨대면서, 상대가 틀리고 자신이 옳다는 사례와 근거를 동원하느라 바빴다. 부질없는 짓임에도. 그런 선입견 때문에 사람들과 논쟁이 정말 짜증나는 일이 되기 마련이다. 왜냐고? 왜냐하면, 많은 사람은 자기가 말하는 대상에 대해 훤히 (자신 있게) 알고 있다고 생각하니까. 그리고 문제는, 나도 내가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점. 이런.. 2021. 1. 20.
(31) '기다림'의 심원한 의미 ‘기다림’의 심원한 의미 현존 상태는 어떤 의미에서 기다림에 비교할 수 있다. 예수는 기다림의 비유를 자주 이용했다. 이 기다림은… 앞에서 얘기한 대로 현재를 부정하는, 지루하거나 불안한 종류의 기다림이 아니야. 이 기다림은… 주의가 온통 어떤 미래 시점에 가 있으며 현재를 어떤 성취의 장애 같은 것으로 인식하는, 그런 기다림이 아니야. 그것과는 질적으로 다른 종류의 기다림이 있으니, 여기엔 총체적으로 예리한 (깨어 있는) 의식이 필수다. 뭔가가 어떤 순간에든 일어날 수 있는데, 완전히 깨어 있지 않고 완전히 고요하지 않다면 그 뭔가를 놓치고 말 것이다. 이것이 바로 예수가 설파하는 종류의 기다림이다. 이 상태에서는 모든 주의가 (눈길이, 관심이) 순간에 집중돼 있다. 몽상이나 생각, 기억, 기대 따위에.. 2021. 1. 17.
728x90